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수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수환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1974년 WBA 밴텀급 챔피언, 1977년 WBA 주니어페더급 챔피언을 지냈다. 1969년 프로 데뷔 후 한국 밴텀급, OPBF 밴텀급 챔피언을 거쳤으며, 1974년 WBA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하여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라는 유행어를 남겼다. 4전 5기 신화의 주인공으로 불리며, 은퇴 후에는 한국권투인협회 회장, 한국권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방송, 영화, 라디오 등 연예계 활동을 하였으며, 2021년에는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밴텀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염동균 (권투 선수)
    염동균은 한국 최초의 WBC 슈퍼밴텀급 챔피언으로, 한국 슈퍼밴텀급 챔피언과 동양태평양복싱연맹 챔피언을 거쳐 WBC 챔피언에 등극 후 한국권투인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권투 발전에 기여했다.
  • 슈퍼밴텀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매니 파키아오
    매니 파키아오는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걸쳐 8체급을 석권한 필리핀의 복싱 선수이자 정치인, 배우로, 빈곤을 극복하고 복싱으로 8개 체급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으며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슈퍼밴텀급 권투 선수 - 조인주
    조인주는 1992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1998년 WBC 슈퍼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고, 5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홍창수에게 2연패하며 은퇴했다.
  • 슈퍼밴텀급 권투 선수 - 염동균 (권투 선수)
    염동균은 한국 최초의 WBC 슈퍼밴텀급 챔피언으로, 한국 슈퍼밴텀급 챔피언과 동양태평양복싱연맹 챔피언을 거쳐 WBC 챔피언에 등극 후 한국권투인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권투 발전에 기여했다.
  • 영락고등학교 동문 - 전영록
    1971년 데뷔한 전영록은 1980년대에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가수로서 큰 인기를 얻었고, 영화 《돌아이》 시리즈를 통해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배우 황해와 가수 백설희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딸들 또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 영락고등학교 동문 - 오지훈 (1973년)
    오지훈은 1992년 윤상의 무대에서 드럼 연주자로 음악 활동을 시작, 1994년 댄스 팝 그룹 투투를 결성하여 '일과 이분의 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투투 해체 후 얍(YAB) 결성, 솔로 활동 및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홍수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6년 홍수환
1976년 홍수환
본명홍수환
별칭해당 사항 없음
체급밴텀급
슈퍼밴텀급
신장170 cm
리치169 cm
출생일1950년 5월 26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스타일오소독스
전적
총 경기 수50
승리41
KO 승리14
패배5
무승부4
소속
현재 소속한국권투인협회 CEO 회장
한국권투위원회 위원장 (겸직)
스카이피플엔터테인먼트 (소속사)
기타 정보
활동 기간1969년 ~ 1980년
영화 출연영화 1편에 조연으로 출연

2. 가족 관계

홍수환의 아버지는 홍경섭(1915년~1964년)이며, 어머니는 황농선(1921년~1994년)이다. 아내는 가수이자 작사가, 기업가옥희(1953년~)이며, 본명은 김광숙이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는데, 장녀와 장남은 이전 교제녀의 소생이고, 차녀와 차남은 배우자 옥희의 소생이다. 남동생은 홍수철(1957년 1월 17일~)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개신교 목사 겸 대학 교수, 기업가이다.

3. 학력

서울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인천체육전문대학에서 체육학과 전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4. 생애 및 선수 경력

1950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2학년 때 남산 야외음악당에서 열린 고교 권투 시합을 보고 복싱에 입문하게 되었다.

