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분할다중접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분할 다중 접속(TDMA)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시간으로 분할하여 공유하는 통신 기술이다. 각 셀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동일 셀 내에서는 같은 주파수를 시간 기준으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TDMA는 2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GSM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3G 시스템에도 통합되어 스펙트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T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및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갖는다. TDMA는 시간 다이버시티를 활용하여 페이딩에 강하고 회선 교환 연결이 가능하며, 유연한 속도 할당, 낮은 배터리 소모, 구현 간소화, 확장성 및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한다. 반면, 가드 간격으로 인한 처리량 감소, 동기화 문제, 중간 데이터 속도, 시스템 유연성 제한, 지연 문제, 확장성 제약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동적 TDMA는 각 데이터 스트림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가변 수의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예약하는 방식으로, HIPERLAN/2, WiMAX, 블루투스 등 다양한 기술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동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 코드분할다중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은 1989년 퀄컴에 의해 개발되어 1996년 한국에서 상용화된 기술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여러 사용자가 통신하며, TDMA, FDMA보다 적은 기지국으로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보안 강화, 간섭 저항 등의 특징을 가진다.
시분할다중접속
개요
이름시분할 다중 접속
로마자 표기sibunhal daju 접속
약자TDMA
기술 유형채널 접속 방식
사용 환경공유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세 설명
정의'시간 영역에서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는 다중 접속 방식. 각 사용자는 특정 시간 슬롯 동안 채널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작동 원리'전체 시간 프레임을 여러 개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시간 슬롯을 할당한다. 사용자는 할당된 시간 슬롯 동안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시간 슬롯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한다.'
장점'구현이 비교적 간단하다.'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단점'시간 동기화가 필요하다.'
'시간 슬롯 할당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수가 증가하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시간 슬롯이 줄어들어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주요 특징'시간 슬롯을 기반으로 채널을 공유한다.'
'각 사용자는 고유한 시간 슬롯을 할당받는다.'
'시간 동기화가 중요하다.'
적용 분야'2G 이동통신 (GSM)'
'위성 통신 (IRIDIUM, GLOBALSTAR, TELEDESIC, ORBCOMM)'
'무선 통신 시스템'
관련 기술
관련 기술'시분할 다중화 (TDM)'
예시
2G 이동통신 (GSM)'GSM에서는 각 사용자가 8개의 시간 슬롯 중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각 시간 슬롯은 약 0.577ms 지속되며, 8개의 시간 슬롯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위성 통신'위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TDMA를 사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위성 채널을 공유할 수 있다. 각 사용자에게 특정 시간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2. 특징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공유하며, 각 셀(통신 지역 단위)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동일 셀 내에서는 같은 주파수를 시간 기준으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CRC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GSM과 같은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시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수 있어 페이딩에 강하며, 회선 교환 연결이 가능하여 지연 시간이나 통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다. 무선국 간의 동기화가 필수적이다.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회로 규모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의 중간 정도이다. 시간축 압축으로 인해 음성 통신에서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통신 위성을 이용할 경우, FDMA에 비해 지구국 수신 전력 차이에 대응하기 쉽다.


  • 단일 반송파 주파수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한다.
  • 비연속 전송으로 핸드오프가 더 간단해진다.
  • 동적 TDMA에서는 필요에 따라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 CDMA보다 세포 내 간섭이 줄어들어 전력 제어가 덜 까다롭다.
  • CDMA보다 동기화 오버헤드가 더 높다.
  • 채널이 "주파수 선택적"이고 심볼 간 간섭을 생성하는 경우, 높은 데이터 속도를 위해 고급 등화가 필요할 수 있다.
  • 셀 브리딩(인접 셀에서 자원을 빌려오는 것)은 CDMA보다 더 복잡하다.
  • 주파수/슬롯 할당이 복잡하다.
  • 맥동 전력 엔벨로프로 인해 다른 장치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T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기 위한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에서 상용화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는 각 사용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동시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반면, 시분할다중접속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3. 1. 2G 시스템

GSM, D-AMPS, PDC, iDEN, PHS 등 대부분의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은 IS-95를 제외하고 시분할다중접속(TDMA)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GSM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을 통해 이동 전화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여 전파 지연을 보상한다. 이동 전화는 전체 타임 슬롯 동안 전송하지 않고, 각 타임 슬롯 끝에는 가드 간격이 존재한다.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는 이동 전화를 위해 전체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임의 접속 채널(RACH)이 사용된다.

GSM 셀 범위는 35km로 제한되는데, 이는 전력 제한보다는 TDMA의 동기화 기능 때문이다. 기지국과 이동 전화 간 동기화 변경을 통해 이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3. 2. 3G 시스템

3G 시스템에서 시분할다중접속(TDMA)을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및 시분할 이중화(TDD)와 UMTS(UMTS)에 통합하는 것은 스펙트럼 효율성과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정교한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6]

UTRA-FDD(주파수 분할 이중화)는 CDMA와 FDD를 사용하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이 할당된다. 이러한 분리는 간섭을 최소화하고 양방향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트래픽 부하가 균형을 이루는 환경에 적합하다.[7]

반면에 UTRA-TDD(시분할 이중화)는 CDMA, TDMA 및 TDD를 결합한다. 이 방식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업링크와 다운링크 모두에 사용하지만 다른 시간에 사용한다. 이러한 시간 기반 분리는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데이터 속도가 크게 다른 비대칭 트래픽 부하 시나리오에서 특히 유리하다. 수요에 따라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UTRA-TDD는 다양한 트래픽 패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체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7][8]

UMTS에서 이러한 기술들을 결합하면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을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고 3G 네트워크의 다양한 운영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7]

4. 유선 네트워크에서의 TDMA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G.hn 표준은 기존의 가정 내 배선(전력선, 전화선, 동축 케이블)을 통해 고속 근거리 통신망을 제공하며,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G.hn에서 "마스터" 장치는 네트워크의 다른 "슬레이브" 장치에 "경쟁 없는 전송 기회" (CFTXOP)를 할당한다. 한 번에 하나의 장치만 CFTXOP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충돌을 피할 수 있다.

