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캐스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토캐스틱은 최근 가격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로, 주식 시장에서 매수세와 매도세의 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K, %D, Slow%D(또는 %SD, SD) 세 가지 수치를 활용하여 계산된다. 패스트 스토캐스틱과 슬로우 스토캐스틱의 두 종류가 있으며, 슬로우 스토캐스틱이 더 널리 사용된다. 스토캐스틱은 시장의 고점과 저점을 예측하고,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자 - 신흥 시장
신흥 시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과도기 국가들의 시장을 지칭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빠른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특징으로 하지만 불균형, 환경 문제, 정치적 불안정 등의 과제도 안고 있어 투자 및 무역 관점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용어 정의와 적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투자 - 투자 전략
투자 전략은 투자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의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자본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체계적인 계획으로, 소극적 투자와 적극적 투자 등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며, 신중한 결정과 장기적인 계획 및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스토캐스틱 | |
---|---|
개요 | |
![]() | |
유형 | 모멘텀 지표 |
개발자 | 조지 레인 |
개발 시기 | 1950년대 |
목적 | 과매수 및 과매도 조건 식별 |
계산 | |
%K (Fast Stochastic) | (오늘 종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저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저가) * 100 |
%D (Slow Stochastic) | %K의 M일 단순 이동 평균 |
일반적인 기간 | N = 14일 M = 3일 |
해석 | |
과매수 | 80 이상 (일반적으로) |
과매도 | 20 이하 (일반적으로) |
활용 | 추세 확인 다이버전스 식별 매수 및 매도 신호 생성 |
2. 개념
스토캐스틱은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매수세가 강하면 가격이 높게, 매도세가 강하면 낮게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최근 5일간 최고가가 15,000원, 최저가가 10,000원인 주식이 있다고 하자. 현재가가 14,000원이면 매수세가 강해 오르는 추세이고, 11,000원이면 매도세가 강해 내리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스토캐스틱 값은 보통 백분율(%)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스토캐스틱N = (현재 가격 - N일중 최저가) / (N일중 최고가 - N일중 최저가)
N이 15라면, 15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최근 15일 중 최고가가 15,000원, 최저가가 10,000원, 현재 가격이 14,000원이면 스토캐스틱 값은 80%이다. 현재 가격이 11,000원이면 스토캐스틱 값은 20%가 된다.
스토캐스틱 값은 항상 0%에서 100% 사이이다. 100%는 현재 가격이 N일간 최고가로 매수세가 가장 강한 경우이고, 0%는 현재 가격이 N일간 최저가로 매도세가 가장 강한 경우이다.
좀 더 자세한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3]
- %K = (현재 가격 - N일중 최저가) / (N일중 최고가 - N일중 최저가) × 100
- %D = (%K1 + %K2 + %K3) / 3 (즉, %K의 3일 단순 이동 평균)
- Slow%D = %D의 3일 단순 이동 평균[4]
여기서 N은 보통 5, 9, 14 등의 값을 사용하며, 3일 동안 지표를 평활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선 스토캐스틱은 %K에서 예상 신호를, %D에서 저점 부근 또는 그 전의 반전 신호를, Slow%D에서 반전 확인 신호를 제공한다.[4]
조지 레인은 스토캐스틱 지표를 경기 순환, 엘리엇 파동 이론, 피보나치 되돌림과 함께 사용하여 시점을 파악한다고 했다. 그는 가격 순환에 그려진 추세선과 스토캐스틱에 그려진 추세선의 발산 및 수렴을 중요하게 보았으며, 스토캐스틱이 고점과 저점을 예측한다고 했다.
%K, %D, Slow%D (또는 %SD, SD) 세 가지 수치를 사용하며, %D 라인이 가장 중요한 시세 전환 신호를 보낸다. 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K > %D > Slow%D 순이다.
