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9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95는 cdmaOne 프로토콜의 초기 버전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1990년대에 북미 셀룰러 대역에서 개발되었으며, 아날로그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상호 운용을 제공했다. IS-95는 레이크 수신기, 전력 제어, 소프트 핸드오프 등의 기술을 사용하며, 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용량과 성능을 향상시켰다. 한국은 1996년 세계 최초로 IS-95를 상용화하여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으며 GSM 등장으로 쇠퇴했다.
| IS-95 | |
|---|---|
| 개요 | |
![]() | |
| 종류 | 이동 통신 표준 |
| 다른 이름 | IS-95 |
| 개발 | 퀄컴 |
| 발표일 | 1995년 |
| 상태 | 단종 |
| 전신 | IS-95 |
| 후신 | CDMA2000 GSM UMTS |
| 기술 사양 | CDMA TDMA |
| 다중 접속 방식 | CDMA TDMA |
| 주파수 대역 | 800MHz, 1.9GHz |
| 채널 간격 | 1.25MHz |
| 변조 방식 | QPSK |
| 데이터 속도 | 최대 14.4 kbps |
| 회선 교환 | 14.4 kbps |
| 메시지 서비스 | SMS |
| 음성 코덱 | QCELP EVRC |
| 역사 및 기술적 맥락 | |
| 개발 배경 | 최초의 CDMA 기반 디지털 셀룰러 기술 IS-95 표준으로 상용화 |
| 기술적 특징 |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방식 사용 가변 속도 음성 코딩 (QCELP) 기술 적용 |
| 장점 | 기존 아날로그 시스템 대비 용량 증대 보안성 강화 통화 품질 향상 |
| 단점 | 복잡한 핸드오버 과정 기지국 설계 및 구축의 어려움 |
| 진화 | CDMA2000으로 진화 |
| 상용화 및 서비스 | |
| 주요 서비스 제공 국가 | 대한민국, 미국, 일본 등 |
| 서비스 제공 사업자 | 대한민국: SK텔레콤, KT (구 한국통신) 미국: Verizon, Sprint 일본: au (구 KDDI) |
| 서비스 종료 | 대부분의 국가에서 CDMA2000, LTE 등으로 전환되면서 서비스 종료 |
| 관련 기술 및 표준 | |
| 관련 기술 |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
| 관련 표준 | IS-95 TIA/EIA-95 |
| 기타 | |
| 참고 사항 | cdmaOne은 상표명이며, 기술 표준은 IS-95임. GSM, UMTS, LTE 등의 다른 이동 통신 기술과 경쟁함. |
2. 역사적 배경
PDC나 GSM에 비해 더 새로운 방식인 cdmaOne(IS-95)은 기술 발전을 통해 높은 통화 음질과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었다. W-CDMA와 CDMA2000은 CDMA 방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cdmaOne과 공통점을 가지며, 이 때문에 cdmaOne은 '''2.5세대'''라고도 불린다.
cdmaOne은 미국, 일본, 한국, 홍콩 외에도, 캐나다, 멕시코, 이스라엘, 베네수엘라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IDO와 DDI 셀룰러 그룹(현 au(KDDI・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가 도입했으며, 이후 후속 기술인 CDMA 1X(CDMA2000 1x)로 전환되었다.
2. 1. 프로토콜 개정 (Protocol Revisions)
IS-95는 프로토콜 개정의 초기 버전(P_REV 1부터 5까지)을 통칭하는 용어이다.[1]- P_REV=1은 ANSI 표준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문서 참조는 ''J-STD-008''이다. 1995년에 발행된 J-STD-008은 당시 새롭게 등장한 북미 PCS 대역(대역 클래스 1, 1900MHz)에 대해서만 정의되었다.[1] ''IS-95''라는 용어는 대략 같은 시기에 TIA 표준 절차에 따라 북미 셀룰러 대역(대역 클래스 0, 800MHz)을 위해 개발된 P_REV=1을 정확하게 지칭한다.[1]
- P_REV=4는 ''임시 표준 95B(IS-95B) 1단계''로 불리며, P_REV=5는 ''임시 표준 95B(IS-95B) 2단계''로 불린다. IS-95B 표준 트랙은 TIA 하에서 TIA 및 ANSI 표준 트랙의 병합을 제공했으며, 두 대역 클래스에서 IS-95 휴대폰의 상호 운용을 제공하는 최초의 문서였다(듀얼 밴드 작동). P_REV=4는 IS-95의 가장 인기 있는 변종이었으며, P_REV=5는 대한민국에서 최소한의 채택만 이루어졌다.[1]
- P_REV=6 이상은 CDMA2000 범주에 속한다. 기술적 개선 외에도 IS-2000 문서는 레이아웃과 내용 측면에서 훨씬 더 성숙했다. 또한 IS-95와의 하위 호환성을 제공한다.[1]
| 프로토콜 개정 (P_REV) | 설명 |
|---|---|
| P_REV = 1 | ANSI J-STD-008, 1995 |
| P_REV = 2 | IS-95A |
| P_REV = 3 | Technical Services Bulletin 74 (TSB-74) |
| P_REV = 4 | Interim Standard 95B (IS-95B) Phase I |
| P_REV = 5 | Interim Standard 95B (IS-95B) Phase II |
| P_REV = 6 | CDMA2000 |
cdmaOne은 CDMA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IS-95 표준은 이동 통신 기지국과 네트워크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집합인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1] IS-95는 3계층 스택으로 묘사되며, L1은 물리 계층(PHY), L2는 매체 접근 제어(MAC) 및 링크 접근 제어(LAC) 하위 계층, L3는 호출 처리 상태 머신을 나타낸다.
