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2년에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2015년 월드컵과 2023년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했으며, UEFA 여자 유로 2017과 2022에서도 조별 리그에 참가했다. 아나 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가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라모나 바흐만은 60골로 팀 내 득점 2위에 올라있다. 2025년 UEFA 여자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며, FIFA 여자 랭킹 최고 순위는 15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축구 - 스위스 축구 협회
스위스 축구 협회는 스위스의 축구 행정을 관할하는 기구이며, 역대 회장으로 랄프 즐로초워, 피터 질리에롱, 도미니크 블랑 등이 있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라 나티 (국가대표) 로소크로치아티 (붉은 십자가) |
협회 | 스위스 축구 협회 |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FIFA 코드 | SUI |
FIFA 최고 랭킹 | 15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6년 6월 – 8월 |
FIFA 최저 랭킹 | 31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7년 3월 – 6월 |
기술 | |
감독 | 피아 순드하게 |
주장 | 리아 뵐티 |
최다 출장 선수 | 아나-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 (163) |
최다 득점 선수 | 아나-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 (74) |
유니폼 | |
![]() | |
![]() |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rt|FRA}}" |
최대 점수차 승리 | 로잔, 스위스; 2022년 9월 6일 15–0 |
최대 점수차 패배 | 바인가르텐, 독일; 1994년 9월 25일 11–0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 |
첫 출전 | 2015년 |
최고 성적 | 16강 (2015, 2023) |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3 |
첫 출전 | 2017 |
최고 성적 | 그룹 스테이지 (2017, 2022) |
2. 역사
스위스는 1972년에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2][3]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에서 조 1위를 차지하며 캐나다에서 열린 대회에 진출했다. 이는 스위스 여자 대표팀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이자, 남자 대표팀과 여자 대표팀이 동시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첫 사례였다.[2][3]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일본, 카메룬, 에콰도르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에콰도르를 10-1로 대파했지만, 일본에 0-1, 카메룬에 1-2로 패했다. 조 3위로 16강 진출이 불투명했지만, 다른 조의 3위 팀들 중 상위 4개 팀에 포함되어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개최국 캐나다에 0-1로 패하며 탈락했다.[4]
유럽 선수권 대회에 2017년 대회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프랑스,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와 함께 C조에 속했다. 오스트리아에 0-1로 패했지만, 아이슬란드를 2-1로 꺾고 반등했다. 프랑스와의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 승리해야 16강 진출이 가능했던 스위스는 아나-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가 19분에 득점하며 경기 대부분을 리드했지만, 카밀 아빌리가 76분 수적 열세 상황에서 동점골을 넣으며 1-1 무승부로 경기가 끝났고, 결국 조 3위로 탈락했다.
2022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스위스는 스웨덴, 네덜란드, 포르투갈과 함께 C조에 속했다. 경기 시작 5분 만에 두 골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과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조 예선에서 스웨덴(1-2)과 네덜란드(1-4)에 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10분 동안 3골을 내주었다.
2023년 월드컵 예선에서 스위스는 몰도바를 15-0으로 대파하며 팀 역사상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5] 2023년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A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음 라운드에서 우승팀인 스페인에 1-5로 패했다.
2025년 대회에서 스위스는 처음으로 UEFA 여자 유럽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며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스위스는 올림픽에 출전한 적이 없다.
