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리 사미 옌 경기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리 사미 옌 경기장은 갈라타사라이 SK의 창립자 알리 사미 옌의 이름을 딴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했던 축구 경기장이다. 1964년 개장하여 2011년 철거될 때까지 갈라타사라이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도 여러 차례 개최되었다. 1997년부터 새 경기장 건설이 추진되었고, 2011년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현재 람스 파크)가 개장하면서 마지막 경기를 치른 후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은 1945년에 건설되어 1952년에 재건축되었으며,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몬테네그로 국가대표팀 경기가 열리는 11,000명을 수용하는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의 축구 경기장이다.
  • 튀르키예의 축구 경기 시설 - 이즈미르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튀르키예 이즈미르에 위치한 이즈미르 아타튀르크 스타디움은 튀르키예-몰타 경기에서 68,034명의 최다 관중 기록을 보유하고, 카르시야카 SK와 괴즈테페 SK 경기에서 약 8만 명에서 8만 5천 명의 관중이 운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축구 경기장이다.
  • 튀르키예의 축구 경기 시설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한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은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건설된 다목적 경기장으로, UEFA 5성급 인증을 받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을 개최했으며, 콘서트 장소로도 활용되었고, 한때 갈라타사라이 SK의 UEFA 경기 개최 장소였다.
  • 이스탄불의 건축물 - 돌마바흐체 궁전
    돌마바흐체 궁전은 압둘메지드 1세의 명으로 1843년부터 1856년까지 이스탄불 베식타시에 건설된 오스만 제국의 궁전으로, 톱카프 궁전을 대신하여 1856년부터 1922년까지 제국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스탄불의 건축물 - 테오도시우스 성벽
    테오도시우스 성벽은 동로마 제국 시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이중 성벽으로, 해자, 내외벽, 망루를 갖춘 3중 구조로 육상 6km 구간을 보호했으며, 지진과 홍수 피해를 수리하며 유지되었다.
알리 사미 옌 경기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갈라타사라이-페네르바체 12.04.2009
갈라타사라이-페네르바체 12.04.2009
전체 이름알리 사미 옌 스타디움
이전 이름메지디예쾨이 스타디움 (1945–1964)
별칭해당 없음
위치메지디예쾨이, 이스탄불, 튀르키예
좌표41°03′55.62″N 28°59′56.28″E
소유주갈라타사라이 SK
건설1943–1945, 1945–1964
개장1945년, 1964년
리모델링1996년, 2008년
확장1964년, 2008년
폐장2011년 1월 11일
철거2011년 4월 13일
표면잔디
수용 인원15,000명 (1945–1964), 35,000명 (1964–1996), 22,800명 (1996–2005), 17,484명 (2005–2006), 23,785명 (2006–2008), 24,354명 (2008–2011)
건축가해당 없음
임차인갈라타사라이 (1966–1972, 1980–1984, 1986–2003, 2004–2011),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 (1964-2009)
기록적인 관중48,600명 (터키 - 불가리아, 1964년 12월 20일)
경기장 크기105 x 65 m
스위트룸69
대중 교통쉬쉴리—메지디예쾨이

2. 역사

갈라타사라이 SK의 창립자이자 초대 구단주인 알리 사미 옌의 이름을 따서 경기장 이름을 지었다. 1964년 12월 20일 터키와 불가리아의 친선 경기로 알리 사미 옌 스타디(Ali Sami Yen Stadi)가 문을 열었다.[1] 이 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는 1910년 12월 20일, 터키-불가리아와의 국가대표 경기였다. 하지만 개막 경기에서 관중석 중 한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1층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다.[1]

1965년 경기장에 조명등이 설치되어 야간 경기가 가능해졌다.[1] 1970년대 초, 경기장은 또다시 방치되었고, 이 기간 동안 이뇌뉘 스타디움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 1970년대 갈라타사라이는 주로 훈련 장소로 경기장을 사용했다.[1]

1981년 경기장에 잔디를 심고 다시 개장했다.[1] 1993년 조명 시스템을 교체하여 야간 경기를 다시 시작했고,[1] 같은 해, 터키에서 알리 사미 옌 스타디에서 통합 티켓 시스템을 시작했다. 또한 낡은 벤치를 없애고 경기장에 좌석을 설치하여 경기장의 입석 공간은 35,000석에서 22,000석으로 줄어들었다.[1]

1999년 지진 이후, 안전상의 이유로 2005-2006 시즌에 기존의 오픈 스탠드(Eski Açık)가 철거되고 교체되었다. 2007년, 아슬란테페에 새로운 갈라타사라이 경기장 건설에 대한 정부 당국과의 논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개장 후 결국 철거되었다. 알리 사미 옌 경기장의 철거는 2011년 4월에 시작되었다.[5] 갈라타사라이의 마지막 경기는 2011년 1월 11일, 튀르키예 컵 경기에서 베이파자르 셰케르스포르를 상대로 치러졌다.

