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의 축 (우주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의 축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의 비정상적인 특징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2005년 연구에서 처음 명명되었으며, CMB의 이방성이 태양계의 황도면과 정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우주의 모든 방향이 동일하다는 우주론적 원리에 위배되는 것으로, 지구의 위치가 우주에서 특별하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연구에서는 데이터 처리 오류, 관측 편향 가능성, 그리고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플랑크 위성 등의 관측 데이터를 통해 비등방성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와 통계적 유의성이 없다는 상반된 결과가 발표되면서, 현재까지 정설은 확립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배경 복사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우주 배경 복사 - 중력파 배경
    중력파 배경은 우주론적 및 천체물리학적 기원으로 나뉘어 초기 우주의 급팽창, 블랙홀 쌍성, 초신성 폭발 등 다양한 천체 현상에서 발생하는 중력파의 중첩된 신호이며, LIGO 및 PTA와 같은 관측 시설을 통해 탐지되어 초기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급팽창 이론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급팽창 이론 - 양자 요동
    양자 요동은 양자장론에서 장이 겪는 요동을 의미하며, 진폭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어되고, 고전적인 측정과 달리 양자 역학적 측정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 전파천문학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파천문학 - 스페크트르-R
    스페크트르-R은 라디오아스트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러시아의 우주 전파 망원경으로, 지상 망원경과 협력하여 초장기선 간섭계 기술을 통해 우주 전파를 관측하며 블랙홀, 퀘이사, 펄서 등 고에너지 천체의 구조와 활동을 연구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2019년 통신 두절로 종료되었다.
악의 축 (우주론)
개요
명칭악의 축 (우주론)
영어 명칭Axis of Evil
설명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거시적 모양에서 나타나는 비등방성 패턴의 특이한 정렬 현상
관련 현상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CMB)
비등방성
코페르니쿠스 원리
상세 내용
발견초기 WMAP (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데이터 분석 (2003년)
막스 테그마크 연구팀
특징CMB의 저차 다중극 모멘트 (quadrupole, octopole) 들이 태양계의 황도면과 정렬
CMB의 회전 방향과 우주의 회전 방향이 일치
논란코페르니쿠스 원리 위배 가능성: 지구 중심적 우주관을 암시하는 듯한 결과
통계적 유의미성 부족: 우연히 발생한 패턴일 가능성 존재
계통 오차 가능성: 관측 장비 또는 분석 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
가능한 설명국소적인 효과: 태양계 주변의 먼지나 자기장 등의 영향
새로운 물리학: 알려지지 않은 물리 법칙이나 현상의 영향
다중 우주론: 우리 우주가 다른 우주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증거
연구 및 검증
추가 관측플랑크 우주망원경 데이터 분석
초기 WMAP 결과와 유사한 패턴 확인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
통계적 분석패턴의 우연성 확률 평가
다양한 통계적 방법론 적용
결과의 해석은 여전히 불확실
비판적 시각
통계적 유의미성 부족 주장"악의 축" 패턴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주장
우연히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
계통 오차 가능성 제기관측 장비 또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 제기
코페르니쿠스 원리
코페르니쿠스 원리와의 관계"악의 축"이 코페르니쿠스 원리를 위배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논쟁
코페르니쿠스 원리: 우주는 특별한 위치나 방향을 갖지 않는다는 원칙
"악의 축"이 특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는 주장은 이 원칙과 상충될 수 있음

2. 문제 제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CMB)는 지구의 위치나 움직임이 우주 전체 규모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볼 수 있는 도구이다. WMAP플랑크 탐사선의 관측 결과, 예상 밖의 비등방성이 발견되었다.[22]

2. 1. 황도면과의 관계

WMAP플랑크 탐사선의 관측 결과,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모습이 황도면을 기준으로 차이가 난다는 예상하지 못한 이방성이 주목받았다.[22][23][24] 황도면 위쪽이 아래쪽보다 약간 더 차갑고, 사중극과 팔중극이 몇 도 차이가 나지 않게 황도면에 정렬되어 있다는 사실이 관측되었다.[25]

로렌스 크라우스는 2006년 Edge.org에서 이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26]

2. 2. 로렌스 크라우스의 언급

로렌스 크라우스는 2006년 Edge.org에서 이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26] 그는 CMB 지도를 보면 관측된 구조가 태양을 도는 지구의 평면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게 코페르니쿠스가 돌아와서 우리를 겁주는 걸까요? 이거 참 미쳤습니다. 우리는 우주 전체를 보는 것이란 말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운동과 우주의 구조가 연관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정말 우주의 중심이라는 말밖에 되지 않으니까요."라고 말했다.