홍수환은 1969년 5월 10일 김상일과의 경기로 프로 복싱에 데뷔하여 4라운드 무승부를 기록했다.[3] 1971년 9월 14일에는 한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고,[3] 1972년 6월 4일에는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3]

1974년 7월 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세계 복싱 협회(WBA) 밴텀급 타이틀전에서 아놀드 테일러에게 15회 판정승을 거두고 챔피언에 등극했다.[4] 이 경기에서 승리한 후 어머니에게 전화로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라고 말한 것이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5][6] 1974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페르난도 카바넬라를 판정으로 이겼으나,[7] 1975년 3월 14일 미국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알폰소 자모라에게 4회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8] 1976년 10월 16일 인천에서 자모라와 다시 맞붙었지만 12회 TKO패를 당했다.[9]

1977년 6월 27일, 한국판 “사모라 대 살라테”로 주목받은 염동균전에서 12라운드 판정승을 거두었다.[10]

1977년 11월 27일(현지시각 11월 26일 밤) 파나마에서 열린 WBA 주니어페더급(슈퍼밴텀급) 초대 타이틀 결정전에서 헥토르 카라스키야를 3회 KO로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11][12] 2회에 4번 다운되었으나 3회에 역전 KO승을 거두어 '4전5기' 신화의 주인공으로 불리게 되었다.[13] 1978년 2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가사하라 유우에게 판정승을 거두었으나,[15] 1978년 5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리카르도 카르도나에게 12회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상실했다.[16]

1980년 12월 19일 염동균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17]

홍수환은 은퇴 후 복싱 관련 단체에서 활동했는데, 2007년 9월 한국권투인협회 회장에 취임하여 2008년 6월 퇴임했고,[18] 2012년 1월에는 한국권투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19]

1977년 11월 27일 헥토르 카라스키야와의 세계복싱협회(WBA) 주니어페더급(슈퍼밴텀급) 초대 타이틀 결정전에서 승리한 경기는 한국 TBS 라디오에서 청취자들의 요청으로 27회 재방송되기도 했다.[14]

4. 1.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복싱

1950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2학년 때 남산 야외음악당에서 열린 고교 권투 시합을 보고 복싱에 입문하게 되었다.

4. 2. 프로 복싱 선수 경력

홍수환은 1969년 5월 10일 김상일과의 경기로 프로 복싱에 데뷔하여 4라운드 무승부를 기록했다.[3] 1971년 9월 14일에는 한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고,[3] 1972년 6월 4일에는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밴텀급 챔피언이 되었다.[3]

1974년 7월 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세계 복싱 협회(WBA) 밴텀급 타이틀전에서 아놀드 테일러에게 15회 판정승을 거두고 챔피언에 등극했다.[4] 이 경기에서 승리한 후 어머니에게 전화로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라고 말한 것이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5][6] 1974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페르난도 카바넬라를 판정으로 이겼으나,[7] 1975년 3월 14일 미국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알폰소 자모라에게 4회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8] 1976년 10월 16일 인천에서 자모라와 다시 맞붙었지만 12회 TKO패를 당했다.[9]

1977년 11월 27일(현지시각 11월 26일 밤) 파나마에서 열린 WBA 주니어페더급(슈퍼밴텀급) 초대 타이틀 결정전에서 헥토르 카라스키야를 3회 KO로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12] 2회에 4번 다운되었으나 3회에 역전 KO승을 거두어 '4전5기' 신화의 주인공으로 불리게 되었다.[13] 1978년 2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1차 방어전에서 가사하라 유우에게 판정승을 거두었으나,[15] 1978년 5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리카르도 카르도나에게 12회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상실했다.[16]

1980년 12월 19일 염동균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17]

4. 3. 은퇴 이후 활동

홍수환은 은퇴 후 1981년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나, 마약 밀매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기도 했다. 이후 귀국하여 복싱 관련 단체에서 활동했는데, 2008년 한국권투인협회 회장을 역임했고,[18] 2012년 1월에는 한국권투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19]

방송, 영화, 라디오 등 연예계 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특히 1977년 11월 27일 헥토르 카라스키야와의 세계복싱협회(WBA) 주니어페더급(슈퍼밴텀급) 초대 타이틀 결정전에서 승리한 경기는 한국 TBS 라디오에서 청취자들의 요청으로 27회 재방송되기도 했다.[14]

