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널드 테일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널드 테일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프로 복싱 선수로, 1973년 WBA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 그는 1974년 홍수환과의 1차 방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었으며, 1976년 은퇴했다. 테일러는 1981년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자 권투 선수 - 마이크 베르나르도
마이크 베르나르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킥복싱 및 권투 선수로, K-1 월드 그랑프리 우승과 WBF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차지했으며, 2006년 은퇴 후 심리 상담사로 활동하다 2012년에 사망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자 권투 선수 - 프랑수아 보타
프랑수아 보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프로 복싱, 킥복싱, 종합격투기 선수이며, IBF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획득했으나 약물 복용으로 타이틀을 박탈당했고, 마이크 타이슨, 레녹스 루이스 등과 대결했으며, K-1에서 제롬 르 밴너를 꺾는 등의 활약을 펼쳤다. - 밴텀급 권투 세계 챔피언 - 홍수환
홍수환은 아마추어 복싱 선수에서 프로 권투 선수로 전향하여 1974년 WBA 밴텀급 챔피언, 1977년 WBA 주니어 페더급 챔피언에 오르며 2체급을 석권했고, 은퇴 후 해설가와 한국권투 관련 협회 회장 및 위원장을 역임하며 한국 권투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밴텀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문성길
문성길은 1982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아마추어 시절 219승 22패의 전적을 기록하고, 아시안 게임과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프로로 전향하여 WBA 밴텀급과 WBC 슈퍼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을 지낸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모터사이클 사고로 죽은 사람 - 챈스 퍼도모
챈스 퍼도모는 1996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과 미국 이중 국적을 가진 배우였으며, 《사브리나의 오싹한 모험》 등에 출연했으나 2024년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했다. - 모터사이클 사고로 죽은 사람 - 탈리스 리마 지 콘세이상 페냐
브라질 축구 선수 탈리스 리마 지 콘세이상 페냐는 바스쿠 다 가마에서 데뷔, 알비렉스 니가타 임대, 브라질 U-20, U-21 대표팀 활동 후 폰치 프레타 임대 중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했다.
아널드 테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통계 | |
총 경기 수 | 50 |
승리 | 40 |
KO 승 | 17 |
패배 | 8 |
무승부 | 1 |
무효 경기 | 1 |
2. 생애 및 배경
아널드 테일러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거주한 백인 남아프리카인이었다. 1945년 7월 15일, 머리엘과 조 테일러의 아들로 태어났다. 테일러는 자격을 갖춘 제과 기술자였으며, 요하네스버그의 지역 빵집에서 낮에 일하고 밤에는 복싱 훈련을 받았다.
1967년 5월 20일 프로 데뷔하였다. 1973년 11월 3일 WBA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 1974년 7월 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홍수환에게 판정패했다.[1] 1976년 11월 24일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1981년 11월 22일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프로 통산 전적은 41승(17KO) 8패 1무이다.
2. 1. 프로 선수 경력
1974년 7월 3일, 아널드 테일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홍수환을 상대로 세계 복싱 협회(WBA) 밴텀급 타이틀 1차 방어전을 치렀다.[1] 이 경기에서 테일러는 네 번이나 다운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경기 초반 세 번 다운되었으나, 10라운드부터 15라운드까지 끈질기게 반격하며 홍수환을 코너와 로프로 몰아넣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4라운드에 다시 한번 다운되면서 결국 15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하고, 타이틀을 잃고 말았다.[1] 이는 한국 복싱 역사에 길이 남을 명승부로, 홍수환은 이 승리로 한국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반면, 테일러는 잦은 다운으로 인해 챔피언으로서의 위엄을 지키지 못하고, 결국 타이틀을 빼앗기는 비운을 맞이했다.2. 1. 1. 홍수환과의 대결
1974년 7월 3일, 아널드 테일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홍수환을 상대로 세계 복싱 협회(WBA) 밴텀급 타이틀 1차 방어전을 치렀다.[1] 이 경기에서 테일러는 네 번이나 다운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경기 초반 세 번 다운되었으나, 10라운드부터 15라운드까지 끈질기게 반격하며 홍수환을 코너와 로프로 몰아넣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4라운드에 다시 한번 다운되면서 결국 15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하고, 타이틀을 잃고 말았다.[1] 이는 한국 복싱 역사에 길이 남을 명승부로, 홍수환은 이 승리로 한국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반면, 테일러는 잦은 다운으로 인해 챔피언으로서의 위엄을 지키지 못하고, 결국 타이틀을 빼앗기는 비운을 맞이했다.2. 2. 챔피언 이후
아널드 테일러는 1967년 5월 20일 프로 복싱에 데뷔하여 1973년 11월 3일 WBA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1] 1974년 7월 3일 더반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홍수환에게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테일러는 로메오 아나야와의 경기에서 14라운드에 턱에 오른손 펀치를 적중시켜 KO승을 거두며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 이 경기는 남아프리카 복싱 역사상 가장 피 튀기는 경기 중 하나로 묘사될 만큼 치열했다.[1] 홍수환과의 경기에서도 테일러는 여러 차례 다운되었지만 10라운드부터 15라운드까지 반격하며 명승부를 펼쳤으나, 결국 판정패했다.[1]
이후 테일러는 4연승을 거두었지만, 연이은 두 번의 패배 후 은퇴를 결정했다. 1976년 11월 24일 마지막 경기를 치렀으며, 프로 통산 전적은 41승(17KO) 8패 1무이다. 1981년 11월 22일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2. 3. 사망
아널드 테일러는 1967년 5월 20일 프로 데뷔하여, 1973년 11월 3일 WBA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 1974년 7월 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홍수환에게 판정패했다. 1976년 11월 24일 마지막 경기를 치렀으며, 프로 통산 전적은 41승(17KO) 8패 1무이다.테일러는 1981년 11월 22일, 장녀 샤르메인의 오토바이를 운전하던 중 사고를 당해 현장에서 사망했다.
