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너하임 덕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너하임 덕스는 1993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창단한 NHL 아이스하키 팀이다. 마이티 덕스 오브 애너하임으로 시작하여 200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006-07 시즌에 스탠리 컵에서 우승했다. 폴 카리야와 테무 셀라네는 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으며, 스콧 니더마이어는 스탠리 컵 우승을 이끌었다. 현재 라이언 게츠라프가 주장을 맡고 있으며, 혼다 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너하임 덕스 - 혼다 센터
혼다 센터는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 위치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NHL 애너하임 덕스의 홈구장이자 NBA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의 제2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콘서트, UFC, 프로 레슬링 등 다양한 행사 개최를 통해 서부 해안의 주요 공연장으로 자리매김했고 2028년 하계 올림픽 배구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 캘리포니아주의 아이스하키팀 - 로스앤젤레스 킹스
로스앤젤레스 킹스는 1967년 창단된 로스앤젤레스 연고의 프로 아이스하키팀으로, 웨인 그레츠키 영입과 스탠리 컵 우승을 통해 팀 역사를 장식했으며, 여러 팀과의 라이벌 관계 및 유니폼 디자인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 캘리포니아주의 아이스하키팀 - 스톡턴 히트
스톡턴 히트는 2015년 창단되어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을 연고지로 활동했으며, 2015-16 시즌부터 2021-22 시즌까지 스톡턴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다가 2022-23 시즌부터 캘거리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199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세너터스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세너터스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존재했던 아메리카 하키 리그의 아이스하키 팀으로, 샬럿타운 시빅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애틀랜틱 디비전 1위를 두 번 기록했다. - 199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포틀랜드 파이리츠
포틀랜드 파이리츠는 1993년부터 2016년까지 AHL에서 활동하며 여러 NHL 팀과 제휴했고 1994년 캘더 컵 우승을 했으나, 프랜차이즈 매각 및 이전으로 스프링필드 선더버즈가 되었다.
애너하임 덕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애너하임 덕스 |
이전 이름 | 마이티 덕스 오브 애너하임 (1993–2006) |
창단 | 1993년 |
연고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경기장 | 혼다 센터 |
팀 색상 | 주황색, 메탈릭 골드, 검은색, 흰색 |
리그 | 내셔널 하키 리그 (NHL) |
컨퍼런스 | 웨스턴 |
디비전 | 퍼시픽 |
웹사이트 | 애너하임 덕스 공식 웹사이트 |
소유 및 경영진 | |
구단주 | 헨리 & 수전 새뮤얼리 |
단장 | 팻 베르베크 |
감독 | 그레그 크로닌 |
주장 | 라드코 구다스 |
미디어 | |
TV 방송국 | Victory+ Sports Network KCOP (Fox 11 Plus) KTTV (Fox 11) |
라디오 방송 | Ducks Stream on TuneIn |
방송 해설 | 존 알러스 브라이언 헤이워드 스티브 캐럴 에머슨 에템 |
제휴 구단 | |
AHL | 샌디에이고 걸즈 |
ECHL | 털사 오일러스 |
유니폼 | |
![]() | |
우승 기록 | |
스탠리 컵 | 1회 (2006-07) |
컨퍼런스 우승 | 2회 (2002-03, 2006-07) |
프레지던츠 트로피 | 0회 |
디비전 우승 | 6회 (2006-07,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
2. 역사
애너하임 덕스는 1992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NHL 프랜차이즈 승인을 받으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3년 팀 이름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1992년 디즈니 영화 ''마이티 덕스''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4] 1993년 NHL 확장 드래프트와 1993년 NHL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단을 구성했으며,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전체 4순위로 폴 카리야를 지명했다.[8]
1996년 위니펙 제츠와의 트레이드로 테에무 셀래네를 영입,[20] 폴 카리야와 함께 "다이나믹 듀오"를 이루며 팀을 이끌었다. 1996-97 시즌 첫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준결승까지 올랐으나,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 패했다.
2002-03 시즌에는 마이크 밥콕 감독과 함께 스탠리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뉴저지 데블스에게 패했다.[20]
2005년, 브로드컴의 공동 창업자인 헨리 사무엘리가 팀을 인수하고, 브라이언 버크를 단장으로 임명했다. 2005-06 시즌 스콧 니더마이어를 영입하고 테무 셀라네가 복귀하면서 전력을 강화했다. 2006년, 팀명을 '애너하임 덕스'로 변경했다. 2006-07 시즌 크리스 프롱거를 영입, 정규 시즌에서 퍼시픽 디비전 1위를 차지하고, 스탠리 컵 결승에서 오타와 세네터스를 꺾고 창단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10-11 NHL 시즌 라이언 게츠라프가 주장을 맡았고, 코리 페리가 50골을 기록하며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정규 시즌 MVP)와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최다 득점)를 수상했다.