2. 1. 2015 FIFA 여자 월드컵
2015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일본, 카메룬, 에콰도르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에콰도르를 상대로 10-1 대승을 거두었으나, 일본에 0-1, 카메룬에 1-2로 패배했다. 조 3위로 16강 진출이 불투명했으나,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 개최국 캐나다에 0-1로 패배하여 탈락했다.6월 8일 | 일본 | 패 0–1 | BC 플레이스, 밴쿠버 | |||||
---|---|---|---|---|---|---|---|---|
6월 12일 | 에콰도르 | 승 10–1 | ||||||
6월 16일 | 카메룬 | 패 1–2 | 코먼웰스 스타디움, 에드먼턴 | |||||
16강 | 6월 21일 | 캐나다 | 패 0–1 | BC 플레이스, 밴쿠버 | ||||
/ 2023년 | 조별 리그 | 7월 21일 | 필리핀 | 승 2–0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 |||
7월 25일 | 노르웨이 | 무 0–0 | 와이카토 스타디움, 해밀턴 | |||||
7월 30일 | 뉴질랜드 | 무 0–0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 |||||
16강 | 8월 5일 | 스페인 | 패 1–5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개최국 / 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2015 | 16강 | 4 | 1 | 0 | 3 | 11 | 5 |
총계 | 출전 2회 | 8 | 2 | 2 | 4 | 14 | 10 |
2. 2. UEFA 여자 유로 2017
스위스는 UEFA 여자 유로 2017에서 프랑스,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오스트리아에 0-1로 패배하였으나, 아이슬란드를 2-1로 이기고, 프랑스와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2. 3. UEFA 여자 유로 2022
스위스는 2022년 대회에서 스웨덴, 네덜란드, 포르투갈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포르투갈과의 첫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스웨덴과의 2차전에서는 1-2로 패배했다. 네덜란드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1-4로 패배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총 3경기에서 1무 2패, 4득점 8실점을 기록했다.2. 4. 2023 FIFA 여자 월드컵
3. 경기 결과 및 일정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지난 12개월 동안 여러 경기에서 다양한 결과를 기록했다. 2024년에는 폴란드와의 두 차례 친선 경기에서 1승 1패,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헝가리와의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경기에서 3승 1패를 기록했다. 특히 튀르키예와의 원정경기에서 2-0승리, 아제르바이잔과의 홈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였다.
2024년 10월에는 호주와의 친선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10월 29일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11월 29일에는 독일과의 친선 경기에서 0-6으로 패배했고, 12월 3일 잉글랜드와의 친선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2025년에는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A조 2조에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프랑스와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또한, 2025년 7월에 열리는 UEFA 여자 유로 2025 조별 리그에서는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핀란드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경기를 치르게 된다.
대회 | 단계 | 결과 | 상대 | 순위/비고 |
---|---|---|---|---|
1984년 EC 예선 | 조별리그: 3조 | 2–0, 1–1 | 4팀 중 3위 | |
1–1, 0–0 | ||||
0–2, 0–2 | ||||
1987년 EC 예선 | 조별리그: 4조 | 2–0, 0–3 | 4팀 중 4위 | |
0–3, 1–2 | ||||
1–2, 1–1 | ||||
1989년 EC 예선 | 조별리그: 3조 | 1–7, 3–0 | 4팀 중 4위 | |
0–0, 0–10 | ||||
0–5, 0–6 | ||||
1991년 EC 예선 | 조별리그: 5조 | 0–4, 0–4 | 4팀 중 3위 | |
0–0, 2–1 | ||||
1–4, 0–4 | ||||
1993년 EC 예선 | 조별리그: 1조 | 0–10, 0–6 | 3팀 중 3위 | |
0–0, 0–1 | ||||
1995년 EC 예선 | 조별리그: 5조 | 3–2, 4–2 | 4팀 중 3위 | |
0–5, 0–11 | ||||
1–2, 1–1 | ||||
/ 1997년 EC 예선 | 조별리그: B리그, 3조 | 5–0, 1–1 | 4팀 중 1위 | |
3–0, 3–4 | ||||
0–2, 3–1 | ||||
승격 플레이오프 | 3–2, 3–0 | A리그 승격 | ||
