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3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거쳤으며, 스페인이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의 미야자와 히나타가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아이타나 본마티가 골든볼을, 메리 이어프스가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여자 축구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대륙별로 진행되었으며, 아시아, 유럽, 북중미카리브,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서 각 대륙별 예선을 거쳐 총 32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23년 여자 축구 - 2023년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2023년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는 2022년 12월부터 2023년 8월까지의 활약을 기준으로 남녀 선수, 골키퍼, 감독, 푸슈카시상 등을 시상했으며, 리오넬 메시와 아이타나 본마티가 각각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23년 뉴질랜드 - 뉴질랜드의 코로나19 범유행
뉴질랜드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시작되어 국경 폐쇄, 전국 봉쇄 등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확진자 수를 줄였으나, 델타 변이 확산 이후 백신 접종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되었으며, 2022년 대부분의 제한 조치를 해제하고 2023년 4월 3일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227만 명을 넘어섰다. - 2023년 뉴질랜드 - 사이클론 가브리엘
2023년 2월 초 몬순 골짜기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에서 시작된 강력한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멜라네시아, 노퍽 섬, 특히 뉴질랜드 북섬에 큰 피해를 입혀 뉴질랜드 정부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는 등, 호주 지역 사이클론 이름 목록에서 퇴출되었다. - 2023년 오스트레일리아 - 2023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2023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은 노바크 조코비치, 아리나 사발렌카 등이 우승하고 총 상금 7,650만 호주 달러 규모로 개최되었으며, 러시아 및 벨라루스 국기 게양을 금지하고 CJ ENM에서 중계했다. - 2023년 오스트레일리아 - 2023년 말루쿠주 지진
2023년 12월 1일 인도네시아 말루쿠주에서 발생한 규모 7.0의 지진으로 최소 4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했으며, 건물 붕괴 및 파손 피해와 얌데나 섬 북부 해안에서 새로운 섬이 출현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다른 명칭 | FIFA Women's World Cup 2023 (영어) FIFA Wahine o te Ipu o te Ao 2023 (마오리어) |
![]() | |
개최 기간 | 2023년 7월 20일 – 8월 20일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참가 팀 수 | 32개 |
대륙 | 6 |
경기장 수 | 10 |
도시 수 | 9 |
총 관중 수 | 1,978,274 |
결과 | |
우승 | 스페인 (1회) |
준우승 | 잉글랜드 |
3위 | 스웨덴 |
4위 | 오스트레일리아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미야자와 히나타 (5골) |
최우수 선수 | 아이타나 본마티 |
신인 선수상 | 살마 파라유엘로 |
최우수 골키퍼 | 매리 어프스 |
페어플레이상 | 일본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
다음 대회 | 2027년 FIFA 여자 월드컵 |
2. 개최국 선정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국은 2020년 6월 25일 FIFA 평의회의 온라인 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다.[245] 개최국 결정은 당초 2020년 5월로 예정되었으나[228],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 등으로 연기되었다.[243][244]
최종 투표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공동 유치안과 콜롬비아의 유치안이 경쟁했다. 투표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콜롬비아를 누르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41][42][245]
2. 1. 유치 신청 국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치 신청 절차는 2019년 2월 19일에 시작되었다.[32] 유치를 희망하는 회원 협회는 3월 15일까지 의향서를 제출하고, 4월 16일까지 유치 등록을 완료해야 했다. 하지만 2019년 7월 31일, FIFA는 본선 참가국을 32개 팀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하면서 유치 일정을 변경했다.[47] 이에 따라 새로운 유치 희망 협회는 8월 16일까지 의향서를 제출하고, 9월 2일까지 유치 등록을 완료하거나 기존 신청 내용을 재확인해야 했다.[33]처음에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공동 유치에 관심 표명),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총 9개국이 유치에 관심을 보였다.[34][226][227] 이후 벨기에도 관심을 표명했으나, 2019년 9월에 볼리비아와 함께 유치를 포기했다.[35][36][228]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공동 유치로 방향을 전환하여 신청서를 통합했다.[37][234] 브라질, 콜롬비아, 일본은 2019년 12월 13일까지 FIFA에 최종 유치 제안서를 제출했다.[38][229][230]
그러나 최종 투표를 앞두고 여러 국가가 유치 신청을 철회하거나 보류했다.