FlexRay 프로토콜은 또한 현대 자동차에서 안전 필수 통신에 사용되는 유선 네트워크이며, TDMA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GE-PON의 상향 신호 전송에서, OLT는 각 ONU의 트래픽량에 따라 동적으로 상향 신호 대역을 할당하는 기능(Dynamic Bandwidth Allocation, DBA)을 사용하여 신호 송출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신호 충돌을 방지한다.

5. 다른 다중 접속 방식과의 비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MA는 주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및 주파수 분할 이중화(FDD)와 함께 사용되며, 이 조합을 FDMA/TDMA/FDD라고 한다. GSM과 IS-136이 대표적인 예이다. DECT 및 PHS 마이크로 셀 시스템, UMTS-TDD UMTS 변형, 중국의 TD-SCDMA는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동일 주파수에서 기지국과 휴대폰에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할당한다.[9]

TDMA의 주요 장점은 휴대폰의 무선 통신부가 자체 시간 슬롯 동안만 수신하고 송신하면 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시간 동안 휴대폰은 주변 송신기를 감지하여 안전한 주파수 간 핸드오버를 할 수 있다. 이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시스템에서는 구현하기 어렵다.[9] CDMA는 "소프트 핸드오프"를 지원하여 휴대폰이 최대 6개의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지만, "셀 호흡" 특성으로 인해 혼잡한 셀 경계에서 신호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9]

TDMA 시스템의 단점은 시간 슬롯 길이에 연결된 주파수에서 간섭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TDMA 폰을 라디오나 스피커 옆에 두면 윙윙거림이 발생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9] 또한 시간 슬롯 간의 "데드 타임"은 TDMA 채널의 잠재적 대역폭을 제한하며, 이동하는 휴대폰은 타이밍을 지속적으로 조정해야 한다.[9]

6. TDMA의 장점

TDMA(시분할 다중 접속)는 여러 사용자가 순차적인 방식으로 채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무선 주파수(RF) 대역폭을 개별적인 시간 슬롯으로 할당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 방식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스펙트럼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통신 품질과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몇 가지 특정 이점을 제공한다.[10]


  • 여러 사용자가 단일 반송파 주파수를 공유한다.
  • 비연속 전송으로 핸드오프가 더 간단해진다.
  • 동적 TDMA에서는 슬롯을 필요에 따라 할당할 수 있다.
  • 시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페이딩 내성이 있다.
  • 회선 교환 연결이 가능하여 지연 시간이나 통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다.
  • 무선국 간의 동기화가 필수적이다.
  •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회로 규모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과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의 중간 정도이다.

7. TDMA의 단점


  • '''가드 간격''': 인접 슬롯 간 간섭을 막기 위해 30μs~50μs의 가드 간격이 필요하며, 이는 시스템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11]
  • '''에너지 소비''': 가드 간격 때문에 에너지 절약 효과가 상쇄될 수 있으며, 동기화 및 타임 슬롯 관리 오버헤드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12]
  • '''동기화 문제''': 정확한 동기화가 필요하며, 사용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동기화 유지가 어려워져 통신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 '''제한된 데이터 속도''': CDMA에 비해 중간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며, 고정된 타임 슬롯 할당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제한될 수 있다.
  • '''적당한 시스템 유연성''': CDMA에 비해 대역폭 사용이 덜 동적이고 적응적이며, 사용자 수요 변화에 따라 자원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다.
  • '''지연 문제''': 시분할 특성 때문에 사용자는 지연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실시간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확장성 제약''': 사용자 수 증가에 따른 확장성은 동기화 필요성과 타임 슬롯 할당의 고정된 특성 때문에 제한된다.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Mobile Data Netwo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Overview of IRIDIUM satellite network https://www.research[...] IEEE 1995-11
[3] 간행물 Multiple access techniques and spectrum utilisation of the GLOBALSTAR mobile satellite system IET 1993-04
[4] 간행물 Architecture of the TELEDESIC satellite system https://www.research[...] 1995-06
[5] 웹사이트 ORBCOMM System Overview https://www.ctu.cz/s[...]
[6] 서적 Principles of Moder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Education
[7] 학술지 3G mobile systems https://link.springe[...] Springer, Boston, MA 2002
[8] 웹사이트 ETSI TS 136 214 V14.3.0 (2017-10) https://www.etsi.org[...]
[9] 웹사이트 Minimize GSM buzz noise in mobile phones http://www.eetimes.c[...] EETimes 2009-07-20
[10] 웹사이트 What i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https://www.techtarg[...] 2024-10-28
[11] 학술지 The Enhanced ECC Approach to Secure Code Dissemin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http://dx.doi.org/10[...] 2017-03-15
[12] 문서 Multiple access techniques: FDMA, TDMA, CDMA; system capacity comparisons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0-28
[13] 학술지 Performance Evaluation of IEEE 802.11ad in Evolving Wi-Fi Networks 2019-02-14
[14] 문서 Multiple access techniques: FDMA, TDMA, CDMA; system capacity comparisons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0-28
[15] 서적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3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EE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