2014-15 NHL 시즌부터 2017-18 NHL 시즌까지 4시즌 연속 퍼시픽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으나, 플레이오프에서는 스탠리 컵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8-19 시즌부터 재건기에 들어갔다. 2019년 댈러스 이킨스가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46] 2021-22 시즌을 끝으로 라이언 게츠라프가 은퇴했다. 2023년, 그렉 크로닌이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55]
2. 1. 창단과 초기 (1993-1996)
애너하임 덕스는 1992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NHL 프랜차이즈 승인을 받으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2년 12월 NHL은 디즈니에게 5천만 달러의 가입비와 함께 프랜차이즈를 승인했으며, 이 중 절반은 로스앤젤레스 킹스에게 로스앤젤레스 미디어 시장 "공유" 비용으로 지불했다.[3]1993년 3월 1일, 디즈니랜드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혼다 센터(당시 애너하임 아레나)에서 팀 이름이 발표되었다. 팀 이름은 1992년 디즈니 영화 ''마이티 덕스''에서 영감을 받았다.[4] 팀 사장으로는 필라델피아 경기장 관리 전문가 토니 타바레스가, 단장으로는 산호세 샤크스 창단에 기여한 잭 페레이라가 선임되었다.[5] 덕스는 론 윌슨을 팀 역사상 첫 번째 감독으로 선임했다.[6]
덕스는 1993년 NHL 확장 드래프트와 1993년 NHL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단을 구성했다. 확장 드래프트에서는 골키퍼 가이 헤버트와 글렌 힐리를 시작으로 알렉세이 카사토노프, 스티븐 킹 등을 영입하며 수비에 중점을 두었다.[7]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전체 4순위로 폴 카리야를 지명했는데, 그는 1994년부터 경기에 나서며 수년간 팀의 간판선수가 되었다.[8] 그 결과 선수단 연봉은 NHL 최저 수준인 790만 달러였다.[9]
주장 트로이 로니를 필두로 한 덕스는 첫 시즌에 33승 46패 5무를 기록했는데, 이는 확장 팀으로서 기록적인 승수였다. 홈경기 41번 중 27번을 매진시켰고, 시즌 수용 인원의 98.9%를 채웠다. 덕스 관련 상품은 월트 디즈니 파크 앤 리조트와 디즈니 스토어에서의 판매에 힘입어 NHL 클럽 중 판매 1위를 기록했다.[10][11]
노사 분규로 단축된 1994–95 NHL 시즌에 폴 카리야가 데뷔하여 39포인트(18골 21어시스트)를 기록했고, 팀은 16승 27패 5무의 성적을 거두었다.
연도 | 경기 | 승 | 패 | 무 | 득점 | 실점 | 승점 |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
---|---|---|---|---|---|---|---|---|---|
1993-94 | 84 | 33 | 46 | 5 | 229 | 251 | 71 | 퍼시픽 4위 | 불참 |
1994-95 | 48 | 16 | 27 | 5 | 125 | 164 | 37 | 퍼시픽 6위 | 불참 |
1995-96 | 82 | 35 | 39 | 8 | 234 | 247 | 78 | 퍼시픽 4위 | 불참 |
2. 2. 폴 카리야와 테무 셀라네 시대 (1996-2003)
1996년 2월, 시즌 도중 위니펙 제츠와의 대형 트레이드로 테에무 셀래네를 영입했다.[20] 이로 인해 폴 카리야와 셀라네는 당시 NHL을 대표하는 강력한 공격 라인 "다이나믹 듀오"를 갖게 되었다. 또한 카리야는 이 시즌부터 애너하임의 주장을 맡아 팀을 이끌었다.1996-97 시즌, 마이티 덕스는 사상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달성했다.[20] 1997년 플레이오프 1회전에서 피닉스 코요테스를 4승 3패로 꺾었지만, 준결승에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 0승 4패로 패했다.
나가노 올림픽을 앞둔 1997-98 시즌은 일본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에서 밴쿠버 캐넉스를 상대로 개막전을 치렀다.[20] 카리야는 계약 문제로 인해 개막전부터 12월까지 출전하지 못했고, 복귀 후 이듬해 2월에는 경기 중 심한 체크를 받아 부상, 그대로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 애너하임은 그 여파로 1998년 플레이오프 출전을 놓쳤다.
1998-99 시즌은 새로운 헤드 코치 아래에서 서부 컨퍼런스 6위로 간신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1회전에서 다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 0승 4패로 패했다.
1999-2000 시즌은 플레이오프 진출권에 있는 산호세 샤크스에 4점 차로 근접했지만, 결국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00-01 시즌에도 시즌 도중 HC를 해고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고 서부 컨퍼런스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 시즌 종료 후, 주전 선수 중 한 명인 테무 셀라네가 산호세 샤크스로 트레이드되면서 애너하임을 떠나게 되었고, 카리야와의 다이나믹 듀오는 해체되었다.
