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디제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디제강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 근처에서 발원하여 이탈리아 북부를 관통,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독일어로는 에취 강, 라딘어로는 아디치로 불리며, 레셴 호를 거쳐 빈슈가우, 메라노, 볼차노를 지나 트렌토, 베로나를 통과한다. 주요 지류로는 아이사크강, 아비시오강, 노체강 등이 있으며, 포강과 평행으로 흐르다 아드리아해로 유입된다. 과거에는 독일어권의 남쪽 경계로 언급되기도 했으며, 대리석 연어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프스산맥 - 외치
외치는 기원전 3300년에서 3100년 사이에 살았던 미라로, 1991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되었으며, 화살에 맞아 사망했고, 과학적 분석을 통해 신체적 특징과 유전자 정보 등이 밝혀졌다. - 알프스산맥 - 베른 알프스
베른 알프스는 론 강에서 로이스 강까지 뻗은 알프스산맥의 일부로, 핀스테라어호른을 최고봉으로 하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스위스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융프라우-알레치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알프스산맥의 강 - 뤼치네강
- 알프스산맥의 강 - 아레강
아레강은 스위스 베른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라인강으로 합류하는 약 295km 길이의 강으로, 주요 호수를 거쳐 베른 구시가지를 감싸 흐르며, 수자원 이용과 홍수 방지 사업을 통해 생태 환경을 보존하고 있다. - 이탈리아의 강 - 루비콘강
루비콘강은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남동부를 흐르는 작은 강으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이탈리아 본토와 속주의 경계였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 강을 건너 로마 내전의 도화선이 된 사건과 관련되어 "루비콘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돌이킬 수 없는 중대한 결정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이탈리아의 강 - 티치노강
티치노강은 스위스에서 발원하여 마조레 호수를 거쳐 이탈리아로 흘러가 파비아 인근에서 포강과 합류하는 약 248km 길이의 강으로, 수력 발전 및 관개 용수로 활용되며 다양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아디제강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다른 이름 | 독일어: 에치(Etsch) 베네치아어: 아데제(Àdexe) 이탈리아어: 아디제(Adige) 로망슈어: 아디슈(Adisch) 라딘어: 아데스크(Adesc) 라틴어: 아테시스(Athesis) 고대 그리스어: Άθεσις (아테시스), Ἄταγις (아타기스) |
| 어원 | 라틴어 아테시스(Athesis)에서 유래, 이는 켈트어 *yt-ese, "물"을 의미 |
| 지리 | |
| 발원지 | 레셴파스 |
| 발원지 위치 | 이탈리아, 남티롤주, 그라운임빈슈가우 |
| 발원지 좌표 | 46° 50′ 04″ N, 10° 30′ 53″ E |
| 발원지 고도 | 1,520m |
| 하구 | 아드리아해 |
| 하구 위치 | 이탈리아 |
| 하구 좌표 | 45° 8′ 59″ N, 12° 19′ 13″ E |
| 하구 고도 | 0m |
| 유역 면적 | 12,100km² |
| 길이 | 410km |
| 평균 방류량 | 235m³/s |
| 일반 정보 | |
| 국가 | 이탈리아 |
2. 명칭
독일어에서는 '''에취 강'''(에치/Etschde)이라고 불리며, 라딘어에서는 아디치/Adiçlld로 표기된다. "아디제 강"이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아디제강은 레셴 고개 근처,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과 가까운 인강 계곡 위에서 발원한다. 인공적인 고산 레셴 호를 통과한다. 이 호수는 1953년 댐 완공 후 대피 및 침수된 옛 알트 그라운("올드 그라운") 마을의 부지를 표시하는 교회 탑으로 유명하다. 글루른스 근처에서는 스위스 발 뮈스터에서 흘러온 롬강과 합류한다.
3. 지리