3. 전적
아널드 테일러는 1967년 5월 2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코파네 피에트 포트지터 고등학교에서 레이 버틀과 무승부를 기록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1967년 6월 30일 요하네스버그 시청에서 열린 경기에서 레이 버틀을 상대로 9라운드 TKO승을 거두며 비어있는 남아프리카 트란스발 '백인'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8년 2월 19일, 요하네스버그 시청에서 안드리스 스테인을 상대로 12라운드 경기에서 승리하며 남아프리카 페더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1968년 6월 18일 요하네스버그 시청에서 열린 데니스 아담스와의 남아프리카 밴텀급 타이틀전에서는 1라운드 KO패를 당했다.
1969년 5월 24일, 요하네스버그 엘리스 파크 테니스 스타디움에서 데니스 아담스를 상대로 8라운드 RTD 승리를 거두며 남아프리카 페더급 타이틀을 방어했다. 1969년 5월 12일 더반 시청에서 허비 클라크를 상대로 12라운드 경기에서 승리하여 비어있는 남아프리카 라이트급 타이틀을 차지했다.
1970년 8월 15일, 요하네스버그 엘리스 파크 테니스 스타디움에서 레이 버틀을 8라운드 TKO로 꺾고 남아프리카 페더급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2년 3월 27일 요하네스버그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한시에 반 로엔을 상대로 12라운드 경기에서 승리하며 남아프리카 페더급 타이틀을 다시 한번 방어했다.
1973년 11월 3일, 요하네스버그 랜드 스타디움에서 로메오 아나야를 14라운드 KO로 꺾고 WBA 및 The Ring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1974년 7월 3일 더반 웨스트 리지 테니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수환과의 경기에서 15라운드 UD로 패하며 타이틀을 상실했다.
이후 1976년 11월 24일 영국 런던 메이페어 앵글로-아메리칸 스포츠 클럽에서 버논 솔라스에게 8라운드 RTD로 패배한 것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아널드 테일러의 통산 전적은 40승(17KO) 8패 1무 1무효이다.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 날짜 | 장소 | 비고 | |
---|---|---|---|---|---|---|---|---|
50 | 패 | 40–8–1 | 버논 솔라스 | RTD | 8 (10) | 1976년 11월 24일 | ||
49 | 패 | 40–7–1 | 스베인 에릭 폴센 | PTS | 10 | 1976년 10월 21일 | ||
48 | 승 | 40–6–1 | 데이브 니덤 | PTS | 10 | 1976년 5월 8일 | ||
47 | 승 | 39–6–1 | 로메오 아나야 | KO | 8 (10) | 1975년 6월 27일 | ||
46 | 승 | 38–6–1 | 로타 아벤트 | RTD | 3 (10) | 1975년 5월 5일 | ||
45 | 승 | 37–6–1 | 존 미첼 | TKO | 4 (10) | 1975년 2월 22일 | ||
44 | 패 | 36–6–1 | 홍수환 | UD | 15 | 1974년 7월 3일 | ||
43 | 패 | 36–5–1 | 로렌조 트루히요 | PTS | 10 | 1974년 5월 31일 | ||
42 | 승 | 36–4–1 | 폴 페레리 | PTS | 10 | 1974년 3월 18일 | ||
41 | 승 | 35–4–1 | 귀 카우드론 | PTS | 10 | 1974년 2월 16일 | ||
40 | 승 | 34–4–1 | 로메오 아나야 | KO | 14 (15) | 1973년 11월 3일 | ||
39 | 승 | 33–4–1 | 빌리 웨이쓰 | PTS | 10 | 1973년 6월 16일 | ||
38 | 승 | 32–4–1 | 지미 벨 | PTS | 10 | 1973년 4월 28일 | ||