%K와 %D의 조합을 패스트 스토캐스틱, %D와 Slow%D의 조합을 슬로우 스토캐스틱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K = ((당일 종가 - 과거 x일간 최저가) / (과거 x일간 최고가 - 과거 x일간 최저가)) × 100% (x는 주로 14, 9, 5 사용)
- %D = (%K의 y일 단순 이동 평균) (y는 주로 3 사용)
- Slow%D = %D의 z일 단순 이동 평균 (z는 주로 3 사용)
이는 일봉 기준이며, 분봉 등 다른 시간 단위에서도 같은 계산식을 사용한다. 종가만 사용하는 방법이나, Slow%D 계산에 단순 이동 평균 외 다른 이동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종류
스토캐스틱은 그래프 변화가 너무 잦고 급격하여 가짜 신호가 많기 때문에, 실제 사용 시에는 %K와 %D값을 t일 이동 평균을 구한 값으로 변화를 완만하게 한 슬로우 스토캐스틱(slow stochastic)을 사용한다.[1] 이와 대조적으로, 이동 평균을 구하지 않은 원래의 값을 표시한 것을 패스트 스토캐스틱(fast stochastic)이라고 하며, 실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
%K, %D, Slow%D라는 3개의 수치를 사용하며, %D 라인이 더욱 중요하며 주요한 시세 전환 신호를 보낸다.[2] 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K > %D > Slow%D 순이다.[2]
%K와 %D의 조합을 '''패스트 스토캐스틱''', %D와 Slow%D의 조합을 '''슬로우 스토캐스틱'''이라고 한다.[3]
지표 | 설명 |
---|---|
%K | %K영어 = { (C - L9) ÷ (H9 - L9) } × 100% C: 당일 종가 L9: 과거 x일간의 최저치. (x= 14, 9, 5 등) H9: 과거 x일간의 최고치 |
%D | %D영어 = (H3 ÷ L3) × 100% H3: (C - L9)의 y일간 합계. (y=3 등, (C - L9)의 단순 이동 평균) L3: (H9 - L9)의 y일간 합계. ((H9 - L9)의 단순 이동 평균) |
Slow%D | Slow%D영어 = %D의 z일 단순 이동 평균. (z=3 등) |
위는 일봉에서의 설명이지만, 분봉 등 다른 타임 스케일에서도 같은 계산식이다.[4]
고가·저가의 조합이 아닌, 종가만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5] 또한, Slow%D의 계산 방법으로, 단순 이동평균 이외의 이동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5]
4. 파라미터 값
스토캐스틱은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 범위 내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매수세가 강하면 이 위치가 높게, 매도세가 강하면 낮게 형성된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최근 5일간 최고가가 15,000원, 최저가가 10,000원인 주식의 현재가가 14,000원이면 매수세가 강한 상승 추세로, 11,000원이면 매도세가 강한 하락 추세로 볼 수 있다.
스토캐스틱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스토캐스틱N = (현재 가격 - N일중 최저가) / (N일중 최고가 - N일중 최저가)
N이 15라면, 15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최근 15일 중 최고가가 15,000원, 최저가가 10,000원, 현재 가격이 14,000원이면 스토캐스틱 값은 80%이다. 현재 가격이 11,000원이면 20%가 된다.
스토캐스틱 값은 항상 0~100% 사이이며, 100%는 N일간 최고가로 매수세가 가장 강한 경우, 0%는 N일간 최저가로 매도세가 가장 강한 경우를 의미한다.
패스트 스토캐스틱은 %K를 구하는 기준 N일과 %K로부터 %D를 구하는 m일, 두 개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며, (N-m)으로 표시한다. 슬로우 스토캐스틱은 %K와 %D 각각으로부터 이동평균선을 구하는 t일, 즉 하나의 파라미터가 추가되어 (N-m-t)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금융에서 슬로우 스토캐스틱의 기본값은 (15-5-3)인데, 이는 패스트 스토캐스틱을 최근 15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으로 구하고,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5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며, %K와 %D는 각각 이 값들의 3일 이동평균선을 취해 최종 슬로우 스토캐스틱 차트를 얻는다는 의미이다. 이 값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대부분의 HTS는 기본 파라미터를 (15-5-3)으로 제공하며, 스토캐스틱 보조지표와 파라미터 조정 기능을 제공한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고 설명한다.[3]
여기서,
- : 마지막 종가
- : 지난 N 기간 동안의 최저 가격
- : 지난 N 기간 동안의 최고 가격
- : %K의 3기간 단순 이동 평균
- : %D의 3기간 단순 이동 평균
3-선 스토캐스틱은 %K에서 예상 신호, %D에서 반전 신호, %D-Slow에서 반전 확인 신호를 제공한다.[4] N의 일반적인 값은 5, 9, 14 기간이며, 3 기간 동안 지표를 평활화하는 것이 표준이다.
조지 레인은 경기 순환, 엘리엇 파동 이론, 피보나치 되돌림과 함께 스토캐스틱 지표를 사용하여 시점을 잡는다고 하였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K, %D, Slow%D (또는 %SD, SD) 세 가지 수치를 사용하며, %D 라인이 주요 시세 전환 신호를 보내고, 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K > %D > Slow%D 순이라고 설명한다. %K와 %D의 조합은 패스트 스토캐스틱, %D와 Slow%D의 조합은 슬로우 스토캐스틱이라고 한다.