2001-02 시즌에는 카리야의 기록이 계속 하락했고, 마이티 덕스는 서부 컨퍼런스 13위를 기록했다.
2002-03 시즌에 마이크 밥콕 감독과 함께 다시 포스트 시즌에 진출, 7위를 기록하였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를 4승 0패로 꺾고, 2라운드에서 댈러스 스타스를 상대로 4승 2패로 승리하였다. 팀 창단 후 첫 번째 웨스턴 컨퍼런스 결승전에서 미네소타 와일드를 4승 0패로 꺾고 창단 첫 스탠리 컵 결승에 진출했다. 2003 스탠리 컵 결승전에서 뉴저지 데블스에게 3승 4패로 패했지만, 골리 장-세바스티앙 지구에르가 콘 스마이스 트로피(플레이오프 MVP)를 수상했다.[20]
연도 | 경기 | 승 | 패 | 무 | 연장전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
---|---|---|---|---|---|---|---|---|---|---|
1996-97 | 82 | 36 | 33 | 13 | - | 243 | 233 | 85 | 퍼시픽 2위 | 컨퍼런스 준결승 탈락 (DET) |
1997-98 | 82 | 26 | 43 | 13 | - | 205 | 261 | 65 | 퍼시픽 6위 | 불참 |
1998-99 | 82 | 35 | 34 | 13 | - | 215 | 206 | 83 | 퍼시픽 3위 | 컨퍼런스 쿼터 결승 탈락 (DET) |
1999-00 | 82 | 34 | 33 | 12 | 3 | 217 | 227 | 83 | 퍼시픽 5위 | 불참 |
2000-01 | 82 | 25 | 41 | 11 | 5 | 188 | 245 | 66 | 퍼시픽 5위 | 불참 |
2001-02 | 82 | 29 | 42 | 8 | 3 | 175 | 198 | 69 | 퍼시픽 5위 | 불참 |
2002-03 | 82 | 40 | 27 | 9 | 6 | 203 | 193 | 95 | 퍼시픽 2위 | 스탠리 컵 결승 탈락 (NJ) |
2. 3. 팀명 변경과 스탠리 컵 우승 (2003-2007)
2003-04 시즌, 폴 카리야가 콜로라도 애벌런치로 이적하면서 팀은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2004-05 시즌은 NHL 노사 분규로 인해 취소되었다. 2005년, 브로드컴의 공동 창업자인 헨리 사무엘리가 팀을 인수하고, 브라이언 버크를 단장으로 임명했다.2005-06 시즌, 자유 계약 선수로 스콧 니더마이어를 영입하고, 테무 셀라네가 복귀하면서 팀 전력이 강화되었다. --
2006년, 팀명을 '애너하임 덕스'로 변경하고, 팀 로고와 유니폼 디자인도 변경했다.

2006-07 시즌, 크리스 프롱거를 영입하고 정규 시즌에서 퍼시픽 디비전 1위를 차지했다. 플레이오프에서 미네소타 와일드, 밴쿠버 캐넉스,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서 오타와 세네터스를 꺾고 창단 첫 스탠리 컵 우승을 달성했다. 스콧 니더마이어가 콘 스마이트 트로피를 수상했다.
연도 | GP | W | L | OL | GF | GA | PTS |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
---|---|---|---|---|---|---|---|---|---|
2006-07 | 82 | 48 | 20 | 14 | 258 | 208 | 110 | 퍼시픽 1위 | 스탠리 컵 우승 |
2. 4. 스탠리 컵 우승 이후 (2007-2018)
2007-08 NHL 시즌을 앞두고 스콧 니더마이어와 테무 셀라네가 은퇴를 번복하고 현역으로 복귀했다. 크리스 프롱거를 주장으로 임명하고 서부 콘퍼런스 3위로 정규 시즌을 마쳤으나, 2008년 N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댈러스 스타스에게 패했다.[27]2008-09 NHL 시즌에는 서부 콘퍼런스 8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2009년 NHL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게 패했다.
2009-10 NHL 시즌에는 스탠리 컵 우승의 주역이었던 롭 니더마이어와 크리스 프롱거 등이 팀을 떠났고, 일리아 브리지갈로프도 트레이드로 방출되었다. 결국 서부 콘퍼런스 11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2010년 NHL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이 시즌을 끝으로 스콧 니더마이어는 은퇴했다.
2010-11 NHL 시즌에는 스콧 니더마이어의 은퇴 후 라이언 게츠라프가 주장을 맡았다. 게츠라프, 코리 페리, 셀라네와 골키퍼 요나스 힐러의 활약으로 서부 콘퍼런스 5위로 2011년 NHL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내슈빌 프레데터스에게 패했다. 특히 코리 페리는 50골을 기록하며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정규 시즌 MVP)와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최다 득점)를 수상했다.