2021년에는 정치 활동을 시작, 10월부터 11월까지 국민의힘 홍준표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jp희망캠프 문화체육특별위원장을 역임했다. 이는 그의 복싱 경력과 대중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보수 정당의 지지 기반을 넓히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5. 프로 복싱 전적

번호결과전적상대유형라운드날짜장소비고
50무승부41–5–4염동균/염동균한국어PTS101980년 12월 19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4941–5–3리카르도 카르도나TKO12 (15), 1:231978년 5월 6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WBA 슈퍼밴텀급 타이틀 상실
4841–4–3가사하라 유/가사하라 유일본어UD151978년 2월 1일료고쿠 국기관, 도쿄, 일본WBA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4740–4–3헥터 카라스키야KO3 (15), 1:041977년 11월 26일누에보 파나마 체육관, 파나마 시티, 파나마초대 WBA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4639–4–3다나카 후타로/다나카 후타로일본어PTS121977년 10월 10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4538–4–3염동균/염동균한국어PTS121977년 6월 27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4437–4–3콘라도 바스케스UD101977년 3월 15일블레이즈델 센터 아레나, 호놀룰루, 미국 하와이주
4336–4–3알폰소 사모라TKO12 (15), 2:501976년 10월 16일수닌 체육관, 인천, 대한민국WBA 및 더 링 밴텀급 타이틀전
42무승부36–3–3릭 키하노PTS101976년 8월 21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
4136–3–2베니스 보르크호르소르PTS121976년 5월 30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OPBF 밴텀급 타이틀 획득
4035–3–2수탄 람빙KO6 (10), 1:511976년 4월 6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3934–3–2틴카존 데이카존KO6 (10), 2:341976년 3월 28일인천, 대한민국한국어
3833–3–2후지타 시노부/후지타 시노부일본어KO4 (10)1976년 2월 29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
3732–3–2에드윈 알라콘TKO4 (10)1976년 2월 22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
3631–3–2위타야 플레온짓KO4 (10), 2:171975년 11월 29일인천, 대한민국
3530–3–2오를란도 아모레스PTS101975년 8월 30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3429–3–2존 메자KO2 (12), 1:471975년 5월 21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3328–3–2알폰소 사모라KO4 (15), 2:271975년 3월 14일포럼, 잉글우드, 미국 캘리포니아주WBA 및 더 링 밴텀급 타이틀 상실
3228–2–2페르난도 카바넬라SD151974년 12월 28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WBA 및 더 링 밴텀급 타이틀 방어
3127–2–2고누마 노보루/고누마 노보루일본어PTS121974년 10월 27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
3026–2–2구로사와 겐조/쿠로사와 겐조일본어PTS121974년 9월 22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2925–2–2아놀드 테일러UD151974년 7월 3일웨스트리지 테니스 스타디움, 더반, 남아프리카 공화국WBA 및 더 링 밴텀급 타이틀 획득
2824–2–2미후네 고/미후네 고일본어PTS121974년 4월 20일구덕체육관, 부산, 대한민국한국어
2723–2–2와타나베 세이이치/와타나베 세이이치일본어PTS121974년 2월 3일대구, 대한민국한국어OPBF 밴텀급 타이틀 방어
2622–2–2에디 살로마PTS121973년 11월 24일대구, 대한민국한국어OPBF 밴텀급 타이틀 획득
2521–2–2버크렉 차트반차이PTS101973년 10월 7일부산, 대한민국한국어
2420–2–2이노우에 스스무/이노우에 스스무일본어KO3 (10), 2:031973년 8월 19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2319–2–2타놈치트 수코타이TKO8 (10), 1:461973년 2월 9일키티카촌 스타디움, 방콕, 태국
2218–2–2하라다 우시와카마루/하라다 우시와카마루일본어PTS101972년 11월 26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2117–2–2오키 시게요시/오키 시게요시일본어PTS121972년 10월 1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OPBF 밴텀급 타이틀 방어
2016–2–2엔도 겐지/엔도 켄지일본어KO1 (10), 1:461972년 8월 6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1915–2–2알 디아즈UD121972년 6월 4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OPBF 밴텀급 타이틀 획득
1814–2–2문정호/문정호한국어PTS101972년 4월 2일부산, 대한민국대한민국 밴텀급 타이틀 방어
1713–2–2배길제/배길제한국어PTS101972년 3월 12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대한민국 밴텀급 타이틀 방어
1612–2–2박영섭/박영섭한국어KO4 (10), 3:051972년 1월 15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대한민국 밴텀급 타이틀 방어
1511–2–2콜리 살로마PTS101971년 12월 12일아가냐, 괌
1411–1–2사투르니노 오르테가PTS101971년 11월 7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1310–1–2문정호/문정호한국어KO5 (10), 2:321971년 9월 14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대한민국 밴텀급 타이틀 획득
129–1–2장규철/장규철한국어PTS101970년 12월 1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118–1–2신해수/신해수한국어PTS81970년 10월 17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107–1–2오시마 신타로/오시마 신타로일본어KO1 (10), 2:131970년 8월 8일요코하마, 가나가와현, 일본
96–1–2하라다 우시와카마루/하라다 우시와카마루일본어PTS101970년 6월 9일오이타시, 오이타현, 일본
8무승부6–0–2신철호/신철호한국어PTS101970년 4월 19일대구, 대한민국한국어
76–0–1신해수/신해수한국어PTS61970년 3월 3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65–0–1백락기/백락기한국어PTS41969년 10월 6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54–0–1김용태/김용태한국어KO1 (4), 1:561969년 8월 7일서울, 대한민국한국어
43–0–1주홍택/주홍택한국어PTS41969년 7월 12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32–0–1박영삽/박영삽한국어PTS41969년 6월 21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21–0–1최창수/최창수한국어PTS41969년 6월 3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1무승부0–0–1김상일/김상일한국어PTS41969년 5월 10일서울 장충체육관, 대한민국한국어