2. 1. 경기장 건설 배경

이스탄불에서 축구는 1920년대 초 영국인 선수들에 의해 현재 페네르바체의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부지에 위치한 파파즌 차이르(Priest’s Field)라고 알려진 들판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1840년대 술탄 압뒬메지트 1세가 건설한 오스만 시대 탁심 포병 막사(탁심 탑추 키슬라스)의 안뜰에 위치한 탁심 스타디움이 1921년에 개장하면서, 그 주변 벽이 관람석으로 바뀌었다. 이 새로운 경기장은 새로운 축구 본부가 되었다.

1939년 도시 개발 과정에서 탁심 스타디움이 위치한 군사 막사가 1940년에 철거되었고, 그에 따라 경기장도 사라졌다.

이 시기에 페네르바체는 파파즌 차이르를 포함한 부지를 매입하여 페네르바체 스타디움을 건설했고, 베식타스 클럽은 오늘날의 츠라안 궁전이 있는 지역에 위치한 셰레프 스타디움으로 이동했다.

당시 경기장 사용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은 것은 갈라타사라이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는 1930년대 초에 시작되었다. 갈라타사라이가 부지를 확보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는 1933년으로, 당시 클럽 회장이었던 알리 하이다르 바르살이 메지디예쾨이에 있는 뽕나무 과수원에 관심을 보였다.

2. 2. 메지디예쾨이 부지 확보 및 건설 시도

1920년대 초, 이스탄불에서 축구는 영국인 선수들에 의해 현재 페네르바체의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부지에 위치한 파파즌 차이르(Priest’s Field)라고 알려진 들판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1921년에는 오스만 제국 시대 탁심 포병 막사의 안뜰에 위치한 탁심 스타디움이 개장하면서, 그 주변 벽이 관람석으로 바뀌었고, 이 경기장은 새로운 축구 본부가 되었다.

1939년 도시 개발 과정에서 탁심 스타디움이 위치한 군사 막사가 1940년에 철거되면서 경기장도 사라졌다. 이 시기에 페네르바체는 파파즌 차이르를 포함한 부지를 매입하여 페네르바체 스타디움을 건설했고, 베식타스 클럽은 셰레프 스타디움으로 이동했다.

당시 경기장 사용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은 것은 갈라타사라이였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정부와의 논의 끝에 갈라타사라이를 위해 경기장을 건설할 부지로 메지디예쾨이 시 외곽 부지가 할당되었다. 1936년에 건설을 위한 발굴 작업이 시작되었고, 당시 터키 스포츠 기구의 회장이었던 아드난 멘데레스가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노력은 발굴 단계에 머물렀다.

1940년, 테브피크 알리 치나르 회장 임기 하에 경기장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동일한 부지가 30년 동안 연간 상징적인 임대료 1리라에 갈라타사라이에 임대되었다. 갈라타사라이는 이로써 해당 토지의 사용 권리를 획득했다. 토지를 임대하면서 갈라타사라이는 현대적인 경기장과 자전거 벨로드롬을 건설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제한된 자금과 전쟁의 분위기로 인해 건설이 시작될 수 없었다. 1943년, 오스만 다르다간이 당면한 필요에 부응하는 소규모 경기장을 건설하기 위한 계획을 주도했다.

