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역치는 몸길이 10~12cm의 납작하고 폭이 좁은 물고기이다. 머리가 크고 입술이 뭉툭하며, 등지느러미에 독샘이 있는 가시가 있고, 몸 색깔은 흰색, 빨강, 검정, 갈색 등이 섞여 보호색을 띤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얕은 암초나 조간대, 장애물이 있는 곳에 서식한다. 육식성으로 무척추동물, 소형 어류, 새우류 등을 먹고, 낚시의 잡어로 잡히기도 한다. 관상어로 기르기도 하며, 등지느러미의 독가시를 제거하면 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크기가 작고 손질이 번거로워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의 물고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동아시아의 물고기 - 흰점복
- 양볼락과 - 쏠배감펭
쏠배감펭은 가슴지느러미의 검은 반점을 특징으로 하며, 서태평양 등지에 분포하고, 지느러미 가시에 독이 있는 육식성 어종이다. - 양볼락과 - 조피볼락
조피볼락은 거친 피부 때문에 이름 붙여진 쏨뱅이목 볼락과 물고기로, 북서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방사능 오염 논란이 있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미역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aracentropogon rubripinnis |
명명자 | Temminck and Schlegel, 1844 |
한국어 이름 | 하오코제 |
영어 이름 | Redfin velvetfish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상목 | 극기류 |
미분류 | 에우페르카리아류 |
목 | 농어목 |
아목 | 양볼락아목 |
과 | 미역치과 |
속 | 미역치속 |
종 |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
2. 형태
몸길이는 10~12cm 정도이며, 측면 형태는 폭이 좁고 체고가 크다. 머리 부분은 체장에 비해 크고, 입술은 짧고 뭉툭하다. 등지느러미가 앞쪽으로 뻗어 머리까지 닭 볏처럼 발달하고, 빗 모양의 지느러미 줄기는 독샘이 된다.[2]
한국, 일본 등지의 얕은 암초나 조간대에 서식하며, 특히 바위나 물풀 등 장애물이 있는 곳에 많다. 치어와 어린 물고기는 썰물 때 고인 물에서도 관찰된다. 육식성이며, 무척추동물, 소형 어류, 새우류 등을 잡아먹는다.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미역치는 붉은색의 작고 귀여운 외모로 수족관에서 관상어로 자주 길러진다. 등지느러미에 독가시가 있어 식용으로 잘 사용되지는 않지만, 가시를 제거하면 식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몸색깔은 흰색, 빨강, 검정, 갈색이 선명한 지도 모양으로 섞여 보호색을 띠며, 무수한 개체 변이를 나타낸다. 등지느러미는 눈 위쪽에서부터 시작되고 뒷지느러미의 가시는 3개, 배지느러미 조(條)는 4개이다. 몸은 납작하고 거의 비늘이 없다. 등쪽은 엷은 갈색, 배는 빨간색이다. 머리 부분에 있는 가시는 뾰족하고 앞 아가미뚜껑뼈에 5개의 가시가 있다.
3. 생태
방파제 낚시의 잡어로 잡히는 경우가 많고, 썰물 때 고인 물에서도 종종 볼 수 있지만, 다른 쏨뱅이류와 마찬가지로 등지느러미의 가시에 독이 있어 찔리면 심하게 아프다.[1]
4. 분포
5. 인간과의 관계
방파제 낚시에서 잡어로 잡히거나, 썰물 때 고인 물에서도 종종 발견되지만, 쏨뱅이류처럼 등지느러미 가시에 독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1]
5. 1. 관상어
붉은색의 작고 귀여운 외모로 수족관에서 자주 기른다. 소형종이고 식성이나 적정 수온에 까다롭지 않아 사육이 용이하다.
5. 2. 식용
등지느러미에 있는 독가시를 제거하면 식재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주로 튀김으로 먹는다. 단백질 독소 및 효소는 고온에서 튀기면 변성되므로, 튀김 조리를 통해 무독화할 수 있다. 흰살 생선으로 맛이 좋지만, 크기가 작고 독가시 때문에 손질이 번거로워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1]
5. 3. 낚시
방파제 낚시에서 잡어로 잡히는 경우가 많고, 썰물 때 고인 물에서도 종종 볼 수 있지만, 다른 쏨뱅이류와 마찬가지로 등지느러미의 가시에 독이 있어 찔리면 심하게 아프다.[1]
6. 기타
일본에서는 단풍잎을 연상시키는 외형 때문에 '하오코제(ハオコゼ)'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어획 시 등지느러미를 이빨처럼 세우는 습성에서 "이빨 쏠배감펭"이라는 어원을 가지고 있다는 설도 있다.[2]
참조
[1]
간행물
Redfin Velvetfish - Paracentropogon rubripinnis - Overview
EOL
2013-09-07
[2]
서적
図説 魚と貝の事典
柏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