- 유치 신청 철회 또는 보류 국가:
- 태국: 유치를 검토했으나 신청하지 않았다.[235]
- 볼리비아: 2019년 9월 유치 포기.[228]
- 벨기에: 유치 가능성이 보도되었으나[236][237], 최종적으로 입후보하지 않았다.[228][230][238] 벨기에 왕립 축구 협회는 FIFA에 유치 요강을 문의한 것은 사실이나, 2023년 대회 유치를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237]
- 아르헨티나: 2019년 12월 유치 철회.[229][230]
-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9년 12월 유치 철회. 국내 리그 강화에 집중하고, 2027 FIFA 여자 월드컵 유치 가능성을 시사했다.[229][230][239]
- 대한민국: 북한과의 공동 개최를 검토했으나, 2019년 12월 유치를 철회했다. 이는 남북 관계 경색과 FIFA 규정 준수의 어려움 때문으로 분석된다.[229][230]
- 브라질: 2020년 6월 8일 유치 철회를 발표했다.[39][240]
- 일본: 2019년 럭비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부담으로 인해 2020년 6월 22일 유치를 철회했다.[40][241][242]
개최국 결정은 당초 2020년 5월로 예정되었으나[228],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등으로 연기되어 2020년 6월 25일에 FIFA 평의회의 온라인 회의에서 투표로 진행되었다.[243][244]
최종 후보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공동 유치, 그리고 콜롬비아였다. 투표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총 35표 중 22표를 얻어 콜롬비아(13표)를 누르고 개최권을 획득했다.[41][42][245]
이번 결정으로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역사상 처음으로 두 개 이상의 국가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여자 월드컵이 되었다. 또한 남반구에서 열리는 최초의 여자 월드컵이자, 오세아니아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FIFA 주관 성인 대회이며, 서로 다른 대륙 연맹(AFC의 오스트레일리아, OFC의 뉴질랜드) 소속 국가가 공동 개최하는 최초의 FIFA 토너먼트이기도 하다.[43] 오스트레일리아는 1991년과 2007년 대회를 개최한 중국에 이어 AFC 회원국 중 두 번째로 여자 월드컵을 유치하게 되었다.[43]
2. 2. 유치 철회 국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치 신청은 2019년 2월 19일에 시작되었다.[32] 처음에는 아르헨티나, 호주,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일본, 대한민국 (북한과의 공동 유치에 관심 표명),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9개국이 유치에 관심을 보였다.[34] 이후 벨기에도 관심을 표명했으나[236][237], 최종적으로 여러 국가가 유치를 철회하거나 보류했다.최종 투표까지 입후보를 유지한 국가는 호주-뉴질랜드(공동 유치)와 콜롬비아였으며[229][230], 호주-뉴질랜드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41] 유치 과정에서 입후보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 '''태국''': 유치를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입후보하지 않았다.[235]
- '''볼리비아''': 2019년 9월 3일 발표된 입후보국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28][36]
- '''벨기에''': 2019년 9월 3일 발표된 입후보국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28][35] 벨기에 왕립 축구 협회는 FIFA에 유치 요강을 문의했지만, 2023년 대회 입후보 목적은 아니었다고 밝혔다.[237]
- '''아르헨티나''': 2019년 12월 13일 발표된 입후보국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29][230]
-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9년 12월 13일 발표된 입후보국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29][230]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협회는 국내 리그 강화가 우선이며, 2027 FIFA 여자 월드컵 유치 가능성을 시사했다.[239]
- '''대한민국''' (북한과의 공동 개최 검토): 2019년 12월 13일 발표된 입후보국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29] 남북 공동 유치를 검토했으나, 당시 한반도 정세와 FIFA 규정 준수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유치를 철회했다.[230]
- '''브라질''': 최종 입찰서를 제출했으나,[38] 2020년 6월 8일 브라질 축구 연맹이 입후보 철회를 발표했다.[39][240]
- '''일본''': 최종 입찰서를 제출했으나,[38] 2019년 럭비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등을 고려하여[241] 2020년 6월 22일 일본 축구 협회가 입후보 철회를 발표했다.[40][242]
3. 대회 형식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참가팀이 3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이 토너먼트는 8개의 라운드 로빈 방식 조별 리그를 거쳐,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6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는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린다.
