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제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 대학교는 1832년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설립된 알제리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1909년 문학, 법학, 의학 및 약학, 과학부로 개편되었고, 같은 해 이 학부들이 통합되어 알제 대학교가 되었다. 프랑스 식민 시대에는 유럽인 학생이 대다수였으며, 1956년 알제리 무슬림 학생 총연합의 파업으로 수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1962년 알제리 독립 직전에는 도서관이 방화로 소실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71년 고등 교육 개혁 이후 학과의 아랍화가 진행되었으며, 2009년에는 알제 대학교 벤유세프 벤케다, 알제 2 대학교, 알제 3 대학교로 분할되었다. 2015년에는 대학교 건물이 국가 역사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의 건축물 - 우아리 부메디엔 공항
우아리 부메디엔 공항은 알제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24년 개항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터미널 1, 2, 3, 4를 운영하며 다양한 항공사들이 여객 및 화물 노선을 운항하고, 알제 시내와 여러 교통 수단으로 연결된다. - 알제의 건축물 - 1962년 7월 5일 경기장
알제리에 위치한 1962년 7월 5일 경기장은 1972년 개장 후 다양한 국제 대회를 개최했으며, 특히 1978년 올아프리카 게임,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04년 팬아랍 게임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고, 개보수를 거쳐 7만 석 이상의 좌석을 보유한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경기 장소이다.
알제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알제 대학교 |
현지 이름 | جامعة الجزائر – بن يوسف بن خـدة |
![]() | |
표어 | Integritas, Scientia, Vis |
표어 (번역) | 성실, 지식, 힘 |
설립일 | 1909년 |
유형 | 공립 연구 대학 |
위치 | 알제 |
국가 | 알제리 |
캠퍼스 | 도시 지역, 교외 |
웹사이트 | 알제 대학교 웹사이트 |
이전 명칭 | |
조직 | |
총장 | 알리 아부바하 |
학장 | 파레스 모크타리 |
학생 수 | 45,000명 |
소속 |
2. 역사
알제 대학교의 역사는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이후인 19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여러 고등 교육 기관들이 설립되었고, 1909년 이들이 통합되어 알제 대학교가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식민 시대 동안 대학은 주로 유럽인들을 위한 교육 기관으로 운영되었으나, 알제리 독립 전쟁을 거치며 중요한 변화를 맞이했다. 알제리 독립 이후에는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여러 개혁과 재편 과정을 겪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프랑스 식민 시대 (1830-1962)
알제리의 고등 교육은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이후인 1832년, 아랍어와 프랑스어 교육을 목적으로 알제 고등 문학 학교(''École supérieure des lettres d'Alger'')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1849년에는 오랑과 콘스탄틴에도 캠퍼스를 열었으며, 1879년 12월 20일에는 프랑스 정규 교육 시스템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알제를 중심으로 1833년 고등 의학 및 약학 학교(''École supérieure de médecine et de pharmacie'', 1857년 공식화), 1868년 과학 학교(''École supérieure des sciences''), 1879년 법학 학교(''École supérieure de droit'')가 차례로 세워졌다.1909년, 이들 고등 학교들은 각각 문학, 법학, 의학 및 약학, 과학 학부로 개편되었고, 같은 해에 통합되어 알제 대학교가 탄생했다. 이로써 알제 대학교는 프랑스 식민지 내에서 유일하게 프랑스 본토 대학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는 고등 교육 기관이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알제 대학교 학생의 대다수는 유럽인이었으며, 아랍 및 베르베르계 알제리인 학생의 비율은 전체의 1.2%에서 18.1%에 불과했다.
알제리 독립 전쟁이 격화되던 1956년 5월 19일, 알제리 무슬림 학생 총연합(UGEMA)은 무기한 학생 파업을 선언했다. 이 파업으로 알제 대학교의 학업과 시험이 중단되었으며, 민족 해방 전선에 대한 지지를 결집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 투표를 불과 한 달 앞둔 1962년 6월 7일,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던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의 극단주의 단체인 비밀 군사 기구(OAS)는 대학 도서관 건물에 불을 질러 50만 권의 장서를 파괴하는 분서 만행을 저질렀다. 이 사건은 아랍 세계에서 초토화 작전 또는 더러운 전쟁의 일환으로 간주되었으며,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등 여러 국가가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이는 알제리의 독립과 독자적인 문화 구축을 방해하려는 반독립 세력의 야만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2. 2. 알제리 독립 이후 (1962-현재)
1971년 고등 교육 개혁으로 단과 대학 제도가 폐지되었고, 여러 학문 분야가 유사성에 따라 학과와 연구소로 통합되었다. 이 개혁은 사회 과학의 특정 수업(처음에는 철학과 역사)부터 시작하여 학문의 점진적인 아랍화를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후 1998년 12월 12일, 단과 대학 제도가 다시 부활했다.[5]2009년에는 대학교가 세 개의 새로운 기관으로 나뉘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알제 대학교 벤유세프 벤케다(알제 1 대학교)는 역사적, 학문적 전통을 잇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새로 만들어진 다른 두 기관은 다음과 같다:[5]
- 아부 엘 카셈 사아달라 대학교(알제 2 대학교)
- 브라힘 솔탄 차이부트 대학교(알제 3 대학교)
2015년, 대학교 건물의 상태가 나빠지자 교수, 학생, 지지자들은 대학교를 국가 역사 건축 유산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문화부는 2015년 7월 이 요청을 받아들였다.[9][10]
3. 도서관
4. 저명한 교수진 및 동문
알제 대학교는 역사적으로 학계, 문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저명한 인물들을 교수진과 동문으로 배출하였다.