3. 기술
PDC나 GSM과 비교하여 더 새로운 방식이며, 기술 발전을 통해 높은 통화 음질과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W-CDMA, CDMA2000과 cdmaOne은 CDMA 방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이 때문에 cdmaOne은 '''2.5세대'''라고도 불린다.
미국, 일본, 한국, 홍콩 외에도, 캐나다, 멕시코, 이스라엘, 베네수엘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IDO와 DDI 셀룰러 그룹 (현 au(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가 도입했다. 이후 후속 기술인 CDMA 1X(CDMA2000 1x)로 전환되었다.
3. 1. 레이크 수신 (Rake Receiver)
레이크 수신은 멀티패스로 인한 페이딩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여러 개의 서브 수신기를 통해 신호를 개별적으로 디코딩하고, 각 수신기의 위상차를 감지하여 보정한 후 다시 합성함으로써, 멀티패스 환경에서도 S/N비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레이크 수신 기술은 휴대 전화나 무선 LAN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cdmaOne 시스템에서는 통신 중 자신의 셀 기지국뿐만 아니라, 인접 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을 때 레이크 수신을 통해 동시에 여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페이딩에 강하고 통화가 끊어지는 현상을 줄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레이크 수신은 주변 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에 한정되므로, 멀리 떨어진 셀에서 오는 전파는 오히려 방해 신호로 작용하여 통화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무선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가혹하기 때문에 레이크 수신이 항상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실패할 경우 통화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2. 전력 제어 (Power Control)
CDMA에서는 각 이동국이 동일한 주파수로 겹쳐서 전송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볼 때 강한 신호와 약한 신호가 있으면 전파의 원근 문제로 인해 약한 국이 강한 국에 묻혀 기지국에서 약한 국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스펙트럼 확산은 이러한 상태에서도 역확산을 통해 수신 가능하다는 것은 오해이다).[1] 그래서 기지국은 강한 국에 대해 송신 전력을 낮추라는 지시를 보내고, 약한 국에 대해 송신 전력을 높이라는 지시를 보내어, 결과적으로 모든 국이 동일한 세기로 기지국에서 수신되도록 한다.[1] 동일한 세기라면 겹쳐 있어도 역확산에 의해 수신이 가능하다.[1] 전력 제어는 가장 약한 국에 맞춰지므로, 일반적으로 이동국의 송신 전력 평균은 PHS보다 작아진다.[1] 이는 퀄컴의 클라인 길하우젠(Klein Gilhousen)에 의해 실용화되었다.[1]
3. 3. 소프트 핸드오프 (Soft Handoff)
소프트 핸드오프는 현재 통신 중인 기지국(핸드오프 원)과 새롭게 통신하고 싶은 기지국(핸드오프 대상)을 일시적으로 동시 통신 상태로 만든 후, 전환하는 핸드오프이다. 부드럽게(소프트) 전환해 가는 것에서 소프트 핸드오프라고 불린다. 기존의 PDC 방식 등에서는 2개 이상의 송수신기를 내장하지 않으면 소프트 핸드오프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않았다. cdmaOne의 경우, 핸드오프 원과 핸드오프 대상 모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단일 송수신기로 양쪽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어 실용화할 수 있었다.