2. 3. 메지디예쾨이 경기장 (임시)

전쟁 분위기 속에서, 흙으로 된 경기장에 작은 규모의 개방형 관람석만이 허용되었고, 1945년 무슬리히틴 페이코을루 회장 재임 하에 개장되었다. 그러나 당시 도심에서 떨어진 거리, 대중교통 접근의 어려움, 그리고 그 지역의 거친 바람은 경기장이 오랫동안 방치되고 축구 경기가 열리지 않는 요인으로 작용했다.[4] 당시 도시 중심부에 이뇌뉘 스타디움이 개장되자 갈라타사라이는 메지디예코이 경기장 건설 계획을 포기하고, 완공 전에 이 프로젝트를 중단했다.[4] 1955년에는 당시 22년이 남아있던 사용권 계약에 30년이 추가되어 2007년까지 연장되었다.[4]

클럽이 경기장 건설을 착수하지 못하자, 체육총국이 이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건설은 1959년에 시작되었다.[4] 1961년 레피크 셀리모을루 회장 재임 기간에, 새롭게 완공된 경기장의 사용권을 갈라타사라이에 명확히 부여하는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었다.[4]

2. 4. 알리 사미 옌 경기장 건설 및 확장

갈라타사라이 SK의 창립자이자 초대 구단주인 알리 사미 옌의 이름을 따서 경기장 이름을 지었다. 1910년 12월 20일에 터키와 불가리아의 국가대표 경기가 이 경기장에서 처음 열렸다.

1964년 12월 20일 터키와 불가리아의 친선 경기로 알리 사미 옌 스타디(Ali Sami Yen Stadi)가 문을 열었다. 하지만 개막 경기에서 관중석 중 한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1층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다.[1]

1965년 경기장에 조명등이 설치되어 야간 경기가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야간 경기가 열리지는 않았다.[1]

1970년대 초, 경기장은 또다시 방치되었고, 이 기간 동안 이뇌뉘 스타디움(İnönü Stadium)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

1970년대 갈라타사라이는 주로 훈련 장소로 경기장을 사용했다. 그 당시 경기장은 초라한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다.[1]

1981년 경기장에 잔디를 심고 다시 개장했다.[1]

1993년 조명 시스템을 교체하여 야간 경기를 다시 시작했다.[1] 같은 해, 터키에서 알리 사미 옌 스타디에서 통합 티켓 시스템을 시작했다.[1] 또한 같은 해, 낡은 벤치를 없애고 경기장에 좌석을 설치했다. 이에 따라 경기장의 입석 공간은 35,000석에서 22,000석으로 줄어들었다.[1]

2. 5. 새 경기장 건설 프로젝트 및 이전

1997년, 갈라타사라이는 낡은 알리 사미 옌 경기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터키 최초의 다기능 현대식 경기장 설계를 위해 캐나다 건축 회사를 선정했다. 신 경기장 프로젝트는 1998년에 시작되어 많은 관심을 끌었다. 현대식 로지 시스템을 홍보하는 동안 전체 로지 구역이 상징적인 비용으로 판매되었다.

새 경기장 건설 자금 확보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나, 당시 구단의 어려운 재정 상황 때문에 필요한 자금을 찾을 수 없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자금 조달 필요액을 줄이기 위해 프로젝트를 수정했지만, 비용 절감에도 불구하고 2001년 경제 위기가 재정 문제 해결을 가로막았다. 2003-2004 시즌에는 기존 프로젝트가 다시 등장했지만, 새롭고 현대적인 경기장 건설을 위해 포기되었고, 역시 자금 조달 요구는 충족되지 못했다.

메지디예쾨이가 이제 시내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주 당국은 이 지역에서의 경기장 확장에 반대했다. 갈라타사라이에게는 새로운 부지가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 새로운 부지에 건설될 신 경기장 자금 조달을 위한 노력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이어졌다.

2004-2005 시즌에 진행된 대대적인 리모델링 이후, 구단은 알리 사미 옌 경기장으로 복귀했다. 1999년 지진 이후, 안전상의 이유로 2005-2006 시즌에 기존의 오픈 스탠드(Eski Açık)가 철거되고 교체되었다. 2007년, 아슬란테페에 새로운 갈라타사라이 경기장 건설에 대한 정부 당국과의 논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새로운 부지에 2년 안에 건설될 새 경기장을 갈라타사라이에 양도하고, 그 대가로 알리 사미 옌 경기장 부지를 구단으로부터 넘겨받기로 결정했다.