- %K
- %K = {(C - L9) ÷ (H9 - L9)} × 100%
- C: 당일 종가
- L9: 과거 x일간의 최저치 (x는 14, 9, 5 등이 사용됨)
- H9: 과거 x일간의 최고치
- %D
- %D = (H3 ÷ L3) × 100%
- H3: (C - L9)의 y일간 합계 (y는 3이 주로 사용됨)
- L3: (H9 - L9)의 y일간 합계
- Slow%D
- Slow%D = %D의 z일 단순 이동 평균 (z는 3이 주로 사용됨)
이는 일봉 기준이며, 분봉 등 다른 시간 단위에서도 같은 계산식을 사용한다. 종가만 사용하거나, Slow%D 계산에 단순 이동 평균 외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5. 활용
스토캐스틱은 증권의 종가를 가격 범위와 비교하여 변곡점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가격은 변곡점 직전에 최근 범위의 극단에 가깝게 마감하는 경향이 있다. 상승 추세에서 가격은 더 높은 고점을 만들고 결제 가격은 일반적으로 해당 기간의 거래 범위 상단에 있는 경향이 있다. 모멘텀이 둔화되기 시작하면 결제 가격은 범위 상단 경계에서 후퇴하기 시작하여 스토캐스틱 지표가 최종 가격 고점에서 또는 그 전에 하락하게 된다.[5]
스토캐스틱 차트의 문제는 그래프 변화가 너무 잦고 급격하여 노이즈(가짜 신호)가 많아 매수·매도 시 참고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제 사용 시에는 %K와 %D를 t일 이동평균을 구한 값으로 변화를 완만하게 한 그래프를 사용한다. 이렇게 구한 것을 슬로우 스토캐스틱(slow stochastic)이라 한다. HTS에서 보조지표로서 스토캐스틱이라 하면 대부분 슬로우 스토캐스틱을 의미한다.
%K, %D, Slow%D라는 3개의 수치를 사용하며, Slow%D는 %SD나 SD로 표기되기도 한다. %D 라인이 더욱 중요하며, 주요한 시세 전환 신호를 보낸다. 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K > %D > Slow%D 순이다.
%K와 %D의 조합을 '''패스트 스토캐스틱''' (fast stochastics), %D와 Slow%D의 조합을 '''슬로우 스토캐스틱''' (slow stochastics)이라고 한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K
- * %K = { (C - L9) ÷ (H9 - L9) } × 100%
- * C: 당일 종가
- * L9: 과거 x일간의 최저치. (x = 14, 9, 5 등)
- * H9: 과거 x일간의 최고치
- %D
- * %D = (H3 ÷ L3) × 100%
- * H3: (C - L9)의 y일간 합계. (C - L9)의 단순 이동 평균. (y = 3)
- * L3: (H9 - L9)의 y일간 합계. (H9 - L9)의 단순 이동 평균.
- Slow%D
- * Slow%D = %D의 z일 단순 이동 평균. (z = 3)
위는 일봉에서의 설명이지만, 분봉 등 다른 타임 스케일에서도 같은 계산식이다. 고가·저가의 조합이 아닌, 종가만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Slow%D의 계산 방법으로, 단순 이외의 이동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5. 1. 스토캐스틱 차트

스토캐스틱 차트에는 두 가지 그래프가 표시되는데, 첫 번째는 스토캐스틱N이고 두 번째는 스토캐스틱N의 m일 이동평균선이다. 전자를 %K로, 후자를 %D로 표시한다. %D는 단순히 스토캐스틱N의 이동평균선이므로 slow %K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동평균선을 함께 표시하는 이유는,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등, 이동평균선과의 비교를 통해 스토캐스틱 값의 변곡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K와 %D를 표시한 스토캐스틱 차트에서, %K가 증가할 경우 즉 매수세가 증가하면 이동평균선인 %D를 뚫고 올라오는 형태(골든크로스)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매수 신호가 된다. 반대로 %K가 %D를 뚫고 내려오는 형태(데드크로스)를 보이면 매도 신호가 된다.
주어진 기간 동안 자산의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의 범위를 찾는다. 그런 다음 현재 증권 가격은 이 범위의 백분율로 표시되며, 0%는 범위의 최저점을 나타내고 100%는 해당 기간 동안 범위의 상한선을 나타낸다.[3] 이 지표는 가격이 전환점 전에 최근 범위의 극단에 가깝게 마감하는 경향이 있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여기서''
:::는 마지막 종가이다.
:::은 지난 ''N'' 기간 동안의 최저 가격이다.
:::은 지난 ''N'' 기간 동안의 최고 가격이다.
:::는 %''K''의 3기간 단순 이동 평균, 이다.
:::는 %''D''의 3기간 단순 이동 평균, 이다.