6. 수상 경력

홍수환은 1974년 ''링''지 올해의 진보상을 받았다.

7. 출연 작품

7. 1. 방송 프로그램

7. 2. 영화

wikitext

7. 3. 라디오


  • 2005년 5월 2일부터 2006년 4월 23일까지 KBS 해피FM에서 이승연 아나운서와 함께 《라디오 챔피언》을 진행했다.
  • 2005년 9월 16일부터 2005년 9월 19일까지 KBS 제2라디오에서 이승연 아나운서와 함께 《KBS 해피FM 추석 교통 특별생방송 - 가는 길은 편안하게 오는 길은 안전하게》를 진행했다.
  • 2006년 1월 27일부터 2006년 1월 30일까지 KBS 제2라디오에서 이승연 아나운서와 함께 《KBS 해피FM 설 교통 특별생방송 - 고향길 즐겁게》를 진행했다.

8.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Hong Soo-hwan - Lineal Bantam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2] 뉴스 EBS1 '리얼극장', 옥희와 홍수환 딸 이야기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5-11-02
[3]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2-06-05
[4]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4-07-04
[5] 뉴스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4전 5기' 역전승의 주인공! https://news.sbs.co.[...] SBS 2017-11-27
[6] Youtube 우리나라 권투의 신화, 홍수환 “나 챔피언 먹었어.” https://www.youtube.[...] TVCHOSUN
[7]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4-12-30
[8]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5-03-15
[9]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6-10-18
[10]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7-06-28
[11] 웹사이트 Héctor Valdés Carrasquilla http://www.asamblea.[...]
[12]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7-11-28
[13] 뉴스 홍수환이 말하는 '4전5기' 진짜 의미…"결과 아닌 과정" http://news.jtbc.joi[...] jtbc 2014-11-26
[14] 뉴스 4전 5기 전했던 박병학, 다시 해설대에 오르다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15-07-14
[15]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8-02-02
[16]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78-05-08
[17] 뉴스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80-12-20
[18] 웹사이트 沿革 http://kbiboxing.com[...]
[19] 뉴스 피플+ 홍수환·유명우 "한국 권투 회생 불가능 아냐"(인터뷰)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