37 | 승 | 31–4–1 | 에반 암스트롱 | KO | 4 (10) | 1972년 10월 28일 | ||
36 | 승 | 30–4–1 | 한시에 반 로엔 | KO | 6 (10) | 1972년 5월 13일 | ||
35 | 승 | 29–4–1 | 한시에 반 로엔 | PTS | 12 | 1972년 3월 27일 | ||
34 | 승 | 28–4–1 | 우고 폴리 | KO | 4 (10) | 1972년 1월 29일 | ||
33 | 승 | 27–4–1 | 크리스 넬 | RTD | 7 (10) | 1971년 11월 27일 | ||
32 | 승 | 26–4–1 | 루이스 아이사 | PTS | 10 | 1971년 10월 30일 | ||
31 | 승 | 25–4–1 | 알베르토 장갈라이 | PTS | 10 | 1971년 8월 30일 | ||
30 | 승 | 24–4–1 | 메모 에스피노사 | PTS | 10 | 1971년 8월 3일 | ||
29 | 승 | 23–4–1 | 투로리 조지 | PTS | 10 | 1971년 6월 14일 | ||
28 | 승 | 22–4–1 | 윌리 코르도바 | PTS | 10 | 1971년 5월 17일 | ||
27 | 승 | 21–4–1 | 윌리 코르도바 | PTS | 10 | 1971년 5월 3일 | ||
26 | 승 | 20–4–1 | 크리스 넬 | TKO | 10 (10) | 1970년 12월 29일 | ||
25 | 승 | 19–4–1 | 크리스 넬 | RTD | 7 (8) | 1970년 9월 21일 | ||
24 | 승 | 18–4–1 | 레이 버틀 | TKO | 8 (12) | 1970년 8월 15일 | ||
23 | 패 | 17–4–1 | 자니 파메촌 | PTS | 10 | 1970년 4월 11일 | ||
22 | 승 | 17–3–1 | 마이크 버틀 | TKO | 6 (12) | 1969년 12월 6일 | ||
21 | 승 | 16–3–1 | 마이크 버틀 | TKO | 5 (8) | 1969년 11월 15일 | ||
20 | 패 | 15–3–1 | 존 오브라이언 | PTS | 10 | 1969년 8월 30일 | ||
19 | 패 | 15–2–1 | 안드리 스테인 | RTD | 8 (12) | 1969년 7월 4일 | ||
18 | 승 | 15–1–1 | 데니스 아담스 | RTD | 8 (12) | 1969년 5월 24일 | ||
17 | 승 | 14–1–1 | 허비 클라크 | PTS | 12 | 1969년 5월 12일 | ||
16 | 승 | 13–1–1 | 허비 클라크 | DQ | 6 (10) | 1969년 4월 11일 | ||
15 | 승 | 12–1–1 | 앙리 네시 | PTS | 10 | 1969년 2월 15일 | ||
14 | 승 | 11–1–1 | 콜린 레이크 | DQ | 3 (10) | 1968년 11월 2일 | ||
13 | 승 | 10–1–1 | 로버트 트로트 | TKO | 3 (6) | 1968년 10월 7일 | ||
12 | 승 | 9–1–1 | 앤서니 모로디 | PTS | 6 | 1968년 10월 5일 | ||
11 | 승 | 8–1–1 | 에드윈 음봉궤 | PTS | 6 | 1968년 9월 7일 | ||
10 | 승 | 7–1–1 | 로버트 트로트 | PTS | 8 | 1968년 8월 26일 | ||
9 | 승 | 6–1–1 | 허비 클라크 | TKO | 9 (10) | 1968년 8월 12일 | ||
8 | 패 | 5–1–1 | 데니스 아담스 | KO | 1 (12) | 1968년 6월 18일 | ||
7 | 승 | 5–0–1 | 제리 조이 맥브라이드 | PTS | 10 | 1968년 6월 3일 | ||
6 | 승 | 4–0–1 | 바비 데이비스 | PTS | 10 | 1968년 4월 29일 | ||
5 | 승 | 3–0–1 | 안드리스 스테인 | PTS | 12 | 1968년 2월 19일 | ||
4 | 승 | 2–0–1 | 레이 버틀 | PTS | 8 | 1967년 12월 11일 | ||
3 | 1–0–1 | 로버트 트로트 | ND | 4 | 1967년 11월 25일 | |||
2 | 승 | 1–0–1 | 레이 버틀 | TKO | 9 (10) | 1967년 6월 30일 | ||
1 | 무승부 | 0–0–1 | 레이 버틀 | PTS | 6 | 1967년 5월 20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