3선 스토캐스틱은 %''K''에서 예상 신호를, 저점 부근 또는 그 전에 %''D''의 반전 신호를, %''D''-Slow에서 반전 확인 신호를 제공한다.[4] ''N''의 일반적인 값은 5, 9 또는 14 기간이다. 3 기간 동안 지표를 평활화하는 것이 표준이다.
조지 레인에 따르면, 스토캐스틱 지표는 경기 순환, 엘리엇 파동 이론 및 피보나치 되돌림과 함께 시점을 잡기 위해 사용된다. 낮은 마진의 캘린더 선물 스프레드 거래에서 스토캐스틱 진입 후 와일더스의 포물선 SAR을 추세 추종 손절매로 사용할 수 있다. 그의 가르침의 핵심은 가격 순환에 그려진 추세선과 일치하며, 스토캐스틱에 그려진 추세선의 발산 및 수렴이다. 스토캐스틱은 고점과 저점을 예측한다.
5. 2. 스토캐스틱 다이버전스
행동 신호는 사이클 저점의 오른쪽에서 교차하는 극단적인 영역에서 발산-수렴이 나타날 때이다.[3] 일반적인 교차는 자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D 선의 최고점 또는 최저점 이후의 극심한 되돌림과 함께 발생하는 교차를 기다린다. 가격 변동성이 높을 경우, %D 지표의 지수 이동 평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다.
경고 또는 설정은 %D 선이 극단적인 영역에 있고 가격 움직임과 발산할 때 나타난다. 실제 신호는 더 빠른 %K 선이 %D 선을 교차할 때 발생한다.[6]
발산-수렴은 시장의 모멘텀이 약해지고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위 차트는 가격과 관련된 스토캐스틱의 발산이 가격 방향의 반전을 예측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스토캐스틱 팝"이라고 알려진 이벤트는 가격이 돌파하여 계속 상승할 때 발생한다. 이는 현재 포지션을 늘리거나, 방향이 현재 포지션과 반대일 경우 청산하라는 신호로 해석된다.[7]
5. 3. 과매수/과매도 구간
행동 신호는 사이클 저점의 오른쪽에서 교차하는 극단적인 영역에서 발산-수렴이 나타날 때이다.[3] 일반적인 교차는 자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D 선의 최고점 또는 최저점 이후의 극심한 되돌림과 함께 발생하는 교차를 기다린다. 가격 변동성이 높을 경우, %D 지표의 지수 이동 평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다.경고 또는 설정은 %D 선이 극단적인 영역에 있고 가격 움직임과 발산할 때 나타난다. 실제 신호는 더 빠른 %K 선이 %D 선을 교차할 때 발생한다.[6]
발산-수렴은 시장의 모멘텀이 약해지고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스토캐스틱 팝"이라고 알려진 이벤트는 가격이 돌파하여 계속 상승할 때 발생한다. 이는 현재 포지션을 늘리거나, 방향이 현재 포지션과 반대일 경우 청산하라는 신호로 해석된다.[7]
6. 다른 지표와의 관계
래리 윌리엄스는 %K 값에서 1을 뺀 윌리엄스 %R을 새로운 지표로 추가했는데, 이는 단순히 값이 클수록 매도세가 강하도록 거꾸로 표기한 것이다. 스토캐스틱은 RSI와 함께 활용하면 효율적이라는 견해가 많다.
6. 1. 윌리엄스 %R (Williams' %R)
래리 윌리엄스는 기존 %K 값에서 1을 뺀 %R을 새로운 지표로 추가했다. 이는 단순히 값이 클수록 매도세가 강하도록 거꾸로 표기한 것이다.[1]스토캐스틱은 유사한 보조지표인 RSI와 함께 활용하면 효율적이라는 견해가 많다.[1] 래리 윌리엄스는 1966년에 %K - 100에 윌리엄스 %R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 조지 레인은 1950년대에 %A에서 시작하여 28개의 오실레이터를 만들었으며, 그 중 %R을 래리 윌리엄스가 개선했다.[1]
6. 2.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스토캐스틱은 유사한 보조지표인 RSI를 함께 활용하면 효율적이라는 견해가 많다.참조
[1]
웹사이트
Stochastic Indicator [ChartSchool]
http://stockcharts.c[...]
2014-10-06
[2]
기타
John Murphy's Ten Laws of Technical Trading
http://stockcharts.c[...]
[3]
간행물
Lane’s Stochastics
1984-05
[4]
기타
Getting Started With Stochastics
1998
[5]
서적
A Complete Guide to Technical Trading Tactics: How to Profit Using Pivot Points, Candlesticks & Other Indicators
Wiley
[6]
서적
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A Comprehensive Guide to Trading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Institute of Finance
[7]
서적
The Complete Day Trader
https://archive.org/[...]
McGraw 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