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칸듐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칸듐은 자연에서 유일하게 안정 동위 원소인 스칸듐-45(45Sc)를 가지며, 36Sc부터 62Sc까지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갖는다. 스칸듐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양성자 방출, 베타 붕괴(β+, β-), 중성자 방출 등 다양한 붕괴 방식을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된다. 또한, 다양한 준안정 동위 원소(핵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스칸듐 동위 원소
핵종 정보
기호Sc
스칸듐-44m2
질량수44m2
반감기58.61시간
붕괴 방식IT (스칸듐-44)
γ (스칸듐-44)
ε (칼슘-44)
모핵종스칸듐-44
딸핵종칼슘-44
스칸듐-45
질량수45
존재 비율100%
안정성안정
스칸듐-46
질량수46
반감기83.79일
붕괴 방식β- (티타늄-46)
감마선γ
딸핵종티타늄-46
스칸듐-47
질량수47
반감기80.38시간
붕괴 방식β− (티타늄-47)
감마선γ
딸핵종티타늄-47
스칸듐-48
질량수48
반감기43.67시간
붕괴 방식β− (티타늄-48)
감마선γ
딸핵종티타늄-48

2. 스칸듐 동위 원소

스칸듐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인 45Sc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진다.

== 안정 동위 원소 ==45Sc는 스칸듐의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이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스칸듐의 100%를 차지한다.[3][4][5] 핵 스핀은 7/2-이다.

== 방사성 동위 원소 ==

스칸듐은 36Sc부터 62Sc까지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진다.[3][4] 이들은 양성자 방출, 베타 붕괴+, β-), 중성자 방출 등 다양한 붕괴 방식을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된다.[5]


  • '''베타 붕괴 (β-):'''
  • 46Sc은 반감기가 83.79일로 비교적 길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6Ti(타이타늄)으로 붕괴한다.[3][4]
  • 47Sc은 반감기가 3.3492일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7Ti으로 붕괴한다.[3][4]
  • 48Sc은 반감기가 43.67시간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8Ti으로 붕괴한다.[3][4]
  • 49Sc은 반감기가 57.2분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9Ti으로 붕괴한다.[3][4]
  • 50Sc은 반감기가 102.5초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50Ti으로 붕괴한다.[3][4]
  • 이 외에도 51Sc, 52Sc, 53Sc, 54Sc, 55Sc, 56Sc, 57Sc, 58Sc, 59Sc, 60Sc, 61Sc, 62Sc 등이 베타 붕괴를 한다.

  • '''베타 붕괴 (β+):'''
  • 40Sc은 182.3 ms의 반감기를 가지며 99.54%는 베타 붕괴+)를 통해 '''40Ca'''로 붕괴하고, 0.44%는 β+, p 붕괴를 통해 '''39K'''로, 0.017%는 β+, α 붕괴를 통해 '''36Ar''' 붕괴한다.[3][4]
  • 41Sc, 42Sc, 43Sc, 44Sc도 베타 붕괴+)를 통해 각각 41Ca, '''42Ca''', '''43Ca''', '''44Ca'''로 붕괴한다.

  • '''준안정 동위 원소:''' 다양한 준안정 동위 원소(핵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이들은 감마선 방출(IT) 또는 베타 붕괴 등을 통해 더 안정한 상태로 붕괴한다.
  • 예를 들어 44m2Sc는 58.61시간의 반감기를 가지고 98.8%는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44Sc으로 붕괴하고 1.2%는 β+ 붕괴를 통해 '''44Ca'''로 붕괴한다.
  • 54mSc는 110 keV의 들뜬 에너지를 가지며 2.77 μs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54Sc로 붕괴한다.


