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름매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름매미는 애매미와 같은 속의 곤충으로,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몸의 무늬와 울음소리에서 차이를 보인다. 쓰름매미는 '쓰르람 쓰르람'하는 단조로운 소리를 내는 반면, 애매미는 복잡한 소리를 낸다. 일본어 히구라시(ヒグラシ)는 저녁매미를 가리키지만, 쓰름매미와 다른 종임에도 불구하고 쓰르라미로 잘못 번역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작품 번역 과정에서 쓰르라미는 쓰름매미가 아닌 저녁매미를 의미하며, 일본에는 쓰름매미가 서식하지 않기 때문에 저녁매미를 쓰르라미로 표기하는 것은 동정 오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미 - 늦털매미
    늦털매미는 몸에 털이 많고 늦여름부터 늦가을까지 활동하며 '씩 씩 씩' 소리를 내는 매미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매미 - 애매미
    애매미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머리와 가슴, W자 무늬가 있고,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며, 기후 변화와 도시화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매미의 일종이다.
쓰름매미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곤충강
아강유시아강
노린재목 (반翅目)
아목요코바이아목 (동翅아목)
상과매미상과
매미과
아과매미아과
ツクツクボウシ족
ツクツクボウシ속
학명
학명Meimuna mongolica
명명자Distant, 1881
일반 정보
일본어 이름コマゼミ (Komazemi)
한국어 이름쓰름매미
로마자 표기sseureummaemi
이미지 정보
[[대한민국]][[충청남도]][[청양군]][[칠갑산]]의 쓰름매미
대한민국충청남도청양군칠갑산

2. 애매미와의 차이

애매미와 같은 속인 쓰름매미는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몸의 무늬와 울음소리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애매미는 복잡한 소리를 내는 반면, 쓰름매미는 '쓰르람 쓰르람'하고 단조롭게 운다.[1]

2. 1. 형태적 차이

애매미와 같은 속인 쓰름매미는 생김새가 비슷하다. 하지만 몸의 무늬와 울음소리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데, 복잡한 소리를 가진 애매미와 달리 쓰름매미는 '쓰르람 쓰르람'하고 단조롭게 소리내는 편이다.[1]

쓰름매미속의 쓰름매미는 쓰름매미의 형태와 비슷하지만, 몸의 무늬와 울음소리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복잡한 울음소리를 가진 쓰름매미와는 달리, 쓰름매미는 "쓰름무!" "쓰름무!" 하고 단조롭게 운다.[1]

쓰름매미의 울음소리는 일본산 오오시마매미와 비슷하지만, 템포와 멜로디에 차이가 있다.[1]

2. 2. 울음소리 차이

애매미와 생김새가 비슷한 쓰름매미는 몸의 무늬와 울음소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애매미는 복잡한 소리를 내는 반면, 쓰름매미는 '쓰르람 쓰르람'하고 단조롭게 운다.[1]

쓰름매미는 "쓰름무!" "쓰름무!" 하고 단조롭게 우는데,[1] 이는 일본산 오오시마매미와 비슷하지만 템포와 멜로디에 차이가 있다.[1]

3. 잘못된 번역

일본어 히구라시(ヒグラシ)는 저녁매미를 뜻하는데, 쓰름매미와는 다른 종임에도 '쓰르라미'로 잘못 번역되기도 한다. 쓰르라미 울 적에와 같은 일본 작품 번역 과정에서 언급되는 '쓰르라미'는 쓰름매미가 아닌 저녁매미를 가리키며, 일본에는 쓰름매미가 서식하지 않기 때문에 저녁매미를 쓰르라미로 표기하는 것은 오동정한 것이다.[1]

3. 1. 오역 사례

일본어 '히구라시(ヒグラシ)'는 저녁매미를 뜻하는데, 쓰름매미와는 다른 종임에도 불구하고 '쓰르라미'로 잘못 번역되는 경우가 있다. 쓰르라미 울 적에와 같은 일본 작품 번역 과정에서 종종 언급되는 '쓰르라미'는 쓰름매미가 아닌 저녁매미를 가리킨다. 일본에는 쓰름매미가 서식하지 않으므로, 저녁매미를 쓰르라미로 표기하는 것은 동정 오류이다.

3. 2. 오동정 문제

일본어 히구라시(ヒグラシ)는 저녁매미인데, 쓰름매미와 엄연히 다른 종인데도 불구하고 이것이 쓰르라미로 잘못 번역되기도 한다. 쓰르라미 울 적에 같은 일본 작품 번역과정에서 심심찮게 언급되는 쓰르라미는 이 쓰름매미가 아닌 저녁매미를 가리키며, 일본에는 쓰름매미가 서식하지 않기 때문에 저녁매미를 쓰르라미로 표기하는 것은 오동정한 것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センタイ/新常用和漢薬集 | 公益社団法人東京生薬協会 https://www.tokyo-sh[...] 2023-07-15
[2] 웹사이트 世界のセミ200種 https://omnh-shop.oc[...] 2023-07-15
[3] 웹사이트 ・日本薬局方外生薬規格2022について(◆令和04年03月08日薬生薬審発第308001号) https://www.mhlw.go.[...] 2023-07-15
[4] 웹인용 "''Meimuna mongolica — Overview '' — Overview" http://eol.org/pages[...] 2012-02-28
[5] 웹인용 쓰름매미 http://www.nature.go[...]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2-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