4. 1. 교수진
- 페르낭 브로델 (1902–1985) – 프랑스 역사학자
- 존 피터스 험프리 (1905–1995) – 캐나다 법학자
- 앙드레 샤스타뇰 (1920–1996) – 프랑스 역사학자
- 아시아 제바르 (1936–2015) – 소설가, 번역가, 영화 제작자
- 아흐메드 자위 – 이슬람 학자, 2014년 뉴질랜드에서 난민 자격 획득
4. 2. 동문

- 장 밥티스트 폴랭 트롤라 (1842–1910) – 의사. "트롤라 정맥"(상부 문합 정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알베르 카뮈 (1913–1960) – 작가이자 195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 폴 코스트-플로레 (1911–1979) – 법학 교수이자 정치인.
- 알베르 메모 (1920–2020) – 튀니지 출신 학자.
- 수잔 카렐 (1923–2019) – 교육자.
- 가브리엘 캉 (1927–2002) – 고고학자 및 사회 인류학자.
- 모리스 오댕 (1932–1957) – 수학자이자 정치 운동가.
- 파델라 므라베 (1935년 출생) – 작가이자 페미니스트.
- 파티마 갈레르 (1944–2020) – 작가이자 극작가.
- 유세프 사드 (1950년 출생) – 수학자.
- 베르나르 피신보노 (1933년 출생) – 응용 통계학자.
- 엘리아스 제르후니 (1951년 출생) – 알제리 출신 미국 의학 과학자, 방사선과 의사이자 생명 공학 엔지니어.
- 사데크 라바 (1968년 출생) – 대학교수이자 학술 연구원.
- 카우테르 아디미 (1986년 출생) – 작가.
- 압델카데르 레지그 엘모카디미 (1950–2022) – 작가이자 언론인.
- 페르하트 아바스 (1899–1985) – 정치인.
- 모하메드 라민 데바긴 (1917–2003) – 정치 운동가.
- 메디 벤 바르카 (1920–1965?) – 모로코 정치인, 1965년 강제 실종되었다.
- 라크다르 브라히미 (1934년 출생) – UN 외교관이자 알제리 외무부 장관.
- 하시바 벤 부알리 (1938–1957) – 정치 운동가.
- 페르하트 메헨니 (1951년 출생) – 정치 운동가.
- 아흐메드 조글라프 (1953년 출생) – 생물 다양성 협약 사무총장.
- 사이드 진니트 (1954년 출생) – 국제 연합 외교관.
- 브라힘 자멜 카살리 (1954년 출생) – 알제리 재무부 장관.
- 칼리다 투미 (1958년 출생) – 페미니스트 운동가.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y of Algiers/Benyoucef Benkhedda
https://web.archive.[...]
enstructive.com
2013-09-13
[2]
웹사이트
University of Algiers – Benyoucef Benkhedda
https://web.archive.[...]
africanseer.com
2013-09-13
[3]
웹사이트
University of Algiers
https://archive.toda[...]
mediahex.com
2013-09-13
[4]
서적
Histoire de l’Université d’Alger: L’épopée intellectuelle de l’Algérie
La Maison des livres
[5]
웹사이트
About University of Algiers (Algeria)
https://www.africa2t[...]
2024-06-03
[6]
서적
Les Étudiants algériens de l’université française 1880-1962: Populisme et nationalisme chez les étudiants et intellectuels musulmans algériens de formation française
Éditions de CNRS
[7]
뉴스
n incendie criminel ravage l’universite, plusieurs autres batiments publics sont de ́truit’
LeMonde
1962-06-09
[8]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Organisation De l'Armée Secrète
Grasset
[9]
웹사이트
Appel d'universitaires et d'intellectuels à faire de la Fac centrale un monument historique
https://web.archive.[...]
Reporters
2015-06-12
[10]
웹사이트
L'appel des universitaires a été entendu: la Fac centrale d'Alger classée monument historique
http://www.huffpostm[...]
Huffington Post
2015-07-03
[11]
웹사이트
Libraries and museums – Algeria
http://www.nationsen[...]
2015-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