2011-12 NHL 시즌에는 야로슬라블 여객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루슬란 살레이를 추모하며 그의 등번호 "24" 패치를 유니폼에 부착하고 시즌을 치렀다. 시즌 초반 브루스 보드로 감독이 부임했으나, 팀 성적은 서부 콘퍼런스 13위로 부진하며 2012년 NHL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2-13 NHL 시즌은 선수노조 파업(록아웃)으로 인해 정규 시즌이 48경기로 단축되어 진행되었다. 애너하임은 퍼시픽 디비전 1위를 차지했으나, 2013년 N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게 패했다.
2013-14 NHL 시즌은 팀 창단 20주년으로, 테무 셀라네가 은퇴를 발표했다. 정규 시즌에서 서부 콘퍼런스 1위를 차지했으나, 2014년 NHL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로스앤젤레스 킹스에게 패했다.
2014-15 NHL 시즌부터 2017-18 NHL 시즌까지 4시즌 연속 퍼시픽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으나, 플레이오프에서는 스탠리 컵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시즌 | GP | W | L | OTL | Pts | GF | GA | 순위 | 플레이오프 | |
---|---|---|---|---|---|---|---|---|---|---|
2007-08 | 82 | 47 | 27 | 8 | 102 | 205 | 191 | 퍼시픽 2위 |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DAL) | |
2008-09 | 82 | 42 | 33 | 7 | 91 | 245 | 238 | 퍼시픽 2위 |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DET) | |
2009-10 | 82 | 39 | 32 | 11 | 89 | 238 | 251 | 퍼시픽 4위 | 불참 | |
2010-11 | 82 | 47 | 30 | 5 | 99 | 239 | 235 | 퍼시픽 4위 |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NSH) | |
2011-12 | 82 | 34 | 36 | 12 | 80 | 204 | 231 | 퍼시픽 5위 | 불참 | |
2012-13 | 48 | 30 | 12 | 6 | 66 | 140 | 118 | 퍼시픽 1위 |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DET) | |
2013-14 | 82 | 54 | 20 | 8 | 116 | 263 | 207 | 퍼시픽 1위 |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LAK) | |
2014-15 | 82 | 51 | 24 | 7 | 109 | 228 | 221 | 퍼시픽 1위 | 컨퍼런스 결승 패배(CHI) | |
2015-16 | 82 | 46 | 25 | 11 | 103 | 218 | 192 | 퍼시픽 1위 |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NSH) | |
2016-17 | 82 | 46 | 23 | 13 | 105 | 223 | 200 | 퍼시픽 1위 |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NSH) | |
2017-18 | 82 | 44 | 25 | 13 | 101 | 235 | 216 | 퍼시픽 2위 |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SJS) |
2. 5. 재건기 (2018-현재)
2018-19 시즌, 랜디 칼라일 감독이 해임되고 밥 머레이가 임시 감독을 맡았으나, 덕스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46] 2019년, 댈러스 이킨스가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46]2019-2020 시즌은 샌디에이고 걸스(AHL)에서 댈러스 이킨스를 헤드 코치로 영입했다. 코리 페리의 방출이나 라이언 케슬러의 시즌 전체 결장(고관절 수술, 치료를 위해) 등 전력 악화로 고전하며 시즌 내내 득점력 부족에 시달리며 하위권에 머물렀다. 시즌 중반부터 북미 지역 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덕스는 71경기를 소화한 시점에서 정규 시즌이 중단되었고, 이후 종료되었다. 특수 규칙으로 진행되는 플레이오프(시즌 승점 획득률 상위 24위가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27위로 진출하지 못했다.
2020-2021 시즌은 NHL의 리그 운영 자체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대폭 변경되었다. 경기 수가 각 팀 56경기로 축소되었고, 디비전도 웨스트~센트럴~이스트~노스의 4개 디비전으로 재편성되어 애너하임은 웨스트 디비전에 편입되었다. 홈 경기의 입장 관객 수는 초반에는 무관중, 중간부터 1700명으로 제한되는 등 여러 제약이 가해진 시즌이 되었다. 시즌 첫 경기가 1/14로 예년보다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고, 맥스 콤투아나 이번 시즌 새롭게 합류한 트레버 제글라스 등 젊은 선수들의 활약도 보였지만, 최근 몇 년간 이어지고 있는 득점 부족(특히 시즌 팀 총 골 126골은 이 시즌 리그 최하위)은 이번 시즌에도 변함없이 초반부터 패배가 이어지며 5/8의 최종전에서 정규 시즌이 종료되었다. 시즌 17승에 그쳐 디비전 최하위, 리그 전체에서도 31개 팀 중 30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며 시종일관 부진한 시즌이 되었다.
