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 요시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바 요시무네는 1513년에 태어난 오와리 슈고이다. 아버지 시바 요시타쓰가 몰락한 후 3세의 나이에 슈고직을 계승했다. 오다 가문의 꼭두각시로, 오다 노부히데의 세력 확장을 지원했으나, 오다 노부토모와의 갈등으로 인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1554년 노부토모의 반란으로 자결했으며, 그의 사후 오다 노부나가가 오와리 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시바 가문은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바씨 - 기요스성
기요스성은 시바 요시시게가 축성한 성으로 오다 가문의 거성이 되었으며, 오다 노부나가의 주요 활동 무대이자 기요스 회의가 열렸던 역사적인 장소이지만, 기요스 고에시로 인해 폐성된 후 일부 유적과 복원된 천수각을 통해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시바씨 - 시바 요시타케
시바 요시타케는 2세에 가문을 계승하여 숙부들의 후견을 받았고, 영지 문제와 암살 미수 사건을 겪었으며, 아시카가 요시마사에게 이름자를 받아 개명했지만, 18세에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시바 씨 적류를 단절시켰다. - 1554년 사망 - 주세붕
주세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풍기 군수로 재직하며 백성을 위한 선정을 펼치고 한국 최초의 서원인 소수 서원을 창설했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고 사후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1554년 사망 - 박수량
조선 중기의 문신 박수량은 승문원 관직 생활을 시작으로 여러 요직과 고부군수, 함경도 경차관 등을 역임하며 청렴하고 강직한 관리로 이름을 알렸고 사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그의 청렴함을 기리는 장성 박수량 백비는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1513년 출생 - 사나다 유키타카
사나다 유키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시나노 평정을 돕고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만년에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 1513년 출생 - 오만도코로
오만도코로는 센고쿠 시대 인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어머니이며, 히데요시가 간파쿠가 된 후 오만도코로의 호를 받았고 1592년 사망했다.
시바 요시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시바 요시무네 |
원어 이름 | 斯波 義統 |
가문 | 세이와 겐지(清和源氏), 아시카가 씨(足利氏), 시바 씨(斯波氏, 무위가武衛家) |
시대 | 무로마치 시대 후기 ~ 센고쿠 시대 중기 |
출생 | 에이쇼 10년(1513년) |
사망 | 덴분 23년 음력 7월 12일(1554년 8월 10일) |
초기 이름 | 요시모토(義元) |
계명 | 도쿠쇼인덴 도칸 덴요(徳照院殿道鑑天與) |
관직 | |
관위 | 종오위하 |
직책 | 무로마치 막부 오와리 슈고 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시바 요시타쓰(斯波義達) |
어머니 | 이에노뇨보(家女房, 다타라 씨多々良氏) |
형제 | 무네마사(統雅), 이마가와 우지토요(今川氏豊)의 부인 |
배우자 | 이시바시 후사요시의 딸 |
자녀 | 요시카네(義銀), 모리 히데요리(毛利秀頼), 쓰가와 요시후유(津川義冬), 하치야 겐뉴(蜂屋謙入), 료묘니(了妙尼, 간다쿠지겐고의 부인), 딸 (기라 요시야스의 부인) |
2. 생애
1513년 시바 요시타쓰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시바 가문은 스루가의 슈고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공격으로 도토미국을 빼앗기는 등 어려운 상황이었다. 아버지 요시타쓰는 도토미 탈환을 위해 계속 출병했으나, 가신인 오다씨의 반대에 부딪혔다. 1515년 8월, 히쿠마성에서 이마가와 가문과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여 요시타쓰는 포로가 되었다. 삭발을 조건으로 풀려난 요시타쓰는 이 사건으로 권위를 잃고 사실상 은퇴했으며, 3세의 어린 요시무네가 슈고직을 계승했다.
요시타쓰의 몰락 이후, 오다 가문은 세력을 회복했다. 오닌의 난 이후, 슈고다이(수호대)인 오다 일족은 둘로 분열되었으나, 어린 요시무네는 이 상황을 통제할 수 없었고, 슈고다이 가문인 오다 다쓰카쓰, 오다 노부토모에게 옹립된 괴뢰적 존재에 불과했다. 오와리 국내에서는 쓰시마 경제를 장악하는 오다 씨 분가인 단조노츄 가(야마토노카미 가의 가신)의 오다 노부히데 등이 세력을 확대하였다.[6]
1537년 4월의 사령 안도장[6]을 시작으로, 요시무네는 오와리 슈고로서 활동했다. 명목상 "가신"이었던 오다 노부히데가 미노 국, 미카와 국 등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것에 비교적 찬성했다. 1541년에는 노부히데가 서 미카와 지역으로 세력을 넓히면서, 과거 시바 씨의 분국이었으나 당시 아사쿠라 씨가 지배하던 에치젠 국 탈환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요시무네는 혼간지의 문주 쇼뇨에게 오와리 세력이 에치젠을 공격할 때 가카 문도의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7]
1544년, 요시무네는 노부히데의 미노 침공에 협력하여 오와리 국내 여러 가문에 노부히데를 지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
그러나 요시무네를 옹립한 야마토노카미 가의 오다 노부토모는 요시무네가 노부히데에게 접근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요시무네 또한 자신을 꼭두각시 취급하는 노부토모에게 불만을 품기 시작하면서 둘 사이의 갈등은 점차 깊어졌다.[8]
1554년[9], 오다 노부토모가 오다 노부나가를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우자, 요시무네는 이를 노부나가에게 밀고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노부토모는 이 사실을 알고 격노하여, 같은 해 7월 12일에 요시무네의 저택을 공격했다.[9]
결국 요시무네는 성에 불을 지르고 동생 무네마사, 숙부 요시토라[4] 등 일족 30여 명과 함께 자결했다.[10] 향년 42세였다.