1999년 WC 예선 | 조별리그: A리그, 2조 | 0–1, 0–1 | 4팀 중 4위 | |
1–2, 0–3 | ||||
1–3, 0–2 | ||||
강등 플레이오프 | 1–0, 4–0 | A리그 유지 | ||
2001년 EC 예선 | 조별리그: A리그, 2조 | 0–4, 0–1 | 4팀 중 4위 | |
0–3, 0–1 | ||||
1–0, 0–2 | ||||
강등 플레이오프 | 1–1, 0–0 | A리그 유지 | ||
2003년 WC 예선 | 조별리그: A리그, 2조 | 1–0, 0–1 | 4팀 중 3위 | |
0–4, 1–4 | ||||
0–5, 0–4 | ||||
2005년 EC 예선 | 조별리그: A리그, 1조 | 0–6, 0–2 | 5팀 중 4위 | |
1–0, 0–1 | ||||
1–1, 0–2 | ||||
0–1, 0–0 | ||||
2007년 WC 예선 | 조별리그: A리그, 4조 | 0–2, 0–2 | 5팀 중 5위 | |
0–4, 0–6 | ||||
2–0, 0–2 | ||||
0–1, 1–1 | ||||
2009년 EC 예선 | 조별리그: 4조 | 1–0, 1–3 | 5팀 중 3위 | |
2–2, 1–1 | ||||
0–7, 0–3 | ||||
2–0, 2–0 | ||||
2011년 WC 예선 | 조별리그: 6조 | 2–0, 2–1 | 5팀 중 1위 | |
1–2, 3–0 | ||||
2–1, 6–0 | ||||
4–2, 8–0 | ||||
플레이오프 | 0–2, 2–3 | |||
재경기: 준결승 | 3–1, 0–0 | |||
재경기: 결승 | 0–1, 2–4 | |||
2013년 EC 예선 | 조별리그: 2조 | 1–4, 0–6 | 6팀 중 3위 | |
4–1, 2–4 | ||||
2–3, 4–3 | ||||
8–1, 0–1 | ||||
5–0, 3–1 |
4. 코칭 스태프
4. 1. 현재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피아 선드하제 |
수석 코치 | 안데르스 요한손 |
릴리에 페르손 | |
골키퍼 코치 | 나딘 앙게러 |
4. 2. 역대 감독
요스트 로이징거 (스위스): 2000-2004[6][7]베아트리스 폰 지벤탈 (스위스): 2005-2012[8]
마르티나 포스-테클렌부르크 (독일): 2012-2018[9][10][15][16]
닐스 닐센 (덴마크): 2018-2022[11]
인카 그링스 (독일): 2022-2023
레토 게르첸 (스위스): 2023 (대행)
피아 썬다헤 (스웨덴): 2024-
5. 선수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과 12월에 열리는 독일, 잉글랜드와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는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2] 2024년 12월 3일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를 반영한다.포지션 | 선수명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
GK | 나딘/Nadinede 뵈히 | 2003년 11월 21일 | 0 | 0 | 생갈렌 (SUI) |
GK | 엘비라/Elvirade 헤어초크 | 2000년 3월 5일 | 17 | 0 | RB 라이프치히 (GER) |
GK | 리비아/Liviade 펭 | 2002년 3월 14일 | 7 | 0 | 베르더 브레멘 (GER) |
DF | 비올라/Violait 칼리가리스 | 1996년 3월 17일 | 60 | 8 | 유벤투스 (ITA) |
DF | 노엘/Noelle영어 마리츠 | 1995년 12월 23일 | 122 | 2 | 애스턴 빌라 (ENG) |
DF | 율리아/Juliade 슈티얼리 | 1997년 4월 3일 | 44 | 1 | SC 프라이부르크 (GER) |
DF | 나딘/Nadinede 리젠 | 2000년 4월 11일 | 25 | 1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GER) |
DF | 라라/Larade 마르티 | 1999년 9월 21일 | 17 | 0 | RB 라이프치히 (GER) |
DF | 라리나/Larinade 바우만 | 1998년 2월 17일 | 5 | 0 | 생갈렌 (SUI) |
MF | 아미라/Amirade 아르파우이 | 1999년 8월 8일 | 3 | 0 | 베르더 브레멘 (GER) |
MF | 알레나/Alenade 빈츠 | 2003년 3월 5일 | 4 | 0 | 1. FC 쾰른 (GER) |
MF | 노에미/Noemide 이벨 | 2006년 11월 1일 | 6 | 1 | 그라스호퍼 (SUI) |
MF | 산드린/Sandrinede 마우론 | 1996년 12월 19일 | 43 | 2 | 세르베트 (SUI) |
MF | 세라이나/Serainade 피우벨 | 2000년 6월 2일 | 21 | 3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ENG) |
MF | 시드니/Sydneyes 셰르텐라이브 | 2007년 1월 30일 | 6 | 1 | 바르셀로나 (ESP) |
MF | 쿰바/Coumbade 소우 | 1994년 8월 27일 | 54 | 13 | 바젤 (SUI) |
MF | 스밀라/Smillasv 발로토 | 2004년 3월 23일 | 16 | 1 | 함마르뷔 IF (SWE) |
MF | 스테파니/Stephaniede 베버 | 2000년 12월 8일 | 0 | 0 | 영 보이즈 (SUI) |
MF | 리올라/Riolanl 제마일리 | 2003년 3월 5일 | 29 | 5 | PSV 아인트호번 (NLD) |
FW | 리즈/Lydiade 안드라데 | 1999년 2월 20일 | 5 | 0 | RB 라이프치히 (GER) |
FW | 라모나/Ramonade 바흐만 | 1990년 12월 25일 | 151 | 60 | 휴스턴 대시 (USA) |
FW | 이만/Imande 베네 | 2006년 7월 23일 | 5 | 0 | 영 보이즈 (SUI) |