2021-22 시즌과 2022-23 시즌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리그 운영에 차질을 빚었고,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47] 2021년, 밥 머레이 단장이 사임하고,[49][50][51] 2022년 팻 버비크가 새로운 단장으로 임명되었다.[52]
2021-2022 시즌을 끝으로 애너하임의 주장을 맡았던 라이언 겟즐라프가 은퇴했다. 또한 이 시즌에는 GM인 밥 머레이가 성희롱으로 인해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 시즌, 팀은 초반에는 좋은 스타트를 보여 일시적으로 디비전 선두까지 올랐지만, 이후 부진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23년, 그렉 크로닌이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55] 2023 NHL 드래프트에서 레오 칼손을 전체 2순위로 지명했다.[56]
''다음은 덕스의 최근 5시즌 기록의 일부이다.''
시즌 | GP | W | L | OTL | Pts | GF | GA | 순위 | 플레이오프 |
---|---|---|---|---|---|---|---|---|---|
2019-20 | 71 | 29 | 33 | 9 | 67 | 187 | 226 | 퍼시픽 6위 | 진출 실패 |
2020-21 | 56 | 17 | 30 | 9 | 43 | 126 | 179 | 웨스트 8위 | 진출 실패 |
2021-22 | 82 | 31 | 37 | 14 | 76 | 232 | 271 | 퍼시픽 7위 | 진출 실패 |
2022-23 | 82 | 23 | 47 | 12 | 58 | 209 | 338 | 퍼시픽 8위 | 진출 실패 |
2023-24 | 82 | 27 | 50 | 5 | 59 | 204 | 295 | 퍼시픽 7위 | 진출 실패 |
애너하임 덕스는 1993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의해 창단되었으며, 팀 이름은 디즈니 영화 '마이티 덕스'에서 영감을 받았다.[4] 창단 당시 로스앤젤레스 킹스에 가입비의 절반을 지불하여 로스앤젤레스 미디어 시장을 공유했다.[3] 토니 타바레스가 팀 사장, 잭 페레이라가 단장, 론 윌슨이 초대 감독을 맡았다.[5][6]
3. 팀 정보
1993년 NHL 확장 드래프트에서 골키퍼 가이 헤버트, 글렌 힐리를, 1993년 NHL 드래프트에서는 폴 카리야를 지명했다.[7][8] 첫 시즌은 33승 46패 5무로 확장 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덕스 라이선스 상품은 NHL 클럽 중 판매 1위를 기록했다.[10][11]
2010-11 시즌, 코리 페리는 50골 98포인트로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했다.[36] 2011-12 시즌 전, 루슬란 살레이가 야로슬라블 여객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여 그의 등번호 24번 패치를 부착하고 시즌을 치렀다.[36]
2012-13 시즌은 노사 합의 파업으로 단축되었고, 덕스는 태평양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2013-14 시즌은 구단 창립 20주년이자 테무 셀라네의 마지막 시즌이었다. 덕스는 정규 시즌 최고 기록을 세웠지만, 로스앤젤레스 킹스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했다.
2014-15 시즌, 밴쿠버 캐넉스에서 라이언 케슬러를 영입하고 세 시즌 연속 태평양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 플레이오프에서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시카고 블랙호크스에 패했다.
2015-16 시즌, 덕스는 11연승으로 구단 신기록을 세웠지만,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내슈빌 프레데터스에 패하며 브루스 보드로 감독이 해고되었다.[43] 2016-17 시즌, 랜드 카일라일 감독이 복귀하고 태평양 디비전 5연패를 달성했지만, 컨퍼런스 결승에서 내슈빌 프레데터스에 패했다.
2017-18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샌호세 샤크스에 스윕당했다. 2018-19 시즌은 구단 창립 25주년이었지만, 성적 부진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역대 시즌 성적연도 GP W L OL GF GA PTS 최종 순위 플레이오프 2006-07 82 48 20 14 258 208 110 퍼시픽 1위 스탠리 컵 우승 2007-08 82 47 27 8 205 191 102 퍼시픽 2위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DAL) 2008-09 82 42 33 7 245 238 91 퍼시픽 2위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DET) 2009-10 82 39 32 11 238 251 89 퍼시픽 4위 불참 2010-11 82 47 30 5 239 235 99 퍼시픽 4위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NSH) 2011-12 82 34 36 12 204 231 80 퍼시픽 5위 불참 2012-13 48 30 12 6 140 118 66 퍼시픽 1위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DET) 2013-14 82 54 20 8 263 207 116 퍼시픽 1위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LAK) 2014-15 82 51 24 7 228 221 109 퍼시픽 1위 컨퍼런스 결승 패배(CHI) 2015-16 82 46 25 11 218 192 103 퍼시픽 1위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 (NSH) 2016-17 82 46 23 13 223 200 105 퍼시픽 1위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NSH) 2017-18 82 44 25 13 235 216 101 퍼시픽 2위 컨퍼런스 준준결승 패배(NSH) 2018-19 82 35 37 10 199 251 80 퍼시픽 6위 불참 2019-20 71 29 33 9 187 226 67 퍼시픽 6위 불참(시즌 승점 획득률 27위) 2020-21 56 17 30 9 126 179 43 웨스트 8위 불참 2021-22 82 31 37 14 232 271 76 퍼시픽 7위 불참
애너하임 덕스는 로스앤젤레스 킹스와 프리웨이 페이스오프라 불리는 라이벌 관계이며, 산호세 샤크스와도 라이벌 관계이다.
