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드 간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드 간마는 앗사무 사건 당시 요르단 육군 제48보병대대 대대장으로,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에 맞서 앗사무 지역을 방어했다. 간마가 이끄는 부대는 이스라엘군과 근접전을 벌였으며, 전투 이후 공로를 인정받아 후세인 1세 국왕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장군 - 존 바고트 글러브
존 바고트 글러브는 영국의 군인이자 작가로서, 이라크 복무 후 아랍 군단에서 사막 순찰대를 창설하고, 1939년부터 1956년까지 아랍 군단 사령관을 맡아 군단을 강화했으며, 은퇴 후에는 중동 및 아랍 관련 저서를 남겼다. - 2006년 사망 -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는 살로테 투포우 3세의 아들로 태어나 통가의 총리를 지냈고, 1965년부터 2006년까지 통가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1970년 통가의 완전한 독립을 이끌어냈다. - 2006년 사망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아사드 간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أسعد غنما |
출생 이름 | 아사드 간마 |
출생일 | 1930년 2월 14일 |
출생지 | 알후슨,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
사망일 | 2006년 7월 18일 |
사망지 | 암만, 요르단 |
매장지 | 요르단 |
군사 정보 | |
소속 | 요르단 육군 |
복무 기간 | 1945년–1972년 |
최종 계급 | 준장 |
소속 부대 | 제48보병대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1차 중동 전쟁 (1948년) 앗사무 사건 (1966년) 6일 전쟁 (1967년) 카라메흐 전투 (1968년) |
2. 사건 배경
2. 1. 이스라엘-요르단 관계
2. 2. 파타의 활동
3. 앗사무 사건의 전개
앗사무 사건에서 아사드 간마는 요르단 육군 제48보병대대의 대대장을 맡았으며, 이 부대는 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요르단 군부대였다.[4] 이스라엘 군대가 앗사무에서 기습 공격을 가했을 때, 요르단 군대는 이스라엘과의 국경에서 600km 떨어진 지역에 파견되어, 간마가 이끄는 군부대만이 유일하게 앗사무에서 공백 상태에 있던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다.[4] 이스라엘 군대는 11대의 센추리온 전차와 50대의 기갑차량, 500명의 공수부대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다소 우라강 폭격기와 8대의 야포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다.[5][2]
이스라엘 군대가 앗사무와 교외 지역으로 진입하자 간마의 부대는 3개 중대로 나뉘어 이스라엘의 봉쇄 지점으로 진격해 앗사무의 북서쪽에서 제재를 받았다.[6] 다른 2개의 요르단 중대도 북동쪽에서 공격을 받았지만, 요르단 군대는 마을에 진입해 이스라엘의 군부대와 근접전을 벌였다.[6] 요르단 병사 15명과 민간인 3명이 사망했고, 5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앗사무의 건물과 산업 시설이 심각하게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었다.[6][3] 이스라엘 사령관이 사망하고 10명의 병사가 부상을 입었다.[6] 전투 이후, 아사드 간마는 전투에서 무공을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 후세인 1세 국왕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6]
3. 1. 이스라엘군의 공격
3. 2. 요르단군의 대응
앗사무 사건에서 아사드 간마는 요르단 육군 제48보병대대의 대대장을 맡았으며, 이 부대는 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요르단 군부대였다.[4] 이스라엘 군대가 앗사무에서 기습 공격을 가했을 때, 요르단 군대는 이스라엘과의 국경에서 600km 떨어진 지역에 파견되어, 아사드 간마가 이끄는 군부대만이 유일하게 앗사무에서 공백 상태에 있던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다.[4] 이스라엘 군대는 11대의 센추리온 전차와 50대의 기갑차량, 500명의 공수부대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다소 우라강 폭격기와 8대의 야포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다.[5]이스라엘 군대가 앗사무와 교외 지역으로 진입하자 간마의 부대는 3개 중대로 나뉘어 이스라엘의 봉쇄 지점으로 진격해 앗사무의 북서쪽에서 제재를 받았다.[6] 다른 2개의 요르단 중대도 북동쪽에서 공격을 받았지만, 요르단 군대는 마을에 진입해 이스라엘의 군부대와 근접전을 벌였다.[6] 15명의 요르단 병사와 3명의 민간인이 사망했고, 5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앗사무의 건물과 산업 시설이 심각하게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었다. 이스라엘 사령관이 사망하고 10명의 병사가 부상을 입었다.[6] 하지만 이 전투 이후에 아사드 간마는 전투에서 무공을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 요르단의 후세인 1세 국왕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6]
3. 3. 전투 결과
4. 사건의 영향
4. 1. 6일 전쟁과의 연관성
4. 2. 중동 지역 긴장 고조
5. 한국의 입장
6. 평가 및 논란
6. 1. 이스라엘의 정당방위 주장
6. 2. 요르단의 주권 침해 비판
참조
[1]
서적
Bowen
[2]
서적
Bowen
[3]
서적
Bowen
[4]
서적
Bowen
[5]
서적
Bowen
[6]
서적
Bow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