4. 예선
FIFA의 각 대륙별 연맹은 대륙 선수권 대회를 통해 예선을 조직했으며, 자체 예선 대회를 운영한 UEFA는 예외였다.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207개 FIFA 회원국 협회는 예선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팀인 미국은 2022 CONCACAF W 챔피언십을 통해 예선에 참가했다.[73][74]
예선 과정에서 여러 국가가 참가하지 못하거나 기권했다. 차드와 파키스탄은 FIFA로부터 자격 정지를 받아 참가가 제외되었다.[75] 르완다, 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는 예선 참가 신청 후 기권했으며,[76][77][78][79] 케냐는 예선 2라운드 전에 기권했다.[80] 북한과 투르크메니스탄은 COVID-19 팬데믹 관련 안전 문제 및 이동 제한으로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 기권했다.[81] 이라크는 AFC 조 추첨 이후 기권했고,[82] 아프가니스탄은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장악 이후 여자 스포츠 활동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권했다.[83] 개최국 인도는 COVID-19 발생으로 인해 여자 아시안컵 본선 도중 기권 처리되었다.[84] 아메리칸사모아는 팬데믹 관련 문제로 기권했다.[85]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FIFA 및 UEFA 주관 대회 참가가 금지되어 예선에서 실격 처리되었다.[86][316][317]
본선 진출 32개 팀 중 29개 팀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결정되었고, 나머지 3개 팀은 10개 팀이 참가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되었다.[87][88][89] 이번 예선을 통해 아이티, 모로코, 파나마, 필리핀, 포르투갈, 아일랜드, 베트남, 잠비아 등 8개국이 처음으로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반면,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던 태국, 카메룬, 칠레, 스코틀랜드는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4. 1. 대륙별 본선 진출권 배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본선 진출하였다. 대륙별 본선 참가팀 수 배분은 2020년 12월 24일에 FIFA 평의회 사무국에 의해 승인되었다.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본선 진출권은 각 팀이 속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의 쿼터에서 직접 배정되었다.[309]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6장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 1장 포함)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4장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4장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3장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1장 (개최국 뉴질랜드 1장 포함)
- 유럽 축구 연맹 (UEFA): 11장
- 대륙간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승자: 3장
10개 팀이 참가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3팀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플레이오프 참가팀의 대륙별 배분은 다음과 같다.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2장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2장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2장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2장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1장
- 유럽 축구 연맹 (UEFA): 1장
한편, 러시아는 세계 반도핑 기구(WADA)로부터 도핑 샘플 조작 혐의로 4년간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 참가 금지 징계를 받았으나[310], 이 결정은 월드컵 본선에만 해당되어 예선 참가는 가능했다.[311]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는 이 징계를 2년으로 감경했다.[313][314] 만약 러시아가 본선에 진출했다면, 징계가 2022년 12월 16일에 종료되므로 국가명, 국기, 국가를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314][315]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축구 연맹(FIFA)과 유럽 축구 연맹(UEFA)은 2022년 2월 28일 러시아의 모든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시켰고,[316] 2022년 5월 2일 UEFA는 러시아를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실격 처리하고 관련 경기 결과를 무효화했다.[317]
4. 2. 본선 진출국
2020년 12월 24일에 FIFA는 대륙별 연맹별 출전 쿼터를 발표했다.[247]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는 총 32개국이 진출했으며, 이는 2019년 대회의 24개국에서 확대된 것이다. 공동 개최국인 호주와 뉴질랜드는 자동으로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본선 진출국은 다음과 같다.