3. 1. 팀명과 로고
Mighty Ducks of Anaheim영어 시절의 로고는 오리 부리 모양의 골키퍼 마스크를 형상화한 것으로, 마스크 뒤에는 두 개의 교차하는 하키 스틱, 검은색 하키 퍽, 그리고 녹색 또는 회색의 삼각형이 있었다. 이 로고는 현재 유니폼의 어깨 패치에 사용되며, 삼각형은 오렌지색이다.[66]
2006년 팀명 변경과 함께 로고는 "D"자 모양의 물갈퀴 발로 바뀌었다.[29] 이 로고는 금색 바탕에 오렌지색과 검은색으로 강조되어 3차원적인 느낌을 준다. 전체 로고는 은색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다.
현재 덕스의 로고는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되었던 로고와 유사하다. 오렌지색 하키 스틱은 더 평평하고 곡선적이며, 삼각형은 금색이다. 마스크의 음영은 회색 대신 금색이며, 오렌지색 눈과 금색 눈썹이 특징이다. 로고의 스틱은 여전히 "W" 테이프를 유지하며, 함께 표시될 경우 마스코트 와일드 윙(Wild Wing)에 대한 헌사로 WW를 나타낸다. 수정된 오리 발은 어깨에 보조 로고로 사용된다.[66]
3. 2. 유니폼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애너하임 마이티 덕스는 가지색과 비취색을 바탕으로 한 유니폼을 착용했다. 원정 유니폼은 가지색과 비취색 바탕에 은색, 보라색, 흰색 대각선 줄무늬로 나뉘었고, 홈 유니폼은 흰색과 비취색 바탕에 보라색, 흰색, 은색 대각선 줄무늬로 나뉘었다. 1995년에는 NHL 써드 유니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와일드 윙" 대체 유니폼을 착용했지만, 곧 폐기되었다.[57]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두 개의 대체 유니폼을 착용했고, 2003년에는 검은색 대체 유니폼을 출시했다.[57]
2006년 애너하임 덕스로 팀명을 변경하면서 유니폼은 검은색과 흰색 바탕에 금색과 주황색 줄무늬가 추가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57] 가슴에는 팀 전체 이름이 새겨졌다. 2010년에는 "웹드 D"를 메인 문장으로 하는 검은색 대체 유니폼을 공개했다.[57]
2014년 1월 25일, 스타디움 시리즈 경기를 위해 특별 유니폼을 제작했다.[58] 2014년, "webbed D" 대체 유니폼이 주 유니폼이 되었고, 흰색 유니폼도 공개되었다.[57] 2015년에는 주황색 서드 유니폼이 공개되었으며, 2019년부터 현대적인 아디다스 템플릿으로 다시 사용되었다.[57]
2018-19 시즌 25주년 기념 시즌을 위해 새로운 서드 유니폼을 채택했다.[59] 2020-21 시즌에는 "Reverse Retro" 시리즈라는 특별한 대체 유니폼을 출시했다.[60] 2022-23 시즌에는 두 번째 "Reverse Retro" 유니폼이 공개되었다.[61]
2023-24 시즌을 위한 30주년 기념 대체 유니폼이 공개되었다.[62]
2024년 6월, 덕스는 새로운 로고와 패나틱스(Fanatics, Inc.)가 제작한 새로운 유니폼을 공개했다. 홈 유니폼은 오렌지색 바탕에 검은색, 금색, 흰색 줄무늬가 있고, 원정 유니폼은 흰색에 오렌지색 어깨와 같은 색상의 줄무늬가 있다. 두 유니폼 모두 수정된 오리 발 로고를 어깨에 사용한다.[64]
3. 3. 마스코트
애너하임 덕스의 공식 마스코트는 와일드 윙(Wild Wing)이라는 의인화된 오리이다. 그는 팀 창단 시즌부터 마스코트로 활동했으며, 그의 이름은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되었다. 그는 덕스 유니폼을 입고 있으며, 등에는 93번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덕스가 NHL 팀이 된 해를 의미한다.