2. 6. 철거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개장 후 결국 철거되었다. 알리 사미 옌 경기장의 철거는 2011년 4월에 시작되었다.[5] 갈라타사라이의 마지막 경기는 2011년 1월 11일, 튀르키예 컵 경기에서 베이파자르 셰케르스포르를 상대로 치러졌다. 팀은 새 경기장인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로 가기 위해 이 경기에서 반드시 승리하길 원했다. 1-0으로 뒤지고 있었지만, 주장 아르다 투란, 수비수 세르베트 체틴, 그리고 콜린 카심-리차즈의 골로 최종 점수는 3-1이 되었다.

3. 분위기

알리 사미 옌 경기장은 많은 유럽 팀들에게 ''지옥''이라고 불리는데, 유럽 팀들의 터키 원정 경기에 대한 공포는 대부분 이 경기장으로 인해 생겼다. 특히 유명 축구 선수들이 알리 사미 옌 경기장에서 원정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경기장 분위기에 대해 언급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파올로 말디니: "그 누구도 이 경기장에 2만 명 밖에 없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을 것이다." (갈라타사라이와 밀란의 경기 후)

엣하르 다비츠: "우리도 이런 서포터가 있었다면 우린 매 경기마다 승리했을 것이다." (갈라타사라이와 유벤투스의 경기 후)

함부르크 SV와의 UEFA 경기 중 알리 사미 옌 경기장


과거 이 경기장에서는 35,000명 이상의 관중 앞에서 경기가 열렸으며, 갈라타사라이 팬들은 붉은색과 노란색의 물결, 위협적인 분위기, 열광적인 응원을 펼쳤다. 팬들은 종종 횃불, 연기, 드럼, 깃발, 거대한 포스터를 대거 사용하여 시각적인 웅장함을 연출하고 원정팀에 심리적 압박을 가했기 때문에 "지옥"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알리 사미 옌은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벤투스, 밀란 등 유명한 유럽 축구 클럽과의 많은 승리를 거둔 곳이기에 갈라타사라이에게 중요한 곳이다.

4. 시설

경기장은 이스탄불 중심부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 중 하나인 메지디예코이에 위치해 있었으며, 주변은 고밀도 도시 개발로 둘러싸여 있었다.

갈라타사라이의 새로운 홈 구장은 쉬실의 마슬라크 금융 지구 근처 세이란테페 지역에 새로 건설된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이다. 2011년 1월 15일에 개장한 이 새 경기장은 52,652석 규모로, 터키에서 한 구단이 소유한 가장 큰 사립 경기장이다.

''GALATASARAY'' 표지판과 로고가 있는 유명한 ''카팔르'' 스탠드


경기장은 지붕으로 덮인 두 개의 동일한 측면 스탠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누마랄르''(번호) 스탠드와 ''카팔르''(덮개) 스탠드. 골대 뒤에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예니 아치크''(새로운 오픈)와 전광판이 있는 ''에스키 아치크''(오래된 오픈) 스탠드가 있었다. 경기장 최고의 분위기는 가장 열광적인 팬들이 모이는 ''카팔르''(덮개) 스탠드였으며, 수용 인원은 5,528명이었다. ''누마랄르''(번호) 스탠드는 더 나은 편의를 제공했지만 가장 비쌌으며, 수용 인원은 4,351명이었다.

''예니 아치크''(새로운 오픈) 스탠드는 7,869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경기장의 가장 현대적인 부분은 6,597석 규모로 재건된 ''에스키 아치크''(오래된 오픈) 스탠드였다.

5. 교통

경기장은 이스탄불 중심부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 중 하나인 메지디예코이에 위치해 있었으며, 주변은 고밀도 도시 개발로 둘러싸여 있었다. 탁심 광장과 같은 인기 관광 명소에서 멀지 않아 접근성이 매우 좋았다. 경기장 인근에는 이스탄불 광역 자치구 버스 노선의 여러 노선이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이 있었다. 지하철역의 이름은 "쉬슐리/메지디예쾨이"이다.