- "출전 쿼터 수"의 "H"는 개최국 쿼터, "P"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쿼터이다.
- "FIFA 랭킹" (FIFA 여자 랭킹)은 조 추첨에 사용된 2022년 11월 13일자 순위를 나타낸다.
- "○"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출전이 결정된 팀을 의미한다.
대륙 연맹 | 출전 쿼터 수 | 예선 대회 | 예선 순위 | 출전국/지역 | 출전 결정일 | 출전 횟수 | 최고 성적 | FIFA 랭킹 | 비고 |
---|---|---|---|---|---|---|---|---|---|
AFC (아시아) | H+5+P2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2020년 12월 24일 (2020년 6월 25일) | 8회 연속 8회 | 8강 (2007, 2011, 2015) | 13위 | ||
아시안컵 | 우승 | 중국 | 2022년 1월 30일 | 3회 연속 8회 | 준우승 (1999) | 15위 | |||
준우승 | 대한민국 | 2022년 1월 30일 | 3회 연속 4회 | 16강 (2015) | 17위 | ||||
3위 | 일본 | 2022년 1월 30일 | 9회 연속 9회 | 우승 (2011) | 11위 | ||||
3위 | 필리핀 | 2022년 1월 30일 | 첫 출전 | - | 53위 | ||||
5위 | 베트남 | 2022년 2월 6일 | 첫 출전 | - | 34위 | ||||
OFC (오세아니아) | H+P1 | 개최국 | 뉴질랜드 | 2020년 12월 24일 (2020년 6월 25일) | 5회 연속 6회 | 조별 리그 탈락 (1991, 2007, 2011, 2015, 2019) | 22위 | ||
네이션스컵 | 본선 출전 팀 없음 | ||||||||
CAF (아프리카) | 4+P2 | 네이션스컵[248] | 우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22년 7월 23일 | 2회 연속 2회 | 조별 리그 탈락 (2019) | 54위 | |
준우승 | 모로코 | 2022년 7월 23일 | 첫 출전 | - | 76위 | ||||
3위 | 잠비아 | 2022년 7월 22일 | 첫 출전 | - | 81위 | ||||
4위 | 나이지리아 | 2022년 7월 22일 | 9회 연속 9회 | 8강 (1999) | 45위 | ||||
CONCACAF (북중미/카리브해) | 4+P2 | W 챔피언십 | 우승 | 미국 | 2022년 7월 7일 | 9회 연속 9회 | 우승 (1991, 1999, 2015, 2019) | 1위 | |
준우승 | 캐나다 | 2022년 7월 8일[249] | 8회 연속 8회 | 4위 (2003) | 7위 | ||||
3위 | 자메이카 | 2022년 7월 11일 | 2회 연속 2회 | 조별 리그 탈락 (2019) | 43위 | ||||
4위 | 코스타리카 | 2022년 7월 8일[249] | 2회 만의 2회 | 조별 리그 탈락 (2015) | 37위 | ||||
A조 3위 | 아이티 | 2023년 2월 22일 | 첫 출전 | - | 56위 | ○[250] | |||
B조 3위 | 파나마 | 2023년 2월 23일 | 첫 출전 | - | 57위 | ○[250] | |||
CONMEBOL (남미) | 3+P2 | 코파 아메리카[251] | 우승 | 브라질 | 2022년 7월 26일 | 9회 연속 9회 | 준우승 (2007) | 9위 | |
준우승 | 콜롬비아 | 2022년 7월 25일 | 2회 만의 3회 | 16강 (2015) | 27위 | ||||
3위 | 아르헨티나 | 2022년 7월 29일 | 2회 연속 4회 | 조별 리그 탈락 (2003, 2007,2019) | 29위 | ||||
UEFA (유럽) | 11+P1 | 유럽 예선[252] | A조 1위 | 스웨덴 | 2022년 4월 12일 | 9회 연속 9회 | 준우승 (2003) | 2위 | |
B조 1위 | 스페인 | 2022년 4월 12일 | 3회 연속 3회 | 16강 (2019) | 6위 | ||||
C조 1위 | 네덜란드 | 2022년 9월 6일 | 3회 연속 3회 | 준우승 (2019) | 8위 | ||||
D조 1위 | 잉글랜드 | 2022년 9월 3일 | 5회 연속 6회 | 3위 (2015) | 4위 | ||||
E조 1위 | 덴마크 | 2022년 5월 2일2022년5월 2일에 UEFA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러시아 대표팀의 자격을 정지하고 여자 월드컵 예선 참가 자격을 박탈했다. 해당 예선에서 러시아 대표팀이 치른 경기의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으며, 그 결과 유럽 예선 E조에서 덴마크 대표팀의 본선 출전이 확정되었다.[253] | 4회 만의 5회 | 8강 (1991, 1995) | 18위 | ||||
