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의 가상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의 가상점은 헬레니즘 이전 문헌에서 발견되는 고대 점성술 기법으로, 바빌로니아, 고대 이집트 등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의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와 6세기의 올림피오도루스 네오테로스의 문헌을 통해 헬레니즘 점성술의 교의로 정립되었으며, 행운의 가상점과 정신의 가상점이 주요하게 사용되었다. 로마 제국 쇠퇴 이후 아랍과 페르시아로 전해져 아랍어 문헌에서 가상점의 수가 증가했으며, 10세기 초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 영향을 미쳤다. 행운의 가상점은 상승점, 달, 태양의 위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주간 차트와 야간 차트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다르다. 정신의 가상점은 행운의 가상점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의 결단이나 의지를 나타낸다. 헤르메스주의의 가상점은 일곱 개의 행성과 연관된 일련의 가상점으로, 중세 점성술 전통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레니즘 점성술 - 테트라비블로스
테트라비블로스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저술한 점성학 논문으로, 천문학과 점성술의 관계를 설명하고 점성술의 기본 원리와 철학적 주장을 제시한다. - 헬레니즘 점성술 - 세속 천궁도
세속 천궁도는 헬레니즘 점성술의 기본 개념을 제공하며, 행성의 거주지와 각의 배치를 통해 점성술의 원리를 설명한다. - 점성술의 기술적 요소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점성술의 기술적 요소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랍의 가상점 | |
---|---|
명칭 | |
아랍어 명칭 | سهم السعادة (Sahm al-Sa'ada) |
한국어 번역 | 행복의 화살 |
개요 | |
정의 | 점성술에서 개인의 운세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계산된 점 |
계산 요소 | 행성의 위치 하우스의 위치 |
다양한 명칭 | 아라비안 파트, 아라비아 점 |
종류 | |
일반적인 종류 | 행운의 파트 (Part of Fortune) 영혼의 파트 (Part of Spirit) |
추가적인 종류 | 점성가에 따라 다양한 파트 존재 |
계산 방법 | |
행운의 파트 (Part of Fortune) | 주간 차트: ASC + Moon - Sun, 야간 차트: ASC + Sun - Moon |
영혼의 파트 (Part of Spirit) | 주간 차트: ASC + Sun - Moon, 야간 차트: ASC + Moon - Sun |
ASC | 어센던트 |
활용 | |
해석 | 해당 파트가 위치한 하우스와 관련된 삶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나타냄 |
중요성 | 개인의 차트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여겨짐 |
2. 역사
가상점은 헬레니즘 이전의 문헌들에서 발견되는 매우 오래된 점성술 기법이다. 그 기원은 바빌로니아, 고대 이집트, 마구스, 페르시아, 헤르메스주의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1세기 시돈의 도로테우스 시대에 헬레니즘 점성술 실천의 교의로 성립되었다. 이후 로마 제국의 쇠퇴와 함께 아바스 왕조의 아랍과 페르시아로 넘어가 발전하였고, 중세를 거쳐 근대까지 이어져 왔다.
2. 1. 고대 및 헬레니즘 시대
가상점에 대한 가장 충분한 정보는 4세기 점성가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의 《점성술의 소개》와 6세기 철학자 올림피오도루스 네오테로스의 그 작품에 대한 《점성술 주석집》에서 찾을 수 있다.[1] 파울루스는 여러 가상점을 사용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행운의 가상점과 정신의 가상점이었다.이 가상점은 헬레니즘 이전의 문헌들에서 발견되는 매우 고대의 점성술 기법이다. 그 기원은 불명료한데, 바빌로니아와 고대 이집트, 마구스, 페르시아 헤르메스주의에서 독창적으로 나타나지만, 1세기 시돈의 도로테우스 시대 (그리고 어쩌면 그 이전에) 헬레니즘 점성술 실천의 교의로 성립되었다.