또한 크라우스는 같은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5] "새로운 결과는 우리에게 모든 과학이 틀리고 우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말해주는 것이거나, 아니면 데이터가 단순히 부정확하거나, 아니면 마이크로파 배경 결과에 이상한 점이 있고 어쩌면 대규모 이론에 뭔가 잘못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일 수 있다."

3. 관측 및 연구

2005년, 이 변칙적 현상에 처음 "악의 축"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이후 수치 계산 오류가 밝혀졌다.[27][28][29][30] 2013년 플랑크 위성의 자료에서는 비등방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31][32] 2020년 6월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33][34][35]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 신호는 우리 위치나 움직임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지 식별하는 데 사용 가능한, 우주의 직접적인 대규모 관점을 제시한다.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사선(WMAP)과 플랑크 임무의 결과 분석에 대한 많은 홍보가 있었으며, CMB에서 예상되거나 예상치 못한 비등방성이 나타났다.[1] 태양계의 움직임과 황도면의 방향은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에 있는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 마이크로파 하늘의 특징과 일치한다.[2][3] 황도면과 관련하여, CMB의 "윗부분"은 "아랫부분"보다 약간 더 차갑다. 사중극자와 팔극자 축은 몇 도 떨어져 있으며, 이 축은 위/아래 분할과 정렬된다.[4]

2013년 플랑크 망원경 데이터는 비등방성에 대한 더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17] 도미니크 슈바르츠는 "오랫동안, 일부 연구자들은 이것이 사라지기를 바랐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말한다.[18]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변칙적 현상에 대한 정설은 없으며,[42] 통계적인 중요성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 2014년 연구에서는 변칙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발표했고,[43] 2016년 연구에서는 WMAP과 플랑크 자료를 이용해 등방 및 비등방 우주를 비교했지만, 우주가 비등방하다는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44] 2015년에는 이 현상과 기타 관찰된 이상 현상의 본질에 대한 합의가 없었고,[19] 통계적 유의성은 불분명하다. 플랑크 미션 결과를 포함하는 한 연구에서는 마스킹 기술이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면 악의 축을 포함한 여러 이상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20]

3. 1. 다양한 연구 방법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비등방성에 대한 연구는 여러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냐에프-젤도비치 효과를 이용한 연구,[36] 비동질 우주 모델을 통해 설명하려는 시도,[37] 지역적 현상으로 보는 관점[38] 등이 있다.

일부에서는 플랑크 위성의 측광 오차로 인한 관측 편향이 겉보기 편향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며,[39][40] 단순한 우연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41] WMAP의 대표 과학자 찰스 L. 베넷은 "사람들은 특이한 것을 찾고 싶어한다"며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41]

3. 2. 관측 편향 가능성

플랑크 위성의 측광이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관측 편향으로 생긴 겉보기 편향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9][40] 또한, 단순한 우연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WMAP의 대표 과학자 찰스 L. 베넷은 "사람들은 특이한 것을 찾고 싶어한다"며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한다고 언급했다.[41]

4. 논쟁과 전망

2005년의 한 연구에서 이 변칙적 현상에 처음 "악의 축"이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이후 수치를 잘못 계산하였음이 밝혀졌다.[27][28][29][30] 2013년 플랑크 위성의 자료에서 비등방성은 더 크게 나타났고,[31][32] 2020년 6월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같은 결과를 얻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33][34][35]

CMB 비등방성에 대한 연구로는 수냐에프-젤도비치 효과를 사용하거나,[36] 비동질 우주 모델을 통해 설명하거나,[37] 지역에 국한된 현상으로 보는 것이 있다.[38] 일부에서는 플랑크 위성의 측광이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관측 편향으로 생긴 겉보기 편향이라고 주장하며,[39][40] 단순한 우연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WMAP의 대표 과학자 찰스 L. 베넷은 "사람들은 특이한 것을 찾고 싶어한다"며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한다고 하였다.[41]

이처럼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변칙적 현상에 대한 정설은 없으며,[42] 통계적인 중요성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

4. 1. 상반된 연구 결과

2014년 연구에서는 변칙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발표하였고,[43] 2016년 연구에서는 WMAP과 플랑크의 자료를 이용해 등방성 및 비등방성 우주를 비교하였는데, 우주가 비등방하다는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44]