F조 1위 | 노르웨이 | 2022년 9월 2일 | 9회 연속 9회 | 우승 (1995) | 12위 | ||||
G조 1위 | 이탈리아 | 2022년 9월 6일 | 2회 연속 4회 | 8강 (1991, 2019) | 14위 | ||||
H조 1위 | 독일 | 2022년 9월 3일 | 9회 연속 9회 | 우승 (2003, 2007) | 3위 | ||||
I조 1위 | 프랑스 | 2022년 4월 12일 | 4회 연속 5회 | 4위 (2011) | 5위 | ||||
플레이오프 1위 | 스위스 | 2022년 10월 11일 | 2회 만의 2회 | 16강 (2015) | 21위 | ||||
플레이오프 2위 | 아일랜드 | 2022년 10월 11일 | 첫 출전 | - | 24위 | ||||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 포르투갈 | 2023년 2월 22일 | 첫 출전 | - | 23위 | ○[255] |
아이티, 모로코, 파나마, 필리핀, 포르투갈, 아일랜드, 베트남, 잠비아는 이번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특히 필리핀은 남녀를 통틀어 FIFA 주관 대회 본선에 처음 진출했으며, 파나마, 포르투갈, 베트남은 FIFA 여자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 잠비아는 남녀 대표팀을 통틀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최초의 아프리카 내륙 국가가 되었고, 모로코는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최초의 아랍 국가가 되었다.[89][90] 아일랜드는 시니어 여자 국가대표팀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덴마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본선에 복귀했으며,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스위스는 2019년 대회에 불참한 후 다시 본선에 진출했다.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90][89] 아프리카는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91]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국 중 태국, 카메룬, 칠레, 스코틀랜드는 이번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아이슬란드는 본선 진출에 실패한 팀 중 FIFA 랭킹(16위)이 가장 높았다. 잠비아는 본선 진출국 중 FIFA 랭킹(81위)이 가장 낮았다.[92]
5.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공동 개최를 위해 FIFA에 12개 도시의 13개 경기장을 제안했다.[49][261] FIFA는 유치 평가 보고서에서 제안된 경기장 대부분이 기준을 충족하지만, 애들레이드의 하인드마시 스타디움과 오클랜드의 이든 파크는 특정 단계 경기 개최를 위한 최소 수용 인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언급했다.[51]
2021년 3월 31일, FIFA는 최종 개최 도시와 경기장을 확정 발표했다. 오스트레일리아 5개 도시의 6개 경기장, 뉴질랜드 4개 도시의 4개 경기장, 총 9개 도시 10개 경기장이 선정되었다.[54][55][262][263] 최초 제안에 포함되었던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캐슬, 론세스턴과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는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54][55]
대회 개막전은 2023년 7월 20일 뉴질랜드와 노르웨이의 경기로 오클랜드의 이든 파크에서 열렸으며,[27][54][55] 결승전은 8월 20일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었다.[54][55][58] 3위 결정전은 브리즈번의 랭 파크에서 진행되었다.[58]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은 대회를 위해 새로 건설된 유일한 경기장으로, 기존 경기장을 철거하고 같은 자리에 지어 2022년 8월에 개장했다.[50] 다른 경기장들도 대회 기준에 맞춰 조명 개선, 경기장 표면 정비,[52] 성 중립 탈의실 설치 등[53]의 시설 개선 작업을 거쳤다.
