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레이 오쿤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이 오쿤코프는 조합론과 표현론을 전문 분야로 하는 수학자이다. 1993년 모스크바 주립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1995년 같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카고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 프린스턴 대학교를 거쳐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1년 패커드 펠로우십, 2004년 유럽 수학 학회상, 2006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무한 대칭군의 표현론, 평면 분할의 통계, 복소 평면 위 점들의 힐베르트 스킴의 양자 코호몰로지를 연구했으며, 힐베르트 스킴에 대한 연구는 라훌 판다리판데와 공동으로 수행했다. 또한 대수 다양체의 그로모프-위튼 불변량과 도널드슨-토마스 불변량을 연결하는 추측들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칸토어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론의 기초를 다지고 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합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대각선 논법과 초한수 이론을 제시한 독일계 수학자이다.
  • 필즈상 수상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필즈상 수상자 - 폴 코언
    폴 코언은 강제법을 개발하여 연속체 가설과 선택 공리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독립적임을 증명한 미국의 수학자로, 이 업적으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해석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모스크바 대학교 동문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모스크바 대학교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안드레이 오쿤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드레이 오쿤코프 2018년
본명안드레이 유리예비치 오쿤코프
출생일1969년 7월 26일
출생지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국적러시아
분야수학
근무지컬럼비아 대학교
국립 연구 대학교 고등 경제 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시카고 대학교
모교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알렉산드르 키릴로프
수상
수상 내역필즈상 (2006)
EMS상 (2004)
기타
로마자 표기Andrei Okounkov
러시아어 표기Андре́й Ю́рьевич Окунько́в

2. 학력 및 경력

Андрей Окуньков|안드레이 오쿤코프ru는 1993년 모스크바 주립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받았다.[3] 1995년 알렉산드르 키릴로프와 그리고리 올샨스키 교수 지도하에 같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시카고 대학교, 버클리, 프린스턴 대학교를 거쳐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그는 무한 대칭군의 표현론, 평면 분할의 통계, 복소 평면 위 점들의 힐베르트 스킴의 양자 코호몰로지에 대해 연구했다. 힐베르트 스킴에 대한 그의 많은 연구는 라훌 판다리판데와의 공동 연구였다.[2]

오쿤코프는 판다리판데, 니키타 네크라소프, 다베시 마우릭과 함께 대수 다양체(3차원 다양체)의 그로모프-위튼 불변량과 도널드슨-토마스 불변량을 연결하는 유명한 추측들을 제시했다.[2]

전문 분야는 조합론과 표현론이다. 업적으로는 비텐 추측의 다른 증명, 올샨스키 추측 해결, 백-다이프트-요한슨 추측 해결, 고파쿠마르-마리노-바파 공식 증명, 곡선의 국소 도널드슨-토마스 이론, 네크라소프 추측 해결 등이 있다.[4]

4. 수상 경력

Packard Fellowship영어, 2001년[3]

유럽 수학 학회상(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Prize), 2004년[3][4]

필즈상(Fields Medal), 2006년 ("확률론, 표현론, 그리고 대수 기하학을 연결하는 데 기여한 공로")[2][3][4]

Sloan Research Fellowship영어[3]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 2016년[4]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boratory of Representation Theory and Mathematical Physics https://mf.hse.ru/en[...]
[2]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Andrei Okounkov, Fields Medal winner http://www.icm2006.o[...]
[3] 웹사이트 G. Olshanski - Grigori Olshanski http://www.iitp.ru/e[...]
[4] 웹사이트 Newly Elected Members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