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쏠배감펭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쏠배감펭아과는 5개의 속으로 구성된 분류군으로, 양볼락아과의 하위 분류군에 속한다. 단지쏠배감펭속, 분홍쏠배감펭속, 에보시아속, 반점쏠배감펭속, 쏠배감펭속을 포함하며, 한국에는 히메야마노카미, 시마히메야마노카미, 에보시카사고, 쏠배감펭, 흰동가리쏠배감펭, 네트타이쏠배감펭 등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볼락과 - 쏠배감펭
    쏠배감펭은 가슴지느러미의 검은 반점을 특징으로 하며, 서태평양 등지에 분포하고, 지느러미 가시에 독이 있는 육식성 어종이다.
  • 양볼락과 - 미역치
    미역치는 몸길이 10~12cm의 납작한 물고기로, 등지느러미에 독샘이 있는 가시가 있으며, 얕은 암초나 조간대에서 서식하며 육식성으로 무척추동물 등을 먹고 관상어나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쏠배감펭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Pteroini
명명자Kaup, 1873
모식종Scorpaena volitans
모식종 명명자Bloch, 1787
하위 분류
본문 참조

2. 하위 속

쏠배감펭아과는 5개의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1][6][7]

그림
단지쏠배감펭속(Brachypterois) 파울러, 1938
덴드로키루스속 (Dendrochirus) 스웨인슨, 1839
에보시감펭속 (Ebosia) 조던 & 스타크스, 1904
반점쏠배감펭속 (Parapterois) 블리커, 1876
쏠배감펭속 (Pterois) 오켄, 1817


2. 1. 단지쏠배감펭속 (''Brachypterois'')

파울러가 1938년에 단지쏠배감펭속(''Brachypterois'')을 명명했다.[1][6][7]

그림


2. 2. 덴드로키루스속 (''Dendrochirus'')

스웨인슨이 1839년에 명명했으며, 한국에는 히메야마노카미, 시마히메야마노카미 등이 서식한다.[1][6][7]

히메야마노카미 D. bellus (D. S. Jordan & C. L. Hubbs, 1925)
시마히메야마노카미 D. brachypterus (G. Cuvier, 1829)
기린미노 D. zebra (G. Cuvier, 1829)
히레보시미노카사고 D. biocellatus (Fowler, 1938)
D. barberi (Steindachner, 1900)



히레보시미노카사고

2. 3. 에보시감펭속 (''Ebosia'')



조던과 스타크스가 1904년에 명명했다.[1][6][7] 한국에는 에보시카사고가 서식한다.

'''에보시카사고속(Ebosia)'''

  • 에보시카사고 ''E. bleekeri''
  • ''E. falcata''

2. 4. 반점쏠배감펭속 (''Parapterois'')



'''반점쏠배감펭속'''(''Parapterois'')은 블리커가 1876년에 명명했다.

세토미노카사고

  • 세토미노카사고 ''P. heterura'' (블리커, 1856) (블랙풋 파이어피쉬)

2. 5. 쏠배감펭속 (''Pterois'')

오켄이 1817년에 명명했다.[1][6][7] 한국에는 쏠배감펭, 흰동가리쏠배감펭, 네트타이쏠배감펭 등이 서식한다.

  • 쏠배감펭 ''P. lunulata'' (템민크 & 슐레겔, 1843)
  • 흰동가리쏠배감펭 ''P. volitans'' (린네, 1758)
  • 네트타이쏠배감펭 ''P. antennata'' (블로흐, 1787)
  • 키미오코제 ''P. radiata'' (퀴비에, 1829)
  • ''P. mombasae'' (J. L. B. Smith, 1957)
  • ''P. russelii'' (베넷, 1831)
  • ''P. sphex'' (조던 & 에버만, 1903)
  • ''P. miles'' (존 휘처치 베넷, 1828)


3. 계통 분류

2018년 스미스(Smith) 등의 연구에 기초한 양볼락과 계통 분류에 따르면, 쏠배감펭아과는 양볼락아과의 하위 분류군에 속한다.[9]

3. 1. 계통 분류 상세

2018년 스미스(Smith) 등의 연구에 기초한 양볼락과 계통 분류에서 쏠배감펭아과는 다음과 같은 하위 속을 포함한다.[9]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www.research[...]
[2] 논문 Ichthyological genotypes: Desmarest's designations, 1874 https://www.biodiver[...]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4]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New Classification of the Superfamily Scorpaenoidea (Actinopterygii: Perciformes) https://www.jstage.j[...]
[6] 간행물
[7] 간행물 2022-02-23
[8] 웹인용 Pteroinae http://www.fishbase.[...]
[9] 문서 Phylogeny and Taxonomy of Flatheads, Scorpionfishes, Sea Robins, and Stonefishes (Percomorpha: Scorpaeniformes) and the Evolution of the Lachrymal Sab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