이번 대회에서는 개최 도시의 영어 이름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 언어 이름 및 뉴질랜드의 마오리어 이름을 병기하여 "토착민과의 화해와 존중"을 표방했다.[56][57] 각 국가별 개최 도시와 경기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자 월드컵 개최로 인해 내셔널 럭비 리그(NRL) 등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국내 스포츠 리그 팀들은 대회 기간 동안 FIFA의 경기장 사용 제한 조치로 인해 임시로 다른 경기장을 이용해야 했다.[59]
5. 1. 오스트레일리아 (5개 도시, 6개 경기장)
2021년 3월 31일, FIFA는 최종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선정을 발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5개 도시와 6개 경기장이 사용되었다.[54][55] 당초 유치 제안에 포함되었던 뉴캐슬과 론세스턴은 최종 선정에서 제외되었다.[54][55]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고,[54][55] 브리즈번의 랭 파크는 3위 결정전을 개최했다.[58]대회 브랜딩의 일환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개최 도시는 영어 이름과 함께 해당 지역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이름을 병기하여 "토착민과의 화해와 존중"을 표현하고자 했다.[56] 사용된 원주민 이름은 다음과 같다: 타른타냐(Tarntanya, 애들레이드), 미앤진(Meaanjin, 브리즈번), 나암(Naarm, 멜버른), 보로(Boorloo, 퍼스), 가디갈(Gadigal, 시드니 동부 -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왕갈(Wangal, 시드니 서부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57]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은 유치 과정에서 대대적인 재건축을 거쳐 기존의 구 풋볼 스타디움을 대체했으며, 2022년 8월 28일에 개장했다.[50] 유치 신청서에 포함된 대부분의 경기장은 새로운 조명 설치, 경기장 표면 개선[52] 등과 더불어 대회 기준에 맞춰 성 중립적인 탈의실을 갖추는 등 일부 시설 개선이 계획되었다.[53]
도시 (원주민 이름) | 경기장 | 수용 인원 | 이미지 |
---|---|---|---|
시드니 (가디갈 / 왕갈)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75,784[60] | ![]() |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 40,583[61] | ![]() | |
브리즈번 (미앤진) | 랭 파크 | 49,461[62] | |
멜버른 (나암)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27,706[65] | ![]() |
퍼스 (보로) | 퍼스 렉탱귤러 스타디움 | 18,727[66] | ![]() |
애들레이드 (타른타냐) |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 13,557[67] |
5. 2. 뉴질랜드 (4개 도시, 4개 경기장)
2021년 3월 31일, FIFA는 최종 개최 도시와 경기장을 발표했으며, 뉴질랜드에서는 4개 도시의 4개 경기장이 선정되었다.[54][55][262][263] 당초 유치 제안서에 포함되었던 크라이스트처치는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54][55] 브랜딩의 일환으로 모든 개최 도시는 영어 이름과 함께 마오리어 이름을 병기하여 "토지 원주민의 화해와 존중"을 나타내고자 하였다.[56] 사용된 마오리어 이름은 타마키 마카우라우(오클랜드), 테 팡가누이아타라(웰링턴), 오테포티(더니든), 키리키리로아(해밀턴)이다.[57] 오클랜드의 이든 파크에서는 개막 경기가 열렸다.[54][55]뉴질랜드 | |||
---|---|---|---|
오클랜드 (타마키 마카우라우) | 웰링턴 (테 팡가누이아타라) | 더니든 (오테포티) | 해밀턴 (키리키리로아) |
이든 파크 |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 와이카토 스타디움 |
수용 인원: 43,217명[63] | 수용 인원: 33,132명[64] | 수용 인원: 25,947명[68] | 수용 인원: 18,009명[69] |
![]() | ![]() | ![]() | ![]() |
6. 조 추첨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조 추첨은 2022년 10월 22일 19:30 뉴질랜드 표준시(NZDT, UTC+13)에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아오테아 센터에서 진행되었다.[256][257]