그는 경기 중 입장할 때 종종 경기장 지붕에서 내려온다.[67] 와일드 윙을 지붕에서 내려오게 하는 장비가 고장나 마스코트가 얼음 위 50피트 상공에 몇 분 동안 갇혀 있는 사고도 있었다. 1995년 10월에는 와일드 윙이 "불의 벽"을 뛰어넘으려다 실수로 넘어져 의상이 불타는 사고가 있었다.[68]
그의 외모는 오리지널 마이티 덕스 로고의 오리 마스크와 유사하다. 와일드 윙의 청동상은 혼다 센터[69] 남쪽 문 밖에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위치해 있었으나, 경기장에 '그랜드 테라스'를 추가하는 공사가 시작되면서 사라졌다. 2013년 10월 그랜드 테라스가 완공되어 개장했을 때, 조각상은 눈에 띄게 없었다. 이 조각상은 2017년에 보관소에서 다시 돌아와 경기장 남동쪽 입구에 자리 잡았다.[70]
이 마스코트는 디즈니의 ''마이티 덕스'' 만화 시리즈에 등장하는 와일드윙 플래시블레이드 캐릭터의 영감이 되었다.[71]
팀이 이름 변경과 유니폼 디자인 변경을 발표하는 동안, 팀 소유주들은 마스코트인 와일드 윙을 변경하거나 교체하려 했지만, 팬들의 성공적인 청원에 의해 중단되었다.[72]
마이티 덕스는 1993년 팀의 첫 경기에서 아이스맨(Iceman)이라는 부마스코트를 사용했는데, 아이스맨은 특정 의상을 입지 않은 사람이었다. 아이스맨은 가끔 관중석에 나타나 전기 기타를 연주하며 관중들의 분위기를 띄우려고 했다. 그러나 아이스맨은 팬들에게 호평을 받지 못했고, 덕스가 창단 경기에서 7–2로 레드 윙스에게 패배한 후 빠르게 사라졌다.[73][74]
3. 4. 라이벌
애너하임 덕스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두 팀과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킹스와의 라이벌 관계는 프리웨이 페이스오프로 불리는데, 두 팀의 경기장이 모두 캘리포니아주 5번 주간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로스앤젤레스 대도시권 내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덕스는 산호세 샤크스와도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두 경기장 사이의 거리가 6시간이나 되지만, 2009년과 2018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에서 여러 차례 맞붙으면서 강력한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덕스는 2009년 시리즈에서 승리했지만, 샤크스는 2018년에 설욕했다.[75][76]
4. 선수 및 관계자
폴 카리야는 1996년부터 2003년까지 팀의 주장을 맡았으며, 1996-97 시즌에는 덕스를 첫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다.[27] 테무 셀라네는 1998년에 임시 주장을 맡았다.[27]
카리야가 떠난 후 스티브 루친이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주장을 맡았고,[27] 2005년에는 스콧 니더마이어가 주장으로 임명되었다.[28] 그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그리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주장을 역임했다.[27] 크리스 프롱거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주장을 맡았다.[27]
라이언 겟즐라프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팀의 주장을 역임했으며,[27] 2024년부터는 라드코 구다스가 주장을 맡고 있다.[27]
역대 감독으로는 론 윌슨(1993–1997),[27] 피에르 파제(1997–1998),[27] 크레이그 하츠버그(1998–2000),[27] 가이 샤론(2000–2001),[27] 브라이언 머레이(2001–2002),[27] 마이크 밥콕(2002–2004),[27] 랜디 칼라일(2005–2011, 2016–2019),[27] 브루스 보드로(2011–2016),[27] 밥 머레이(2019, 임시),[27] 댈러스 이킨스(2019–2023),[46] 그렉 크로닌(2023–현재)이 있다.[55]
역대 단장으로는 잭 페레이라(1993–1998),[52] 피에르 고티에(1998–2002),[52] 브라이언 머레이(2002–2004),[52] 알 코ates(2004–2005, 임시),[52] 브라이언 버크(2005–2008),[52] 밥 머레이(2008–2021),[52] 제프 솔로몬(2021–2022, 임시),[52] 팻 버비크(2022–현재)가 있다.[52]
1993년 NHL 드래프트에서 덕스는 전체 4순위로 폴 카리야를 지명했다.[8]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2월 18일 업데이트[77][78]등번호 | 국적 | 선수 | 포지션 | 슛/G | 나이 | 영입 | 출생지 |
---|---|---|---|---|---|---|---|
91 | 레오 칼손 | C | L | 19 | 2023 | 칼스타드, 스웨덴 | |
1 | 루카스 도스탈 | G | L | 23 | 2018 | 브르노, 체코 | |
6 | 브라이언 드물린 | D | L | 32 | 2024 | 비데포드, 메인 | |