이 사건은 오다 노부나가가 주군을 살해한 노부토모를 토벌하고 오와리 국을 통일해 나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노부나가는 요시무네의 아들 요시카네를 옹립하여 슈고로 삼았으나, 요시카네 역시 노부나가에게 불만을 품고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결탁하려다 추방되었다. 이후 요시카네는 노부나가와 화해하고 그의 휘하에 들어갔다.[1]
2. 1. 아버지의 몰락과 어린 시절
1513년 시바 요시타쓰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시바 가문은 스루가의 슈고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공격으로 도토미국을 빼앗기는 등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아버지 요시타쓰는 도토미 탈환을 위해 계속 출병했으나, 가신인 오다씨의 반대에 부딪혔다. 1515년 8월, 히쿠마성에서 이마가와 가문과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여 요시타쓰는 포로가 되었다. 삭발을 조건으로 풀려난 요시타쓰는 이 사건으로 권위를 잃고 사실상 은퇴했으며, 3세의 어린 요시무네가 슈고직을 계승했다.2. 2. 오다 가문의 꼭두각시 슈고
요시타쓰의 몰락 이후, 오다 가문은 세력을 회복했다. 오와리 국에서는 오닌의 난 이후, 슈고다이(수호대)인 오다 일족이 상사군을 지배하는 이세노카미 가(이와쿠라 오다 씨)와 하사군을 지배하는 야마토노카미 가(기요스 오다 씨)의 2파로 분열되어 있었다. 이세노카미 가는 일찍 약화되었고, 야마토노카미 가는 요시타쓰에 의해 토벌되었기 때문에, 오와리 국내는 오다 일족이 뒤섞이는 군웅할거 상태가 되었다. 어린 요시무네는 이 상황을 통제할 수 없었고, 슈고다이 가문인 오다 다쓰카쓰, 오다 노부토모에게 옹립된 괴뢰적 존재에 불과했다. 오와리 국내에서는 쓰시마 경제를 장악하는 오다 씨 분가인 단조노츄 가(야마토노카미 가의 가신)의 오다 노부히데 등이 세력을 확대하였다.[6]2. 3. 오다 노부히데와의 협력과 갈등
덴분 6년(1537년) 4월의 사령 안도장[6]을 시작으로, 요시무네는 오와리 슈고로서 활동했다. 명목상 "가신"이었던 단조노츄 가의 오다 노부히데가 미노 국, 미카와 국 등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것에 비교적 찬성했다. 덴분 10년(1541년)에는 노부히데가 서 미카와 지역으로 세력을 넓히면서, 과거 시바 씨의 분국이었으나 당시 아사쿠라 씨가 지배하던 에치젠 국 탈환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요시무네는 혼간지의 문주 쇼뇨에게 오와리 세력이 에치젠을 공격할 때 가카 문도의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7]덴분 13년(1544년), 요시무네는 노부히데의 미노 침공에 협력하여 오와리 국내 여러 가문에 노부히데를 지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본래 단조노츄 가보다 격이 높은 이세노카미 가나 동격인 인바노카미 가도 미노 침공군으로 동원하는 등 노부히데를 적극 지원했다.[7]
그러나 요시무네를 옹립한 야마토노카미 가의 오다 노부토모는 요시무네가 노부히데에게 접근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요시무네 또한 자신을 꼭두각시 취급하는 노부토모에게 불만을 품기 시작하면서 둘 사이의 갈등은 점차 깊어졌다. 노부히데 사후 그의 측실이었던 "이와무로"라는 여성을 둘러싸고 다투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노부토모가 단조노츄 가에 대항하기 위해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아들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손을 잡으려 하자 이에 반발했다는 설도 있다.[8]
2. 4. 비극적인 최후
덴분 23년(1554년)[9], 오다 노부토모가 오다 노부나가를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우자, 요시무네는 이를 노부나가에게 밀고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노부토모는 이 사실을 알고 격노하여, 같은 해 7월 12일에 요시무네의 저택을 공격했다.[9]성 안은 방비가 허술했지만, 모리 마사타케·카몬노스케 형제나 니와 스케토모 등이 분전하며[9] 저항했다. 그러나 병력의 차이가 커서, 결국 요시무네는 성에 불을 지르고 동생 무네마사, 숙부 요시토라[4] 등 일족 30여 명과 함께 자결했다.[10] 향년 42세였다.
이 사건은 오다 노부나가가 주군을 살해한 노부토모를 토벌하고 오와리 국을 통일해 나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2. 5. 요시무네 사후
노부나가는 요시무네의 아들 요시카네를 옹립하여 슈고로 삼았으나, 요시카네 역시 노부나가에게 불만을 품고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결탁하려다 추방되었다. 이후 요시카네는 노부나가와 화해하고 그의 휘하에 들어갔다.[1]3. 관련 작품
기린이 온다에 출연하였다.(2020년, NHK, 배우: 아리마 지유)
3. 1. 드라마
- 기린이 온다(2020년, NHK, 배우: 아리마 지유)
참조
[1]
웹사이트
Shiba Yoshimune
[2]
웹사이트
Oda Nobutomo
[3]
서적
Encyclopedia of Japanese History
[4]
서적
系図纂要
[5]
서적
系図概要
[6]
문서
妙興寺文書
[7]
논문
織田信秀の台頭
[8]
간행물
今川氏の尾張進出と弘治年間前後の織田信長・織田信勝
戎光祥出版
2019-06-00
[9]
서적
清須合戦記
[10]
서적
信長公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