6. 1. 시드 배정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조 추첨은 2022년 10월 22일 19:30 뉴질랜드 표준시(NZDT, UTC+13)에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아오테아 센터에서 진행되었다.[256][257] 시드 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258]- 조 추첨에서는 2022년 10월 13일자 FIFA 여자 랭킹에 따라 32개 팀이 4개의 포트로 나뉜다. 포트 1에는 공동 개최국인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각각 A1, B1 시드에 자동 배정)와 랭킹 상위 6개 팀이 포함된다. 포트 2에는 그다음 순위 8개 팀이, 포트 3에는 그다음 순위 8개 팀이, 포트 4에는 나머지 5개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3개 팀의 자리가 포함된다.
- 조 추첨 시점에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완료되지 않아, 해당 플레이오프 승자 자리는 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추첨을 진행했다.
-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를 제외한 팀들은, UEFA 소속 팀은 각 조에 1팀 또는 2팀이 배정되고, 다른 대륙 연맹 소속 팀은 각 조에 최대 1팀만 배정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단,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팀은 어느 대륙 연맹 소속 팀이 진출할지 미정이었으므로, 중복 배정 제한을 완화하여 "같은 조에 같은 대륙 연맹 팀은 최대 2팀까지만 들어갈 수 있다"는 조건만 설정했다. (이 조건은 UEFA에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UEFA 팀이 배정될 가능성이 있는 자리는 이미 UEFA 팀이 2팀 포함된 조에는 배정되지 않도록 처리했다.)
조 추첨 포트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2022년 10월 13일 기준 FIFA 여자 랭킹)[259]
포트 |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팀 | 오스트레일리아 (13) ※공동 개최국 | 캐나다 (7) | 덴마크 (18) | 나이지리아 (45) |
뉴질랜드 (22) ※공동 개최국 | 네덜란드 (8) | 스위스 (21) | 필리핀 (53) | |
미국 (1) | 브라질 (9) | 아일랜드 (24) | 남아프리카 공화국 (54) | |
스웨덴 (2) | 일본 (11) | 콜롬비아 (27) | 모로코 (76) | |
독일 (3) | 노르웨이 (12) | 아르헨티나 (29) | 잠비아 (81) | |
잉글랜드 (4) | 이탈리아 (14) | 베트남 (34) | 포르투갈 (23) ※플레이오프 승자 | |
프랑스 (5) | 중국 (15) | 코스타리카 (37) | 아이티 (56) ※플레이오프 승자 | |
스페인 (6) | 대한민국 (17) | 자메이카 (43) | 파나마 (57) ※플레이오프 승자 |
'''조 추첨 결과'''
조 |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A조 | 뉴질랜드 (22) | 노르웨이 (12) | 필리핀 (53) | 스위스 (21) |
B조 | 오스트레일리아 (13) | 아일랜드 (24) | 나이지리아 (45) | 캐나다 (7) |
C조 | 스페인 (6) | 코스타리카 (37) | 잠비아 (81) | 일본 (11) |
D조 | 잉글랜드 (4) | 아이티 (56) | 덴마크 (18) | 중국 (15) |
E조 | 미국 (1) | 베트남 (34) | 네덜란드 (8) | 포르투갈 (23) |
F조 | 프랑스 (5) | 자메이카 (43) | 브라질 (9) | 파나마 (57) |
G조 | 스웨덴 (2) | 남아프리카 공화국 (54) | 이탈리아 (14) | 아르헨티나 (29) |
H조 | 독일 (3) | 모로코 (76) | 콜롬비아 (27) | 대한민국 (17) |
7.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부터 참가팀이 32개 팀으로 확대되었으며,[20] 참가국들은 4개 팀씩 8개 조(A조부터 H조까지)로 나뉘었다. 각 조의 팀들은 리그전 방식으로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22]
조별 리그의 각 조는 다음 개최국에 할당되었다.[265]
7. 1. A조