아디제강은 빈슈가우를 지나 동쪽으로 흘러 메라노에 이르며, 여기서 북쪽에서 흘러온 파서강과 만난다. 메라노와 볼차노 사이 구간은 에치탈이라고 불리며, 이는 아디제 계곡을 의미한다. 볼차노 남쪽에서 아이사크강과 합류하고, 레셴 고개와 브레너 고개를 연결하는 알프스를 통과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였던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브레너 고개는 1370m로 주요 알프스 고개 중 가장 쉬운 고개로 여겨진다.
살로르노에서 ''키우사 디 살로르노''가 좁아지며, 이곳은 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남티롤 주의 최남단 부분을 표시한다. 아디제강은 1841년 "독일의 노래(Deutschlandlied)"에서 독일 언어권의 남쪽 경계로 언급되었다. 2011년 현재 살로르노 인구의 62%는 이탈리아어를 사용하고 37%는 독일어를 사용한다.[4] 1922년 독일은 이 노래를 국가로 채택했지만, 당시 이탈리아는 이미 아디제강의 모든 지역을 장악했다.
트렌토 근처에서 아비시오강, 노체강, 페르시나강이 합류한다. 아디제강은 트렌티노와 이후 베네토를 가로질러 로베레토, 라가리나 계곡, 베로나, 로비고 도시를 지나 포 평원의 북동부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간다. 아디제강과 포강은 제대로 합류하지 않고 강 삼각주에서 평행으로 흐른다.
아디제강은 홍수 예방을 위해 건설된 인공 지하 수로인 모리-토르볼레 터널을 통해 가르다 호와 연결되어 있다.
3. 1. 발원지 및 상류
아디제강은 레셴 고개 근처,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과 가까운 인강 계곡 위에서 발원한다. 인공적인 고산 레셴 호를 통과한다. 이 호수는 1953년 댐 완공 후 대피 및 침수된 옛 알트 그라운("올드 그라운") 마을의 부지를 표시하는 교회 탑으로 유명하다. 글루른스 근처에서는 스위스 발 뮈스터에서 흘러온 롬강과 합류한다.[4]
아디제강은 빈슈가우를 지나 동쪽으로 흘러 메라노에 이르며, 여기서 북쪽에서 흘러온 파서강과 만난다. 메라노와 볼차노 사이 구간은 에치탈이라고 불린다. 볼차노 남쪽에서 아이사크강과 합류하고, 레셴 고개와 브레너 고개를 연결하는 알프스를 통과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였던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브레너 고개는 주요 알프스 고개 중 가장 쉬운 고개로 여겨진다.
살로르노에서 ''키우사 디 살로르노''가 좁아지며, 이곳은 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남티롤 주의 최남단 부분을 표시한다. 아디제강은 1841년 "독일의 노래(Deutschlandlied)"에서 독일 언어권의 남쪽 경계로 언급되었다. 2011년 현재 살로르노 인구의 62%는 이탈리아어를 사용하고 37%는 독일어를 사용한다.
3. 2. 중류
아디제강은 레셴 고개 근처,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과 가까운 인강 계곡 위에서 발원한다. 인공적인 고산 레셴 호를 통과한다. 이 호수는 1953년 댐 완공 후 대피 및 침수된 옛 알트 그라운("올드 그라운") 마을의 부지를 표시하는 교회 탑으로 유명하다. 글루른스 근처에서는 스위스 발 뮈스터에서 흘러온 롬강과 합류한다.[4]
아디제강은 빈슈가우를 지나 동쪽으로 흘러 메라노에 이르며, 여기서 북쪽에서 흘러온 파서강과 만난다. 메라노와 볼차노 사이 구간은 에치탈이라고 불린다. 볼차노 남쪽에서 아이사크강과 합류하고, 레셴 고개와 브레너 고개를 연결하는 알프스를 통과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였던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살로르노에서 ''키우사 디 살로르노''가 좁아지며, 이곳은 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남티롤 주의 최남단 부분을 표시한다. 아디제강은 1841년 "독일의 노래(Deutschlandlied)"에서 독일 언어권의 남쪽 경계로 언급되었다.[4]
트렌토 근처에서 아비시오강, 노체강, 페르시나강이 합류한다. 아디제강은 트렌티노와 이후 베네토를 가로질러 로베레토, 라가리나 계곡, 베로나, 로비고 도시를 지나 포 평원의 북동부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간다. 아디제강과 포강은 제대로 합류하지 않고 강 삼각주에서 평행으로 흐른다.
아디제강은 홍수 예방을 위해 건설된 인공 지하 수로인 모리-토르볼레 터널을 통해 가르다 호와 연결되어 있다.
3. 3. 하류
트렌토 근처에서 아비시오강, 노체강, 페르시나강이 합류한다.[4] 아디제강은 트렌티노와 베네토를 가로질러 로베레토, 라가리나 계곡, 베로나, 로비고 도시를 지나 포 평원의 북동부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간다. 아디제강과 포강은 제대로 합류하지 않고 강 삼각주에서 평행으로 흐른다.
아디제강은 홍수 예방을 위해 건설된 인공 지하 수로인 모리-토르볼레 터널을 통해 가르다 호와 연결되어 있다.
3. 4. 모리-토르볼레 터널
4. 주요 지류
아디제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좌안: 칼린바흐, 푸니바흐, 슈날서 바흐, 파서, 아이작, 아비시오, 페르시나, 레노, 알포네
- 우안: 람바흐, 술덴바흐, 플리마, 팔샤우어, 노체
하류에서부터 상류 순서로 다음과 같다.
5. 유역의 주요 도시
6. 생태
6. 1. 동물

아디제강은 대리석 연어(''Salmo marmoratus'')의 서식지였으나, 과거에 비해 개체수가 훨씬 줄어들었다. 물고기 방류는 이 아종의 원래(토착) 물고기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브라운 송어와 교배하여 번식할 수 있는데, 브라운 송어는 강과 지류에 정기적으로 방류된다.[5]
7. 갤러리

8.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Athesis, Athesis
https://latinlexicon[...]
[2]
서적
Toponomastica italica
Hoepli
2008
[3]
서적
Local Etymology: A Derivative Dictionary of Geographical Names
https://books.google[...]
Houlston and Wright
2019-05-22
[4]
웹사이트
Linguistic census province of Bolzano 2011
https://astat.provin[...]
2011-01-01
[5]
서적
Hydrology, Water Resources and Ecology in Headwater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