FW | 아나마리아/Ana Maria영어 츠르노고르체비치 | 1990년 10월 3일 | 163 | 74 | 시애틀 레인 (USA) |
FW | 오렐리/Auréliede 치라그 | 2003년 1월 24일 | 7 | 0 | 바젤 (SUI) |
FW | 알리샤/Alisha영어 레만 | 1999년 1월 21일 | 57 | 8 | 유벤투스 (ITA) |
FW | 메리암/Meriame프랑스어 테르춘 | 1995년 10월 27일 | 40 | 3 | 디종 (FRA) |
5. 2. 최근 차출된 선수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이다.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최근 차출 |
---|---|---|---|---|---|---|
GK | 노에미 벤츠/Noemi Benzde | 0 | 0 | 취리히de | v. 프랑스프랑스어, 2024년 10월 29일 | |
DF | 루아나 뷜러/Luana Bühlerde | 56 | 3 | 토트넘 홋스퍼영어 | v. 프랑스프랑스어, 2024년 10월 29일 | |
DF | 라우라 펠버/Laura Felberde | 2 | 0 | 세르베트프랑스어 | v. 아제르바이잔az, 2024년 4월 9일 | |
DF | 나오미 메그로즈/Naomi Mégrozde | 14 | 1 | 취리히de | v. 헝가리hu, 2024년 6월 4일 | |
DF | 마리온 레이/Marion Reyde | 6 | 0 | 바젤de | v. 헝가리hu, 2024년 5월 31일 | |
DF | 카테리나 트라메차니/Caterina Tramezzanide | 0 | 0 | 루체른de | v. 헝가리hu, 2024년 6월 4일 | |
MF | 제랄딘 로이텔러/Géraldine Reutelerde | 73 | 12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v. 프랑스프랑스어, 2024년 10월 29일 | |
MF | 리아 캄버/Lia Kamberde | 2 | 0 | 루체른de | v. 아제르바이잔az, 2024년 7월 16일 | |
MF | 카테리나 레가쪼니/Caterina Regazzonide | 0 | 0 | 노스웨스턴영어 | v. 아제르바이잔az, 2024년 7월 16일 | |
MF | 리아 밸티/Lia Wältide (주장) | 121 | 5 | 아스널영어 | v. 프랑스프랑스어, 2024년 10월 29일 | |
MF | 레이라 완들러/Leila Wandelerde | 0 | 0 | 리옹프랑스어 | v. 폴란드pl, 2024년 2월 27일 | |
FW | 렐라 에글리/Leela Eglide | 1 | 0 | SC 프라이부르크de | v. 폴란드pl, 2024년 2월 27일 | |
FW | 나오미 뤼예/Naomi Luyetde | 5 | 1 | 영 보이스de | v. 프랑스프랑스어, 2024년 10월 29일 | |
FW | 알라야 필그림/Alayah Pilgrimde | 9 | 3 | 로마it | v. 아제르바이잔az, 2024년 4월 9일 |
5. 3. 주요 선수
'''아나 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는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163경기) 및 최다 득점(74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라모나 바흐만'''은 151경기에 출전하여 60골을 기록하고있다. 2018년에 은퇴한 라라 디켄만은 135경기 53골을 기록했다. 알리샤 레만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대표팀에서 활약하고 있다.순위 | 선수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아나 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 | 163 | 74 | 2009년–현재 |
2 | 라모나 바흐만 | 151 | 60 | 2007년–현재 |
3 | 라라 디켄만 | 135 | 53 | 2002년–2018년 |
4 | 마르티나 모저 | 129 | 20 | 2005년–2017년 |
5 | 카롤린 아베 | 127 | 10 | 2006년–2017년 |
6 | 노엘레 마리츠 | 122 | 5 | 2011년–현재 |
7 | 리아 벨티 | 121 | 2 | 2013년–현재 |
8 | 가엘 탈만 | 109 | 0 | 2007년–2023년 |
9 | 에세오사 아이보군 | 99 | 3 | 2013년–현재 |
10 | 바네사 베르나우어 | 91 | 7 | 2006년–2022년 |
11 | 샌디 멘들리 | 89 | 12 | 2006년–2022년 |
12 | 라헬 키빅 | 83 | 14 | 2012년–2022년 |
13 | 파비엔 훔 | 80 | 25 | 2012년–2023년 |
14 | 바네사 뷔르키 | 79 | 10 | 2004년–2017년 |
15 | 마리사 브루너 | 78 | 0 | 2003년–2012년 |
순위 | 선수 | 득점 | 출전 경기 수 | 활동 기간 |
---|---|---|---|---|
1 | 아나 마리아 크르노고르체비치 | 74 | 163 | 2009년–현재 |
2 | 라모나 바흐만 | 60 | 151 | 2007년–현재 |
3 | 라라 디켄만 | 53 | 135 | 2002년–2018년 |
4 | 파비엔느 훔 | 25 | 80 | 2012년–2023년 |
5 | 마르티나 모저 | 20 | 129 | 2005년–2017년 |
6 | 라헬 키빅 | 14 | 83 | 2012년–2022년 |
7 | 쿰바 소 | 13 | 54 | 2018년–현재 |
손야 슈테틀러 스피너 | 13 | 51 | 1984년–1998년 |
6. 역대 성적