6. 경기 기록

'''관중 기록'''[4]
순위관중 수날짜경기
148,6001964년 12월 20일튀르키예불가리아
236,6581983년 11월 20일갈라타사라이 – 트라브존스포르
335,8451987년 6월 7일갈라타사라이 – 에스키셰히르스포르
435,7911981년 10월 25일갈라타사라이 – 트라브존스포르
535,6641967년 4월 2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635,6351983년 10월 16일갈라타사라이 – 오르두스포르
735,6291981년 9월 13일갈라타사라이 – 볼루스포르
835,5311983년 9월 11일갈라타사라이 – 데니즐리스포르
935,5051987년 10월 25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1035,5031983년 6월 5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6. 1. 주요 국제 경기

날짜결과상대대회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
1994년 10월 12일5-0아이슬란드UEFA 유로 1996 예선
1994년 12월 14일1-2스위스
1996년 11월 10일7-0산마리노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997년 4월 30일1-3벨기에
1997년 8월 20일6-4웨일스
1998년 9월 5일3-0북아일랜드UEFA 유로 2000 예선
1998년 10월 14일1-3핀란드
1999년 3월 27일2-0몰도바
2000년 2월 23일0-2노르웨이친선 경기
2000년 9월 2일2-0몰도바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1년 3월 24일1-1슬로바키아
2001년 9월 5일1-2스웨덴
2001년 11월 14일5-0오스트리아2002 FIFA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
2002년 9월 7일3-0슬로바키아UEFA 유로 2004 예선
2002년 10월 16일5-0리히텐슈타인
2005년 3월 25일4-0알바니아UEFA U-21 유로 예선
2005년 6월 3일0-1그리스
2005년 9월 2일3-2덴마크
2007년 10월 17일0-1그리스UEFA 유로 2008 예선
2007년 11월 21일1-0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8년 9월 9일4-0아르메니아UEFA U-21 유로 예선
2009년 4월 1일1–2스페인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6. 2.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날짜팀 1스코어팀 2라운드
2000년 9월 2일2 - 04조
2001년 3월 24일1 - 14조
2001년 9월 5일1 - 24조
2001년 11월 14일5 - 0플레이오프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알리 사미 옌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는 총 4경기이다. 터키는 2000년 9월 2일 몰도바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고, 2001년 3월 24일 슬로바키아와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1년 9월 5일 스웨덴에게는 1-2로 패배했지만, 2001년 11월 14일 오스트리아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5-0 대승을 거두며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6. 3. 관중 기록

'''관중 기록'''[4]
순위관중 수날짜경기
148,6001964년 12월 20일튀르키예불가리아
236,6581983년 11월 20일갈라타사라이 – 트라브존스포르
335,8451987년 6월 7일갈라타사라이 – 에스키셰히르스포르
435,7911981년 10월 25일갈라타사라이 – 트라브존스포르
535,6641967년 4월 2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635,6351983년 10월 16일갈라타사라이 – 오르두스포르
735,6291981년 9월 13일갈라타사라이 – 볼루스포르
835,5311983년 9월 11일갈라타사라이 – 데니즐리스포르
935,5051987년 10월 25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1035,5031983년 6월 5일갈라타사라이 – 페네르바흐체


7. 새 경기장 (람스 파크)

경기장은 이스탄불 중심부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 중 하나인 메지디예코이에 위치해 있었으며, 주변은 고밀도 도시 개발로 둘러싸여 있었다.

갈라타사라이의 새로운 홈 구장은 쉬실리의 마슬라크 금융 지구 근처 세이란테페 지역에 새로 건설된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람스 파크)이다. 2011년 1월 15일에 개장한 이 새 경기장은 52,652석 규모로, 터키에서 한 구단이 소유한 가장 큰 사립 경기장이다.[6]

새 경기장 람스 파크의 내부 모습


이 경기장 계획은 2007년 5월 11일 터키 언론에 소개되었다.[6] 2011년 1월 15일에 개장한 람스 파크는 52,652석의 좌석 수용 능력을 갖추고 있어, 터키에서 클럽이 임대한 가장 큰 사립 경기장이다. 또한 경기장에는 자체 지하철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stanbul GSIM http://www.istanbul-[...] 2010-11-10
[2] 뉴스 Galatasaray depart Ali Sami Yen stadium with win http://www.uefa.com/[...] UEFA 2011-01-11
[3] 웹사이트 Ali Sami Yen and his friends formed Galatasaray in 1905 https://www.fifa.com[...] FIFA 2023-10-11
[4] 웹사이트 Milliyet Newspaper Archive Website http://gazetearsivi.[...]
[5] 웹사이트 Milliyet Newspaper https://web.archive.[...] 2011-04-11
[6] 웹사이트 Hürriyet: İşte G.Saray'ın yeni stadı http://www.hurriyet.[...]
[7] 웹사이트 Galatasaray Resmi Sitesi http://www.galatas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