cdmaOne에서 PDC 방식의 주파수 개념에 상당하는 것이 PN 오프셋 번호(PN 위상)이다. cdmaOne에서는 핸드오프 원이 사용하고 있는 PN 오프셋 번호의 신호와 핸드오프 대상이 사용하고 있는 PN 오프셋 번호의 신호를 일시적으로 동시 통신 상태로 함으로써 소프트 핸드오프를 실현하고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일종의 사이트 다이버시티이기도 하므로 핸드오프 실패가 적다고 한다. PN 오프셋 번호는 상대값이며, 그 기준이 되는 것은 GPS의 시간이다(그 때문에 동기식이라고 불린다). 통화하면서 지상에서 지하로 이동했을 때, 둘 다 cdmaOne이 서비스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핸드오프를 할 수 없어 끊기는 것은, 지하국에 GPS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PN 오프셋 번호는 0~511까지의 유한한 값이므로 중복되지 않도록 각 기지국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1]
4. 프로토콜 상세 (Protocol Details)
IS-95 표준은 이동 통신 기지국과 네트워크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집합인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1] IS-95는 일반적으로 3계층 스택으로 묘사되며, 여기서 L1은 물리 계층 (PHY), L2는 MAC 및 링크-접근 제어 (LAC) 하위 계층, L3는 호출 처리 상태 머신을 나타낸다.
IS-95 (Interim Standard 95, TIA) 규격상의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용어 | 설명 |
|---|---|
| P_REV (프로토콜 개정판) | 프로토콜의 버전 |
| P_REV = 1 | ANSI J-STD-008 (1995년 발행). 북미 PCS 대역(대역 클래스 1, 1900 MHz) 정의. |
| P_REV = 2 | IS-95A. TIA 표준 절차에서 IS-95의 점진적인 개선, 대역 클래스 0에 대해서만 개발. |
| P_REV = 3 | TSB-74 (Technical Services Bulletin 74). TIA 표준 절차에서 IS-95A의 다음 점진적인 개선 사항. |
| P_REV = 4 | IS-95B (Interim Standard 95B) Phase I. TIA 및 ANSI 표준 트랙의 병합을 제공, 두 대역 클래스에서 IS-95 휴대폰의 상호 운용을 제공하는 최초의 문서 (듀얼 밴드 작동). |
| P_REV = 5 | IS-95B (Interim Standard 95B) Phase II. 대한민국에서 최소한의 채택만 이루어짐. |
| P_REV = 6 | CDMA2000. IS-95와의 하위 호환성을 제공. |
통화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 장치는 트래픽 채널 사용으로 제한된다. MAC에서는 정규 음성(보코더) 또는 데이터(RLP) 비트를 신호 메시지 조각과 다중화할 수 있도록 트래픽 채널에 대한 프레임 형식이 정의되어 있다.[1] 신호 메시지 조각은 링크-접근 제어(LAC)에서 조립되며, 여기서 완전한 신호 메시지가 계층 3으로 전달된다.
4.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IS-95는 순방향(네트워크→이동국) 및 역방향(이동국→네트워크) 신호 전송을 정의한다.순방향에서는 기지국(BTS)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모든 순방향 전송은 초당 1,228,800칩의 속도를 갖는 QPSK를 사용한다. 각 신호는 길이 64의 Walsh 코드와 길이 215의 PN 코드로 확산된다. 역방향의 경우, 무선 신호는 이동국에서 전송되며, OQPSK를 사용한다. 순방향 링크와 마찬가지로 칩 속도는 초당 1,228,800이며 신호는 Walsh 코드와 단축 코드로 확산된다.
순방향 방송 채널 (Forward Broadcast Channels)
- 파일럿 채널: 각 기지국(BTS)은 상당한 양의 출력 전력을 변조되지 않은 PN 시퀀스(Walsh 코드 0으로 확산됨)인 ''파일럿 채널''에 할당한다.[1] 네트워크의 각 BTS 섹터에는 64칩 단위로 PN 오프셋이 할당되며, 순방향 파일럿에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다.[1] 강력한 자기상관 함수를 가진 순방향 파일럿은 이동 통신 기기가 시스템 타이밍을 결정하고 핸드오프를 위해 서로 다른 BTS를 구별할 수 있게 한다.[1]
- 동기 채널: BTS는 Walsh 코드 32로 확산된 ''동기 채널''을 전송한다. 동기 채널 프레임은 ms이고 프레임 경계는 파일럿에 맞춰져 있다. 동기 채널은 ''동기 채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며, 메시지는 프레임당 32비트, 128심볼로 인코딩되어 1200 bit/s의 속도로 전송된다. 동기 채널 메시지에는 BTS 섹터에서 사용되는 PN 오프셋을 포함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페이징 채널: BTS는 Walsh 코드 1로 시작하여 최소 하나에서 최대 7개의 ''페이징 채널''을 전송한다. 페이징 채널 프레임 시간은 20ms이며 IS-95 시스템(GPS) 2초 롤오버에 맞춰져 있다. 페이징 채널에서 사용되는 속도는 4800 bit/s 또는 9600 bit/s의 두 가지가 있으며, 두 속도 모두 초당 19200개의 심볼로 인코딩된다. 페이징 채널에는 네트워크에서 모든 유휴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되는 신호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순방향 트래픽 채널 (Forward Traffic Channels)기지국(BTS) 섹터에서 방송 채널에 할당되지 않은 Walsh 공간은 ''트래픽 채널''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은 IS-95에서 지원하는 개별 음성 및 데이터 통화를 전송한다. 페이징 채널과 마찬가지로 트래픽 채널은 20ms의 프레임 시간을 갖는다.
