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햏햏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햏햏은 2002년 디시인사이드 엽기 갤러리에서 유행한 신조어이다. 한자로는 亞行杏, 로마자로는 ahehheh으로 표기하며, '아햏햏'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다양한 발음 방식이 제시되며, 대구광역시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발음법이 출제되기도 했다. 아햏햏 문화는 티셔츠, 인형, 밴드 등 다양한 파생 상품을 만들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인터넷 문화 - 투낙 투낙 툰
    "투낙 투낙 툰"은 1998년 달러 멘디가 발표한 펀자브어 인디팝 싱글로, 펀자브 전통 악기 소리를 의성어로 표현한 제목과 펀자브 음악의 정체성을 담고 있으며, 인도 최초로 블루스크린 기술을 사용한 뮤직비디오와 인터넷 밈으로도 인기를 얻었다.
  • 2003년 인터넷 문화 - 을용타
    을용타는 2003년 동아시아컵 축구 경기에서 이을용이 중국 선수의 뒤통수를 가격한 사건과 이를 소재로 한 인터넷 패러디를 일컫는 사건이다.
  • 2003년 인터넷 문화 - 엽기송
    엽기송은 2000년대 초 인터넷에서 유행한 제품 홍보나 교육적 내용을 담은 노래로, 재미있는 가사와 멜로디로 대중에게 즐거움을 주며 단순 광고를 넘어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 디시인사이드 - 박대기
    박대기는 부산과학고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KBS 기자로 활동하며, 폭설 현장 보도로 유명해졌고,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 디시인사이드 - 운지천
    운지천은 원래 광고 상품명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후 광고 패러디 이미지가 확산되며 '운지'라는 단어가 특정 인물 비하 은어로 사용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아햏햏
아햏햏
유형인터넷 유행어, 인터넷 신조어
사용 시기2002년 ~ 2003년
특징파격적인 문체
반말과 존댓말의 혼용
무의미한 단어 및 기호의 나열
유행 원인디시인사이드의 합성 갤러리 유행
기존 질서에 대한 반항 심리
파생 문화각종 패러디
'##' 문체 확산
온라인 게임 용어 변화
쇠퇴 원인획일화된 문체에 대한 피로감
새로운 유행의 등장
관련 사이트디시인사이드
웃긴대학

2. 표기와 발음

아햏햏은 한자로 亞行杏(아행행)으로 표기하며, 로마자로는 일반적으로 ahehheh으로 나타낸다. 때로는 '아헿헿', '아핳핳', '으흫흫' 등 재미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쓰이기도 한다.

이 단어는 현대 국어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ㅎ' 받침을 포함하고 있어, 정확한 발음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아햏햏'은 발음을 염두에 두지 않고 만들어진 신조어이므로, 발음은 중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가능한 발음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 [아행행]: '햏자', '수햏', '亞行杏' 등의 용례를 참고한 발음이다.
  • [아해해]: 'ㅎ' 받침을 묵음 처리하여 발음하는 방식이다.
  • [아해탣](←[아핻핻]): 한국어 발음 규칙을 적용한 발음이다. 자음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ㅎ' 받침은 'ㄷ'으로 소리나며, 앞 '햏[핻]'의 받침이 뒤의 '햏'의 초성 'ㅎ'과 음운 동화를 일으켜 'ㅌ'으로 발음된다.[2] 이 발음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에서 주관한 2012년 고등학교 1학년 영남권 모의고사 국어 영역 11번 문제에서 '아햏햏'의 발음법에 대한 정답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2. 1. 표기

아행행(亞行杏)으로 표기하며, 로마자로는 보통 ahehheh으로 표기한다. 재미로 '아헿헿', '아핳핳', '으흫흫'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아햏햏은 현대 국어에 잘 쓰이지 않는 'ㅎ' 받침을 써서 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발음을 생각지 않고 태어난 신조어이니만큼 아무렇게나 발음해도 상관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여러 의견 중에서 발음 가능한 표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아행행] : 햏자, 수햏, 亞行杏 등의 용례를 고려한 발음이다.
  • [아해해] : 'ㅎ' 받침을 생략한 발음이다.
  • [아해탣] (←[아핻핻]) : 한국어 발음 규칙에 따른 발음이다. 자음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ㅎ' 받침은 'ㄷ' 받침으로 발음되고, 첫 번째 '햏[핻]'의 받침은 뒤의 '햏'의 초성 'ㅎ'과 음운 동화가 일어나 'ㅌ'으로 소리난다.[2] 이는 대구광역시 교육청 주관 2012년 고1 영남권 모의고사 국어영역 11번 문제에 '아햏햏'의 발음법에 대한 문제의 답안이 되기도 했다.