참조

[1] 논문 CMB anisotropy science: A review
[2] 웹사이트 Does the motion of the solar system affect the microwave sky? https://cerncourier.[...] 2004-11-24
[3] 논문 On the large-angle anomalies of the microwave sky 2006-03-21
[4] 뉴스 The (Cosmological) Axis of Evil https://www.space.co[...] 2017-07-29
[5] 웹사이트 The Energy of Empty Space That Isn't Zero https://www.edge.org[...] 2006-05-07
[6] 논문 CMB maximum temperature asymmetry axis: Alignment with other cosmic asymmetries
[7] 논문 Examination of Evidence for a Preferred Axis in the Cosmic Radiation Anisotropy
[8] ArXiv Improved CMB Map from WMAP Data
[9] ArXiv Lambda-CDM and the WMAP Power Spectrum Beam Profile Sensitivity
[10] 논문 Diagnosing Timing Error in WMAP Data
[11] 논문 Confirmation of the Copernican Principle at Gpc Radial Scale and above from the Kinetic Sunyaev-Zel'dovich Effect Power Spectrum
[12] 논문 CMB dipoles and other low-order multipoles in the quasispherical Szekeres model https://zenodo.org/r[...]
[13] 논문 Can residuals of the solar system foreground explain low multipole anomalies of the CMB?
[14] 논문 Large-angle anomalies in the CMB 2010
[15] 논문 The Uncorrelated Universe: Statistical Anisotropy and the Vanishing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in WMAP Years 1-3 2007-01-08
[16] 뉴스 Found: Hawking's initials written into the universe https://www.newscien[...] 2010-02-07
[17] 논문 Planck 2013 results. XXIII. Isotropy and statistics of the CMB 2013
[18] 논문 That's odd: Axis of evil stretches across the cosmos https://www.newscien[...] 2016-04-30
[19] 논문 Influence of Planck foreground masks in the large angular scale quadrant CMB asymmetry 2015-10-05
[20] 논문 Planck CMB Anomalies: Astrophysical and Cosmological Secondary Effects and the Curse of Masking 2014-08-04
[21] 논문 How isotropic is the Universe? 2016-09-21
[22] 논문 CMB anisotropy science: A review
[23] 간행물 Does the motion of the solar system affect the microwave sky? http://www.cerncouri[...] CERN Courier 2006-03-22
[24] 논문 On the large-angle anomalies of the microwave sky
[25] 뉴스 The (Cosmological) Axis of Evil https://www.space.co[...] 2017-07-29
[26] 웹인용 The Energy of Empty Space That Isn't Zero https://www.edge.org[...] 2006-05-07
[27] ArXiv Improved CMB Map from WMAP Data
[28] ArXiv Lambda-CDM and the WMAP Power Spectrum Beam Profile Sensitivity
[29] 논문 Diagnosing Timing Error in WMAP Data
[30] 논문 Examination of Evidence for a Preferred Axis in the Cosmic Radiation Anisotropy
[31] 논문 Planck 2013 results. XXIII. Isotropy and statistics of the CMB 2013
[32] 논문 That's odd: Axis of evil stretches across the cosmos https://www.newscien[...] 2016-04-30
[33] ArXiv Multipole alignment in the large-scale distribution of spin direction of spiral galaxies 2020-05-27
[34] 웹인용 K-State study reveals asymmetry in spin directions of galaxies, suggests early universe could have been spinning {{!}} Kansas State University {{!}} News and Communications Services https://www.k-state.[...] 2020-10-13
[35] 웹인용 Patterns Formed by Spiral Galaxies Suggest The Universe's Structure Isn't Totally Random https://www.sciencea[...] 2020-10-13
[36] 논문 Confirmation of the Copernican Principle at Gpc Radial Scale and above from the Kinetic Sunyaev-Zel'dovich Effect Power Spectrum
[37] 논문 CMB dipoles and other low-order multipoles in the quasispherical Szekeres model https://zenodo.org/r[...]
[38] 논문 Can residuals of the solar system foreground explain low multipole anomalies of the CMB?
[39] 논문 Large-angle anomalies in the CMB 2010
[40] 논문 The Uncorrelated Universe: Statistical Anisotropy and the Vanishing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in WMAP Years 1-3 2007-01-08
[41] 뉴스 Found: Hawking's initials written into the univers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0-02-07
[42] 논문 Influence of Planck foreground masks in the large angular scale quadrant CMB asymmetry 2015-10-05
[43] 논문 Planck CMB Anomalies: Astrophysical and Cosmological Secondary Effects and the Curse of Masking 2014-08-04
[44] 논문 How isotropic is the Universe? 2016-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