음성 및 사용자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전송되므로 트래픽 채널은 가변 속도 작동을 지원한다. 20ms 프레임은 사용 중인 서비스(음성 또는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전송될 수 있다. P_REV=1 및 P_REV=2는 1200, 2400, 4800 또는 9600 bit/s의 속도를 제공하는 ''속도 세트 1''을 지원했다. P_REV=3 이상에서는 1800, 3600, 7200 또는 14400 bit/s의 속도를 제공하는 ''속도 세트 2''도 제공되었다.
음성 통화의 경우, 트래픽 채널은 ''보코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가변 속도 트래픽 프레임을 수신하는 이동 통신 장치는 프레임이 전송된 속도를 알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각 가능한 속도로 프레임을 디코딩하고, 비터비 디코더의 품질 지표를 사용하여 올바른 결과를 선택한다.
트래픽 채널은 IS-95에서 회선 교환 데이터 통화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가변 속도 트래픽 프레임은 IS-95 ''RLP''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RLP는 데이터의 무선 링크 성능을 개선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블록 인터리버 (Block Interleaver)컨볼루션 부호화와 반복 이후, 기호들은 24x16 배열인 20ms 블록 인터리버로 전송된다.
4. 2. 용량 (Capacity)
IS-95와 CDMA 기술의 사용은 섀넌의 정리에 따라 처리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용량은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역폭에 따라 향상된다. IS-95는 고정된 대역폭을 가지지만 SNR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기 때문에 디지털 환경에서 좋은 성능을 보인다.[1]CDMA에서 관심 채널과 상관관계가 없는 신호(예: 인접한 기지국의 다른 PN 오프셋)는 잡음으로 나타나고, 적절하게 시간 정렬된 다른 월시 코드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확산 제거 과정에서 본질적으로 제거된다. 트래픽 채널의 가변 속도 특성은 저전력으로 전송되는 낮은 속도 프레임을 제공하여 다른 신호가 여전히 올바르게 수신될 수 있도록 더 적은 잡음을 유발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다른 셀룰러 기술보다 낮은 잡음 수준을 제공하여 IS-95 네트워크가 동일한 무선 스펙트럼에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1]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서는 능동적인(느린) 전력 제어도 사용된다. 통화 중 모바일은 신호 품질을 나타내는 신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네트워크는 트래픽 채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신호 품질을 충분히 좋게 유지하여 다른 모든 사용자가 감지하는 잡음 수준을 최소화한다.[1]
4. 3. 계층 2 (Layer 2)
통화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 장치는 트래픽 채널 사용으로 제한된다. MAC에서는 정규 음성(보코더) 또는 데이터(RLP) 비트를 신호 메시지 조각과 다중화할 수 있도록 트래픽 채널에 대한 프레임 형식이 정의되어 있다.[1] 신호 메시지 조각은 링크-접근 제어(LAC)에서 조립되며, 여기서 완전한 신호 메시지가 계층 3으로 전달된다.5. 적용 (Deployment)
cdmaOne은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PDC나 GSM과 비교하여 더 새로운 방식이다. 그 사이의 기술 발전을 통해, 높은 통화 음질과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3세대 이동 통신 방식인 W-CDMA와 CDMA2000과 cdmaOne은 CDMA 방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이 때문에 cdmaOne은 '''2.5세대'''라고도 불린다.
미국, 일본, 한국, 홍콩 외에도, 캐나다, 멕시코, 이스라엘과 베네수엘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IDO와 DDI 셀룰러 그룹 각사(현・au(KDDI・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가 도입했다. 이후 후속 기술인 CDMA 1X(당초 CDMA2000 1x)로 전환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