== 동위 원소 표 ==

핵종Z(양성자)N(중성자)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붕괴 방식[3][4]붕괴 생성물[5]핵 스핀대표적 동위 원소 조성비
(몰 분율)
자연적 조성비 변동 범위
(몰 분율)
36Sc211536.01492(54)#p35Ca
37Sc211637.00305(32)#p36Ca7/2-#
38Sc211737.99470(32)#<300 nsp37Ca(2-)#
39Sc211838.984790(26)<300 nsp38Ca(7/2-)#
40Sc211939.977967(3)182.3(7) msβ+ (99.54%)40Ca4-rowspan=3|rowspan=3|
β+, p (.44%)39K
β+, α (.017%)36Ar
41Sc212040.96925113(24)596.3(17) msβ+41Ca7/2-
42Sc212141.96551643(29)681.3(7) msβ+42Ca0+
42mSc616.28(6) keV61.7(4) sβ+42Ca(7,5,6)+
43Sc212242.9611507(20)3.891(12) hβ+43Ca7/2-
43m1Sc151.4(2) keV438(7) µs3/2+
43m2Sc3123.2(3) keV470(4) ns(19/2)-
44Sc212343.9594028(19)3.97(4) hβ+44Ca2+
44m2Sc270.95(20) keV58.61(10) hIT (98.8%)44Sc6+rowspan=2|rowspan=2|
β+ (1.2%)44Ca
45Sc212444.9559119(9)안정7/2-1.0000
45mSc12.40(5) keV318(7) msIT45Sc3/2+
46Sc212545.9551719(9)83.79(4) dβ-46Ti4+
46m2Sc142.528(7) keV18.75(4) sIT46Sc1-
47Sc212646.9524075(22)3.3492(6) dβ-47Ti7/2-
48Sc212747.952231(6)43.67(9) hβ-48Ti6+
49Sc212848.950024(4)57.2(2) minβ-49Ti7/2-
50Sc212949.952188(17)102.5(5) sβ-50Ti5+
50mSc256.895(10) keV350(40) msIT (97.5%)50Sc2+,3+rowspan=2|rowspan=2|
β- (2.5%)50Ti
51Sc213050.953603(22)12.4(1) sβ-51Ti(7/2)-
52Sc213151.95668(21)8.2(2) sβ-52Ti3(+)
53Sc213252.95961(32)#>3 sβ- (>99.9%)53Ti(7/2-)#rowspan=2|rowspan=2|
β-, n (<.1%)52Ti
54Sc213353.96326(40)260(30) msβ- (>99.9%)54Ti3+#rowspan=2|rowspan=2|
β-, n (<.1%)53Ti
55Sc213454.96824(79)0.115(15) sβ- (>99.9%)55Ti7/2-#
56Sc213555.97287(75)#35(5) msβ-56Ti(1+)
57Sc213656.97779(75)#13(4) msβ-57Ti7/2-#
58Sc213757.98371(86)#12(5) msβ-58Ti(3+)#
59Sc213858.98922(97)#10# msβ-, n58Ti7/2-#rowspan=2|rowspan=2|
β-59Ti
60Sc213959.99571(97)#3# ms3+#


2. 1. 안정 동위 원소

스칸듐-45(45Sc)는 스칸듐의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이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스칸듐의 100%를 차지한다.[3][4][5] 핵 스핀은 7/2-이다.

2. 2. 방사성 동위 원소

스칸듐은 36Sc부터 62Sc까지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진다.[3][4] 이들은 양성자 방출, 베타 붕괴(β+, β-), 중성자 방출 등 다양한 붕괴 방식을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된다.[5]

  • 베타 붕괴 (β-):
  • 46Sc은 반감기가 83.79일로 비교적 길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6Ti(타이타늄)으로 붕괴한다.[3][4]
  • 47Sc은 반감기가 3.3492일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7Ti으로 붕괴한다.[3][4]
  • 48Sc은 반감기가 43.67시간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8Ti으로 붕괴한다.[3][4]
  • 49Sc은 반감기가 57.2분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49Ti으로 붕괴한다.[3][4]
  • 50Sc은 반감기가 102.5초이며, 베타 붕괴를 통해 안정한 50Ti으로 붕괴한다.[3][4]
  • 이 외에도 51Sc, 52Sc, 53Sc, 54Sc, 55Sc, 56Sc, 57Sc, 58Sc, 59Sc, 60Sc, 61Sc, 62Sc 등이 베타 붕괴를 한다.

  • 베타 붕괴 (β+):
  • 40Sc은 182.3 ms의 반감기를 가지며 99.54%는 베타 붕괴(β+)를 통해 '''40Ca'''로 붕괴하고, 0.44%는 β+, p 붕괴를 통해 '''39K'''로, 0.017%는 β+, α 붕괴를 통해 '''36Ar''' 붕괴한다.[3][4]
  • 41Sc, 42Sc, 43Sc, 44Sc도 베타 붕괴(β+)를 통해 각각 41Ca, '''42Ca''', '''43Ca''', '''44Ca'''로 붕괴한다.