13 | 로비 파브리 | C | L | 28 | 2024 | 미시소거, 온타리오 | |
61 | 커터 고티에 | LW | L | 20 | 2024 | 셸레프테오, 스웨덴 | |
36 | 존 깁슨 | G | L | 30 | 2011 |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 | |
7 | 라드코 구다스 | D | R | 33 | 2023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
38 | 젠슨 하킨스 | C | L | 26 | 2024 |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 |
43 | 드루 헬레슨 | D | R | 22 | 2022 | 파밍턴, 미네소타 | |
44 | 로스 존스턴 | LW | L | 30 | 2023 | 샬럿타운,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 |
17 | 알렉스 킬로른 | LW | L | 34 | 2023 | 핼리팩스, 노바스코샤 | |
2 | 잭슨 라콤브 | D | L | 23 | 2019 | 에덴 프레리, 미네소타 | |
20 | 브렛 리슨 | RW | R | 24 | 2022 | 캘거리, 앨버타 | |
21 | 이삭 룬데스트롬 | C | L | 24 | 2018 | 옐리바레, 스웨덴 | |
26 | 브록 맥긴 | LW | L | 30 | 2023 | 퍼거스, 온타리오 | |
23 | 메이슨 맥타비시 | C | L | 21 | 2021 | 취리히, 스위스 | |
34 | 파벨 민튜코프 | D | L | 20 | 2022 | 모스크바, 러시아 | |
16 | 라이언 스트롬 | C | R | 30 | 2022 | 미시소거, 온타리오 | |
78 | 토마스 수차넥 | G | L | 20 | 2024 | 프르제호프, 체코 | |
19 | 트로이 테리 | RW | R | 26 | 2015 | 덴버, 콜로라도 | |
65 | 제이콥 트루바 | D | R | 30 | 2024 | 로체스터, 미시간 | |
77 | 프랭크 바트라노 | RW | L | 30 | 2022 | 이스트 롱메도우, 매사추세츠 | |
11 | 트레버 제그라스 | C | L | 23 | 2019 | 베드포드, 뉴욕 | |
51 | 올렌 젤웨거 | D | L | 20 | 2021 | 캘거리, 앨버타 |
4. 2. 주장
- 트로이 로니, 1993–1994
- 랜디 라두세르, 1994–1996
- 폴 카리야, 1996–2003
- 테무 셀라네, 1998 (임시)
- 스티브 루친, 2003–2004
- 스콧 니더마이어, 2005–2007, 2008–2010
- 크리스 프롱거, 2007–2008
- 라이언 겟즐라프, 2010–2022
- 라드코 구다스, 2024–현재
4. 3. 감독
- 론 윌슨, 1993–1997
- 피에르 파제, 1997–1998
- 크레이그 하츠버그, 1998–2000
- 가이 샤론, 2000–2001
- 브라이언 머레이, 2001–2002
- 마이크 밥콕, 2002–2004
- 랜디 칼라일, 2005–2011, 2016–2019
- 브루스 보드로, 2011–2016
- 밥 머레이, 2019 (임시)
- 댈러스 이킨스, 2019–2023
- 그렉 크로닌, 2023–현재
4. 4. 단장
- 잭 페레이라, 1993–1998[52]
- 피에르 고티에, 1998–2002[52]
- 브라이언 머레이, 2002–2004[52]
- 알 코ates, 2004–2005 (임시)[52]
- 브라이언 버크, 2005–2008[52]
- 밥 머레이, 2008–2021[52]
- 제프 솔로몬, 2021–2022 (임시)[52]
- 팻 버비크, 2022–현재[52]
4. 5. 1라운드 지명 선수
1993년 NHL 드래프트에서 덕스는 전체 4순위로 폴 카리야를 지명했다. 그는 1994년에 경기를 시작했지만, 수년 동안 프랜차이즈의 얼굴이 되었다.[8]5. 리그 및 팀 수상 기록
2006-07 시즌, 덕스는 오타와 세네터스를 5경기 만에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스탠리 컵을 차지했다. 스콧 니더마이어는 콘 스마이트 트로피를 수상했다.[31] 이는 1915년 밴쿠버 밀리어네어스 이후 캘리포니아 팀으로는 최초의 스탠리 컵 우승이었다.
2013-14 시즌에는 구단 최고 기록인 54승 20패 8연장 패배(승점 116점)로 정규 시즌 최고 기록을 세웠다.
5. 1. NHL 수상 및 트로피
상 | 시즌 | |
---|---|---|
스탠리 컵 | 2006-07 | |
클래런스 S. 캠벨 볼 | 2002-03, 2006-07 | |
선수 | 상 | 시즌 |
장-세바스티앙 지게르 | 콘 스마이트 트로피 | 2002-03 |
스콧 니더마이어 | 콘 스마이트 트로피 | 2006-07 |
코리 페리 |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 2010-11 |
프레데릭 앤더슨 & 존 깁슨 | 윌리엄 M. 제닝스 트로피 | 2015-16 |
폴 카리야 | 레이디 빙 기념 트로피 | 1995-96, 1996-97 |
테무 셀라네 | 빌 마스터턴 기념 트로피 | 2005-06 |
테무 셀라네 |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 | 1998-99 |
코리 페리 |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 | 2010-11 |
밥 머레이 | 올해의 NHL 단장상 | 201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