6. 1. FIFA 여자 월드컵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여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 올랐으나,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 0-1로 패배하였다.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16강에 진출했으나,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 1-5로 패배하였다.개최국 / 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91 | 예선 탈락 | ||||||
1995 | |||||||
1999 | |||||||
2003 | |||||||
2007 | |||||||
2011 | |||||||
2015 | 16강 | 4 | 1 | 0 | 3 | 11 | 5 |
2019 | 예선 탈락 | ||||||
2023 | 16강 | 4 | 1 | 2 | 1 | 3 | 5 |
총계 | 출전 2회 | 8 | 2 | 2 | 4 | 14 | 10 |
6. 1. 1. FIFA 여자 월드컵 경기 기록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조별 리그에서 일본에 0-1로 패배, 에콰도르에 10-1로 승리, 카메룬에 1-2로 패배했다. 16강에서 캐나다에 0-1로 패배했다.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조별 리그에서 필리핀에 2-0으로 승리, 노르웨이와 0-0으로 무승부, 뉴질랜드와 0-0으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16강에서 스페인에 1-5로 패배했다.
6. 2. 올림픽
1996년부터 2024년까지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개최국 / 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전 | 득점 | 실점 |
---|---|---|---|---|---|---|---|
1996 | 예선 탈락 | ||||||
2000 | |||||||
2004 | |||||||
2008 | |||||||
2012 | |||||||
2016 | |||||||
2021 | |||||||
2024 | |||||||
합계 | 출전 0회 | 0 | 0 | 0 | 0 | 0 | 0 |
6. 3. UEFA 여자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위스는 UEFA 여자 유로 2017과 UEFA 여자 유로 2022에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2017년 대회에서는 1승 1무 1패로 조 3위를 기록했고, 2022년 대회에서는 1무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1984년부터 2013년까지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UEFA 여자 유로 2025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스위스의 UEFA 여자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기록은 다음과 같다.
개최국 / 년도 | 성적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84 | 예선 탈락 | ||||||
1987 | |||||||
1989 | |||||||
1991 | |||||||
1993 | |||||||
1995 | |||||||
1997 | |||||||
2001 | |||||||
2005 | |||||||
2009 | |||||||
2013 | |||||||
2017 | 조별 리그 | 3 | 1 | 1 | 1 | 3 | 3 |
2022 | 조별 리그 | 3 | 0 | 1 | 2 | 4 | 8 |
총계 | 2회 진출 | 6 | 1 | 2 | 3 | 7 | 11 |
예선 기록을 포함한 전체 기록은 다음과 같다.
UEFA 여자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 | rowspan=99| |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 | * | |||||||||||||
1984 | 예선 탈락 | 6 | 1 | 3 | 2 | 4 | 6 | – | ||||||||
1987 | 6 | 1 | 1 | 4 | 5 | 11 | ||||||||||
1989 | 6 | 1 | 1 | 4 | 4 | 28 | ||||||||||
1991 | 6 | 1 | 1 | 4 | 3 | 17 | ||||||||||
1993 | 4 | 0 | 1 | 3 | 0 | 17 | ||||||||||
1995 | 6 | 2 | 1 | 3 | 9 | 23 | ||||||||||
1997 | 8 | 5 | 1 | 2 | 21 | 10 | ||||||||||
2001 | 8 | 1 | 2 | 5 | 2 | 12 | ||||||||||
2005 | 8 | 1 | 2 | 5 | 2 | 13 | ||||||||||
2009 | 8 | 3 | 2 | 3 | 9 | 16 | ||||||||||
2013 | 10 | 5 | 0 | 5 | 29 | 24 | ||||||||||
2017 | 조별 리그 | 3 | 1 | 1 | 1 | 3 | 3 | 8 | 8 | 0 | 0 | 34 | 3 | |||
2022 | 3 | 0 | 1 | 2 | 4 | 8 | 10 | 6 | 3 | 1 | 22 | 8 | ||||
2025 | 본선 진출 | 6 | 5 | 0 | 1 | 14 | 3 | 19위 | ||||||||
합계 | 14개 대회 중 3회 참가 | 6 | 1 | 2 | 3 | 7 | 11 | 100 | 40 | 18 | 42 | 158 | 191 | 19위 |
6. 4.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2023-24 시즌에서 스위스는 리그 A 4조에 속해 6경기를 치러 1승 5패, 2득점 17실점으로 4위를 기록하여 리그 B로 강등되었다. 이 시즌의 전체 순위는 14위였다.2025 시즌에는 리그 A 2조에서 경기를 진행 중이다.
