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도 시게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도 시게노부(安藤重信)는 미카와국 출신의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해 참전했으며, 1611년 로주에 임명되고 이듬해 오미가와 2만 석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다.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1619년 다카사키 5만 6천 석으로 가증 이봉되었으며, 1621년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괴력의 소유자였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드라마에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미가와번주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오미가와번주 - 우치다 마사치카
    우치다 마사치카는 우치다 가문의 초대 오미가와 번주이자 카누마 번의 4대 번주로, 1724년부터 1746년까지 재임하였으며, 미즈노 타다사다의 딸과 결혼하여 우치다 마사요시와 카츠마다 마사토요를 두었다.
  • 안도 쓰시마노카미가 - 마쓰야마번 (빗추국)
    마쓰야마번(빗추국)은 에도 시대 빗추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여러 번의 지배 가문 교체 후 이타쿠라 씨가 메이지 시대까지 다스렸으며, 아코 사건과 관련하여 오이시 요시오가 성을 관리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 안도 쓰시마노카미가 - 안도 시게히로
    안도 시게히로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다카사키 번주를 거쳐 빗추 마쓰야마 번주를 지냈으며 로주까지 승진했지만, 빗추 마쓰야마 번 이봉 후 가혹한 검지로 백성을 괴롭혔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다카사키번주 - 안도 시게히로
    안도 시게히로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다카사키 번주를 거쳐 빗추 마쓰야마 번주를 지냈으며 로주까지 승진했지만, 빗추 마쓰야마 번 이봉 후 가혹한 검지로 백성을 괴롭혔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다카사키번주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1580년)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는 불우한 환경 속에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조카가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여러 성주를 거치며 영내 정비에 힘썼으나 잦은 전봉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 그의 두 아들을 통해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는 두 갈래로 나뉘었다.
안도 시게노부
인물 정보
씨명안도 시게노부
안도 시게노부 상 (료젠지 소장)
시대전국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출생고지 3년 ( 1557년 )
사망겐나 7년 6월 29일 ( 1621년8월 16일 )
이명히코주로, 고자에몬 ( 통칭 )
계명서안원전대예양선대거사
묘소도쿄도스기나미구에이후쿠서안원
관위쓰시마노카미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야스히데타다
시모사오미가와 번 번주 → 고즈케다카사키 번 번주
씨족미카와 안도 씨
아버지안도 모토요시
어머니미상
형제나오쓰구, 시게노부, 쓰기모토
배우자오쿠보 다다토모의 딸
자녀혼다 마사모리 정실, 마쓰다이라 나리시게 계실
양자시게나가, 시게모토, 시게노리
특기 사항안도 가문의 가문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늘어진 등나무에서 솟아오른 등나무 가문으로 변경했다.

2. 생애

안도 시게노부는 1557년 안도 모토요시의 아들로 미카와국에서 태어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2]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해 사나다 마사유키가 지키는 우에다성 공격에 참가했다. 1611년 히데타다 직속 로주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시모사 오미가와에 2만 석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다. 1614년 오쿠보 다다치카개역되었을 때 오다와라성 인수를 맡았다.

같은 해 오사카 전투에 참전, 오노 하루후사가 이끄는 도요토미 군과 싸웠지만 패퇴했다. 1619년 고즈케 다카사키 5만 6000석으로 가증 이봉되었다. 같은 해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개역되었을 때 히로시마성으로 향하여 그 후의 처리를 담당했다.

1621년 6월 29일 사망했으며, 향년 65세였다. 가독은 양자로 맞이한 외손자 시게나가가 이었다.[2]

2. 1. 초기 생애

고지 3년(1557년) 안도 모토요시의 아들로 미카와국에서 태어났다.[2]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해 서군 측 사나다 마사유키가 지키는 시나노국우에다성 공격에 참가했다.

2. 2. 주요 전투 참전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해 서군 측 사나다 마사유키가 지키는 시나노국 우에다성 공격에 참가했다.[2] 1614년 오사카 전투에서는 오노 하루후사가 이끄는 도요토미 군과 싸웠지만, 적의 맹공 앞에서 패퇴했다.[2]

2. 3. 로주 임명 및 다이묘 승격

고지 3년(1557년) 안도 모토요시의 아들로 미카와국에서 태어났다.[2]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고,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해 서군 측의 사나다 마사유키가 지키는 시나노국우에다성 공격에 참가했다. 게이초 16년(1611년) 히데타다 직속 로주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2월에는 시모사 오미가와에 2만 석의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다. 게이초 19년(1614년) 오쿠보 다다치카개역되었을 때 다카라키 다다후사와 함께 오다와라성 인수를 맡았다.

2. 4. 사망

겐와 7년(1621년) 6월 29일, 사망했다. 향년 65세였다.[2] 가독은 양자로 맞이한 외손자 시게나가가 이었다.

3. 일화

안도 시게노부는 괴력의 소유자였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 히로시마성 접수 당시, 배에서 떨어진 수행원을 붙잡아 구했는데, 조금 잡았을 뿐인데도 수행원의 잡힌 부위에 멍이 들어 오랫동안 남았다고 한다.[1]
  • 소년에게 많은 갑옷과 총을 지게 하고, 그 소년을 바둑판에 태워, 그 바둑판을 짊어지고 성 안을 한 바퀴 돌았다는 이야기가 있다.[1]

4. 가계

구분내용
아버지안도 모토요시
정실오오쿠보 타다토요의 딸
장녀혼다 마사모리의 정실
차녀마츠다이라 시게나리의 계실
양자안도 시게나가 (혼다 마사모리의 장남)
양자안도 시게모토 - 혼다 마사모리의 아들[3]
양자안도 시게노리 - 혼다 마사모리의 아들[4]


5. 등장 작품

참조

[1] 문서 本多正盛の長男
[2]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3] 문서 重長の同母弟
[4] 문서 安藤重長の異母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