  • 양성자 방출: 36Sc, 37Sc, 38Sc, 39Sc은 양성자 방출을 통해 각각 35Ca, 36Ca, 37Ca, 38Ca로 붕괴한다.

  • 준안정 동위 원소: 다양한 준안정 동위 원소(핵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이들은 감마선 방출(IT) 또는 베타 붕괴 등을 통해 더 안정한 상태로 붕괴한다.
  • 예를 들어 44m2Sc는 58.61시간의 반감기를 가지고 98.8%는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44Sc으로 붕괴하고 1.2%는 β+ 붕괴를 통해 '''44Ca'''로 붕괴한다.
  • 54mSc는 110 keV의 들뜬 에너지를 가지며 2.77 μs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54Sc로 붕괴한다.

2. 3. 동위 원소 표

wikitext

핵종Z(양성자)N(중성자)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붕괴 방식[3][4]붕괴 생성물[5]핵 스핀대표적 동위 원소 조성비
(몰 분율)
자연적 조성비 변동 범위
(몰 분율)
36Sc211536.01492(54)#p35Ca
37Sc211637.00305(32)#p36Ca7/2-#
38Sc211737.99470(32)#<300 nsp37Ca(2-)#
39Sc211838.984790(26)<300 nsp38Ca(7/2-)#
40Sc211939.977967(3)182.3(7) msβ+ (99.54%)40Ca4-rowspan=3|rowspan=3|
β+, p (.44%)39K
β+, α (.017%)36Ar
41Sc212040.96925113(24)596.3(17) msβ+41Ca7/2-
42Sc212141.96551643(29)681.3(7) msβ+42Ca0+
42mSc616.28(6) keV61.7(4) sβ+42Ca(7,5,6)+
43Sc212242.9611507(20)3.891(12) hβ+43Ca7/2-
43m1Sc151.4(2) keV438(7) µs3/2+
43m2Sc3123.2(3) keV470(4) ns(19/2)-
44Sc212343.9594028(19)3.97(4) hβ+44Ca2+
44m2Sc270.95(20) keV58.61(10) hIT (98.8%)44Sc6+rowspan=2|rowspan=2|
β+ (1.2%)44Ca
45Sc212444.9559119(9)안정7/2-1.0000
45mSc12.40(5) keV318(7) msIT45Sc3/2+
46Sc212545.9551719(9)83.79(4) dβ-46Ti4+
46m2Sc142.528(7) keV18.75(4) sIT46Sc1-
47Sc212646.9524075(22)3.3492(6) dβ-47Ti7/2-
48Sc212747.952231(6)43.67(9) hβ-48Ti6+
49Sc212848.950024(4)57.2(2) minβ-49Ti7/2-
50Sc212949.952188(17)102.5(5) sβ-50Ti5+
50mSc256.895(10) keV350(40) msIT (97.5%)50Sc2+,3+rowspan=2|rowspan=2|
β- (2.5%)50Ti
51Sc213050.953603(22)12.4(1) sβ-51Ti(7/2)-
52Sc213151.95668(21)8.2(2) sβ-52Ti3(+)
53Sc213252.95961(32)#>3 sβ- (>99.9%)53Ti(7/2-)#rowspan=2|rowspan=2|
β-, n (<.1%)52Ti
54Sc213353.96326(40)260(30) msβ- (>99.9%)54Ti3+#rowspan=2|rowspan=2|
β-, n (<.1%)53Ti
55Sc213454.96824(79)0.115(15) sβ- (>99.9%)55Ti7/2-#
56Sc213555.97287(75)#35(5) msβ-56Ti(1+)
57Sc213656.97779(75)#13(4) msβ-57Ti7/2-#
58Sc213757.98371(86)#12(5) msβ-58Ti(3+)#
59Sc213858.98922(97)#10# msβ-, n58Ti7/2-#rowspan=2|rowspan=2|
β-59Ti
60Sc213959.99571(97)#3# ms3+#


참조

[1] 논문 Evolution of shell gaps in the neutron-poor calcium region from invariant-mass spectroscopy of 37,38Sc, 35Ca, and 34K 2024-09-12
[2] 문서
[3]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4] 문서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