조별 리그는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참가국들은 4개 팀씩 8개 조(A조부터 H조까지)로 나뉘어 각 조의 팀들은 풀 리그 방식으로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22] A조 경기는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더니든, 해밀턴, 웰링턴에서 열렸다.[265] 뉴질랜드에서 열리는 대회 개막전은 2023년7월 20일에 이든 파크에서 A조 경기로 치러졌다.[264][265]조별 리그에서 팀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122]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페어 플레이 점수 (한 경기에서 한 선수에게 단 한 번의 감점만 적용 가능):
#* 경고: −1점
#*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 직접 퇴장: −4점
#* 경고 후 직접 퇴장: −5점
# 추첨
자세한 내용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A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2. B조
B조 경기는 호주(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시드니)에서 진행되었다.[265]'''자세한 내용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3. C조
C조 경기는 뉴질랜드(오클랜드, 더니든, 해밀턴, 웰링턴)에서 진행되었다.[265]참가국들은 4개 팀씩 8개 조(A조부터 H조까지)로 나뉘었으며, C조도 그중 하나이다. 각 조의 팀들은 풀 리그 방식으로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22]
7. 4. D조
D조 경기는 호주의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시드니에서 진행되었다.[265]7. 5. E조
자세한 내용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E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E조 경기는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더니든, 해밀턴, 웰링턴에서 진행되었다.[265]
7. 6. F조
F조의 경기 결과 및 순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F조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F조의 모든 경기는 호주의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시드니 등에서 분산되어 열렸다.[265]7. 7. G조
조별 리그는 7월 20일부터 8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G조를 포함한 참가국들은 4개 팀씩 8개 조(A조부터 H조까지)로 나뉘었다. 각 조의 팀들은 리그전 방식으로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22] G조 경기는 뉴질랜드(오클랜드, 더니든, 해밀턴, 웰링턴)에서 열렸다.[265]
7. 8. H조
H조 경기는 호주(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시드니)에서 진행되었다.[265] 각 팀은 리그전 방식으로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조별 리그 결과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22]8. 결선 토너먼트
조별 리그 각 조의 상위 2팀, 총 16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단계이다. 정규 시간 90분 종료 후에도 경기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각 15분씩 두 번)을 진행하며, 연장전 후에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스페인이 사상 첫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잉글랜드가 준우승, 스웨덴이 3위를 기록했다. 개최국 호주는 4위에 올랐다.
결승전에 앞서 2023년 8월 20일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대회의 폐막식이 열렸으며, 웰컴 투 컨트리 공연과 호주 가수 톤스 앤 아이의 공연이 펼쳐졌다.[109] 또한 뉴질랜드에서의 마지막 경기였던 오클랜드 이든 파크의 첫 번째 준결승전 전에는 마오리족의 포이 공연이 포함된 확대된 사전 경기 행사가 있었다.[110]
8. 1. 대진표
PSOPSO
(a.e.t.)
P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