2. 2. 발음

한자로는 亞行杏(아행행)으로 표기하며, 로마자로는 보통 ahehheh으로 표기한다. 재미로 '아헿헿', '아핳핳', '으흫흫'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아햏햏은 현대 국어에 잘 쓰이지 않는 'ㅎ' 받침을 써서 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발음을 생각지 않고 태어난 신조어이니만큼 아무렇게나 발음해도 상관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여러 의견 중에서 발음 가능한 표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아행행] : 햏자, 수햏, 亞行杏 등의 용례를 고려한 발음이다.
  • [아해해] : 'ㅎ' 받침을 생략한 발음이다.
  • [아해탣] (←[아핻핻]) : 한국어 발음 규칙에 따른 발음이다. 자음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ㅎ' 받침은 'ㄷ' 받침으로 발음되고, 첫 번째 '햏[핻]'의 받침은 뒤의 '햏'의 초성 'ㅎ'과 음운 동화가 일어나 'ㅌ'으로 소리난다.[2] 이는 대구광역시 교육청 주관 2012년 고1 영남권 모의고사 국어영역 11번 문제에 '아햏햏'의 발음법에 대한 문제의 답안이 되기도 했다.

3. 유래

2002년 4월, 디시인사이드 엽기 갤러리에서 "아햏햏"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엽기 갤러리에는 꾸준히 글을 올리는 사용자들이 많았는데, 그중에는 홀맨, 피바다, 정신과 전문의 표진인 등이 있었다. 이들과 더불어, 한 사용자가 "아햏햏 소피티아"라는 고정 댓글을 지속적으로 달면서 "아햏햏"이라는 표현이 엽기 갤러리 내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4. 햏자

4. 1. 햏자의 특징

4. 2. 햏테

5. 파생 상품 및 인물

아햏햏 문화는 다양한 파생 상품과 관련 인물을 만들어냈다.
아햏햏 티셔츠: 피터판규햏자가 붓글씨로 '아햏햏'을 새겨 만든 티셔츠가 있다.

MSN 메신저와 연동되어 특정 상황을 소리나 진동으로 알려주는 강아지 모양의 인형인 아햏햏 D.O.G.도 존재한다.
아햏햏 밴드: '저질카피밴드 아햏햏'이라는 이름으로 아햏햏 사이트 햏자들이 결성한 밴드도 있다. 멤버는 아랑쑈, 풍걸, 윤득햏, 풍각, 피터판규, 오사마이며, 아랑쑈는 이후 블랙티를 거쳐 버블시스터즈 멤버로 활동했다.

5. 1. 아햏햏 티셔츠

T09 피터판규햏자가 붓글씨로 쓴 "아햏햏"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가 있다.

5. 2. 아햏햏 D.O.G.

MSN 메신저와 연동되어 각종 상황을 소리나 진동으로 알려주는 강아지 모양의 인형이다.

5. 3. 아햏햏 밴드

정식 명칭은 '저질카피밴드 아햏햏'으로, 아햏햏 사이트의 햏자들이 모여 결성한 밴드이다. 멤버는 아랑쑈, 풍걸, 윤득햏, 풍각, 피터판규, 오사마로 구성되어 있다. 아랑쑈는 이후 블랙티라는 그룹의 멤버를 거쳐 버블시스터즈의 멤버로 활동했다.

참조

[1] 웹인용 2002년 인터넷을 강타한 '아햏햏' 문화 http://www.ohmynews.[...] 2016-06-02
[2] 웹인용 'ㅎ'의 발음 http://www.korean.go[...] 2005-07
[3] 문서 주침야활(晝寢夜活)
[4] 문서 면식수햏(麵食修行)
[5] 문서 햏언수햏(行言修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