2. 2. 아랍과 중세 시대
로마 제국의 쇠퇴 이후, 점성술을 포함한 거의 모든 고대 유산은 아바스 왕조의 아랍과 페르시아로 넘어갔다. 이슬람 점성가들은 그리스어 문헌을 번역했고, 아랍어로 된 상당한 양의 점성술 문헌을 저술했다.[1] 고대 후기부터 가상점의 개수가 증가하기 시작했는지, 아니면 아랍인들에 의해 더 만들어졌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아랍어 문헌에서 이후 수 세기 동안 사용된 가상점의 개수가 드러난다.[1] 페르시아의 점성가 아부마샤르(787~886)는 《점성술의 소개 요약본》에서 55개 이하의 가상점을 묘사했지만, 그가 중요하게 여긴 것만 수록했음이 분명하다.[1] 이 개수는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의 가상점을 모두 포함하지 않았다.[1]10세기 초, 많은 아랍어 문헌이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 고대 점성술을 다시 성립하는 수단이 되었다.[1] 중세 점성사 중 13세기 이탈리아의 단테와 동시대 인물인 귀도 보나티는 아랍인이 가상점 개념의 기원이라고 추정했으며, 따라서 "아랍의 부분들"이라고 불렀다.[1]
2. 3. 근대
윌리엄 릴리 시대에, 점성가들은 행운의 가상점만을 계속 사용했지만, 그 방법은 고대의 실천과는 달랐다고 여겨진다. "포르투나"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하는 릴리의 기법은 현대 점성술에서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지만, 드물게 사용되며, 대개 오용된다. 오늘날 행운의 가상점은 주로 순간 점성술의 실천에서 나타난다.3. 행운의 가상점 계산
행운의 가상점(Part of Fortune, Pars Fortunae)은 가장 널리 알려진 가상점 중 하나로, 계산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윌리엄 릴리는 상승점 + 달 - 태양으로 계산했지만, 헬레니즘 및 아랍 점성가들은 출생 시간에 따라 다른 공식을 사용했다.
행운의 가상점은 신체, 행운, 건강을 상징하며, 상승점의 위치로도 사용되어 하우스 번호 배정이 달라지기도 한다.
3. 1. 릴리의 계산법
윌리엄 릴리는 행운의 가상점(Part of Fortune 또는 Pars Fortunae)을 상승점 + 달 - 태양으로 계산했다. 즉, 태양과 달 사이의 도수 간격(별자리의 순행 방향)을 구하고 그만큼의 간격을 상승점에 더했다. 릴리와 그와 동시대의 점성가들은 행운의 가상점을 물질적 행복의 단순한 표시로써 사용했고, 순간 점성술에서는 성공의 표시로 해석했다.3. 2. 헬레니즘 및 아랍 점성술의 계산법
헬레니즘 및 아랍 점성가들은 릴리와 같은 방법으로 행운의 가상점(Part of Fortune 또는 Pars Fortunae)을 계산했지만, 두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었다.4. 정신의 가상점
정신의 가상점은 행운의 가상점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의 결단이나 의지를 나타낸다.[1]
4. 1. 계산법
정신의 가상점은 행운의 가상점과 반대로 계산된다.[1]- 주간의 천궁도: 상승점 - 달 + 태양
- 야간의 천궁도: 상승점 + 달 - 태양
5. 헤르메스주의의 가상점
헬레니즘 점성술의 전통에서 헤르메스주의의 가상점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라는 신비적 인물에 기인하는, (태양과 달을 포함하는) 일곱 개의 가시적 행성 각각과 연관되는 일련의 특정한 일곱 개의 가상점이다.[3] 그 점들은 4세기의 점성가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의 저서 뿐만 아니라, 후일의 올림피오도루스 네오테로스에 의한 그것의 주석집에서도 나타난다. 그 점들을 구하는 공식은 파울루스의 저서에서 발견된다. (아래의 참고 문헌 참조.)
후일에, 아부 마샤르와 구이도 보나티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서 헤르메스주의의 가상점들을 구하는 공식이 중세 점성술 전통에 포함되었는데, 그것들의 목록은 먼저 2세기의 점성가 베티우스 발렌스로부터 파생된 대안적인 가상점의 전통과 결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stronomy, Containing the Eight Divided Books of Abu Ma'shar Abalachus
http://www.wdl.org/e[...]
2013-07-15
[2]
문서
Chris Brennan, "The Theoretical Rationale Underlying the Seven Hermetic Lot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Tradition Journal, issue no. 2, spring 2009, pgs. 16-27.
http://www.chrisbren[...]
Chris Brennan
[3]
문서
Chris Brennan, "The Theoretical Rationale Underlying the Seven Hermetic Lots," 일곱 개의 헤르메스주의 가상점들의 기초를 이루는 이론적 근거.
http://www.chrisbren[...]
Chris Brenna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