7. FIFA 여자 랭킹
FIFA 여자 랭킹은 2003년부터 발표되었으며, 현재는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14]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FIFA 여자 월드랭킹 최고 순위는 2016년 8월에 기록한 15위이며, 최저 순위는 2007년 6월에 기록한 31위이다.[14] 2024년 8월 기준 최신 순위는 25위이다.[14] 첫 FIFA 여자 랭킹 발표 당시(2003년 7월) 순위는 29위였다.[14]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
29 | 29 | 28 | 28 | 29 | 27 | 29 | 30 | 30 | 27 | 27 | 27 | 28 | 28 | 28 | 29 | 31 | 31 | 30 | 28 | 27 | 28 | 27 | 26 | 26 | 26 | 26 | 26 | 26 | 26 | 26 | 26 | 26 | 26 | 25 | 25 | 26 | 26 | 25 | 26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
25 | 25 | 25 | 22 | 22 | 19 | 18 | 19 | 19 | 21 | 21 | 20 | 19 | 15 | 15 | 17 | 16 | 17 | 16 | 17 | 18 | 18 | 18 | 18 | 18 | 18 | 19 | 19 | 20 | 20 | 20 | 19 | 20 | 20 | 20 | 17 | 19 | 20 | 21 | 21 | 21 |
2023 | 2024 | ||||||
---|---|---|---|---|---|---|---|
20 | 20 | 21 | 22 | 22 | 24 | 25 |
참조
[1]
웹사이트
Fast-improving Switzerland aim for fresh highs
https://www.fifa.com[...]
FIFA
1900-01-01
[2]
뉴스
Canada edge past Switzerland into last eight of Women's World Cup
https://www.theguard[...]
2015-06-21
[3]
웹사이트
An obituary for Switzerland
https://www.sbnation[...]
2015-06-21
[4]
웹사이트
Standings
http://www.uefa.com/[...]
UEFA
[5]
웹사이트
Schweiz gewinnt mit 15:0 – und muss doch in die WM-Playoffs
https://www.srf.ch/s[...]
2022-09-06
[6]
웹사이트
Behind the scenes at a UEFA Champions League
https://kassiesa.net[...]
UEFA
2005-01-19
[7]
웹사이트
Info Magazin Ostschweizer Fussballverband
https://www.ofv.swis[...]
Eastern Swiss Football Association
2014-05-29
[8]
웹사이트
Von Siebenthal steps down as Switzerland coach
https://www.uefa.com[...]
UEFA
2011-12-22
[9]
웹사이트
Switzerland: Martina Voss-Tecklenburg appointed head coach of the national team
http://wsoccernews.c[...]
2012-01-29
[10]
뉴스
Germany name Martina Voss-Tecklenburg as women's coach
https://www.dw.com/e[...]
2018-04-26
[11]
웹사이트
Nils Nielsen named as next Head Coach of the Switzerland WNT
https://medium.com/i[...]
2018-09-19
[12]
웹사이트
Frauen-Nationalteam: Vier Comebacks und zwei neue Gesichter für den Qualifikationsabschluss
https://www.football[...]
[13]
웹사이트
Switzerland 2:2 France
http://www.fifa.com/[...]
FIFA.com
1972-05-04
[14]
웹사이트
Women's Ranking
https://inside.fifa.[...]
2024-08-16
[15]
웹사이트
Switzerland: Martina Voss-Tecklenburg appointed head coach of the national team
http://wsoccernews.c[...]
2012-01-29
[16]
뉴스
Germany name Martina Voss-Tecklenburg as women's coach
https://www.dw.com/e[...]
2018-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