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적은 국가가 국민에게 부여하는 권리와 의무의 기반이 되는 지위이다. 국제법상 국적은 외교적 보호권을 부여하고 사법 충돌 해결에 사용되며, 국내법적으로는 참정권, 입국 및 체류 권리, 공무담임권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국적 취득은 혈통주의, 출생지주의, 혼인, 입양, 귀화 등의 다양한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국적 상실 및 이탈은 각국의 법률에 따라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대한민국은 혈통주의를 기본으로 하며, 복수국적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병역 의무를 해소하지 않은 남성의 국적 이탈을 제한한다. 일본,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각기 다른 국적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적 상실 및 이탈에 대한 통계를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적 - 시민
    시민은 법적인 권리와 의무를 지니는 정치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고대 그리스 폴리스에서 유래하여 국민 국가의 구성원, 참정권과의 관계, 세계 시민주의 등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국적 - 귀화
    귀화는 한 국가의 국민이 아닌 사람이 그 국가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국은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귀화를 허용한다.
  • 국제사법 - 도미사일
    도미사일은 개인의 법적 지위와 권리 의무를 결정하는 법률상 주소와 유사한 개념으로, 출생지, 선택지, 의존적 주소지로 구분되며 결혼, 상속 등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국제사법 - 관할권
    관할권은 소송을 제기할 법원을 결정하는 문제로, 재판을 진행할 법원의 범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민사, 형사, 군사 법원 중 어디에서 재판할지를 정하는 재판권과 소장을 제출할 법원을 결정하는 구체적 관할권으로 구분된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국적
국적
개요
정의특정 국가와 개인 간의 법적 관계.
법적 지위개인을 주권 국가의 주체로 설정하는 법적 지위.
관련 개념시민권
국민 정체성
국적법
국적 취득 방법
출생으로 인한 취득출생지주의
혈통주의
항공기 및 선박에서의 출생
귀화로 인한 취득기증에 의한 권리
시민권 선서
시민권 시험
국적 관련 문제
관련 문제무국적
다중국적
초국적 시민권
국적 상실국적 박탈
국적 포기
이민과 국적
관련 개념외국인
적성국인
외교적 보호권
해외 거주자
외국인 노동자
불법 이민
이민법
이민자 통합
영주권
난민
귀환 권리
자발적 귀환
신원 세탁
국제법적 관점
중요성국제법에서 국가와 개인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
규정국적법은 각 국가의 국내법에 의해 규율됨.
국가별 국적법
특징각 국가마다 국적법 규정 및 정책이 다름.
예시대한민국 국적법
아르헨티나 국적법

2. 국적의 개념 및 기능

국적은 개인과 국가 간의 법적 유대 관계를 의미하며, 국제법 및 국내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개념적으로 시민권과 국적은 국가 구성원 자격의 서로 다른 측면이다. 시민권은 국가의 내부 정치 생활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국적은 국제법에서 국가 구성원 자격의 측면이다.[34] 세계인권선언 제15조는 모든 사람은 국적을 가질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35]

역사적으로, 국민과 시민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시민은 선출직 공무원에 대한 투표권과 선출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11] 19세기와 20세기까지는 국가에 속한 사람들 중 특정 비율만이 완전한 시민으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과거에는 성별, 사회경제적 계급, 민족, 종교 및 기타 요인을 근거로 많은 사람들이 시민권에서 배제되었지만, 현대의 국적 개념과 유사한 정부와의 법적 관계는 유지했다.[11]

미국 국적법은 미국의 일부 외곽 영토에서 태어난 일부 사람들을 미국 국민으로 규정하지만 시민으로는 규정하지 않는다. 영국 국적법은 6가지 종류의 영국 국민을 정의하는데, 그 중 "영국 시민"은 한 종류이며 (거주권을 가짐), 일부 "영국 신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중화민국(일반적으로 타이완으로 알려짐)에서 무호적 국민의 지위는 중화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지만 타이완 지역에 입국하거나 거주할 자동적인 권리가 없고,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가질 자격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용된다. 멕시코, 콜롬비아 및 기타 일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국적법에 따라 국민들은 성년이 될 때까지 시민이 되지 않는다.

전면적인 시민권이 없는 국적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국가국적 형태설명
영국영국 시민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영국 국적6가지 형태의 영국 국적 중 영국 시민만이 영국, 맨섬 및 채널 제도에 자동적인 거주권을 가지며, 다른 모든 국적은 영국에 입국하고 거주할 자동적인 권리가 없다. 영국 해외 영토 시민(BOTC)의 지위는 해외 영토와의 관계에서 파생되지만, 영토 자체의 법률에 따라 정의되는 해당 영토의 거주민 지위(시민권을 부여함)를 보장하지 않으며, 이는 영국 국적법과 다를 수 있다.[36]
라트비아비시민 (라트비아)독립 회복 당시 라트비아의 합법적인 거주민이었지만 라트비아 시민권을 가질 자격이 없는 사람들에게 부여된 지위이다. 주로 소비에트 점령 기간 동안 이주한 러시아계 주민이다.
에스토니아정의되지 않은 시민권독립 회복 당시 에스토니아의 합법적인 거주민이었지만 에스토니아 시민권을 가질 자격이 없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주로 소비에트 점령 기간 동안 이주한 러시아계 주민이다.
타이완 (중화민국)무호적 국민타이완에서의 권리는 국적과 그곳의 호적을 모두 가지고 있음으로써 부여된다. 호적이 없으면 타이완에 입국하거나 거주할 자동적인 권리가 없다. 이들은 주로 국적법에 따라 중화민국 국적을 가질 권리가 있는 해외 중국계 주민이다.
중국특별행정구 중 하나로 일방향 허가증을 사용하여 이주한 중국 국민이지만 영주권을 얻기 전이들은 기술적으로 중국 국민이지만, 중국 본토에서의 권리는 호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주 시 포기되기 때문에 어디에서도 투표하거나 여권을 신청할 수 없다. 그러나 특별행정구에서의 권리(예: 투표권 및 여권 소지권)는 7년간의 연속 거주 후에만 자격이 있는 영주민에게 부여된다. (여행 서류로 홍콩 비자 목적 신분증 또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여행 허가증을 신청할 수 있음)
미국미국 시민이 아닌 미국 국민주로 아메리칸 사모아 사람들로, 미국에 영주민으로 입국, 취업 및 거주할 권리가 있지만 시민과 같은 투표권을 가지지 못하며 시민에게만 제한되는 특정 공직을 맡는 것이 금지된다.
우루과이"국민"과 "비국민 시민"우루과이 헌법에 대한 특정 해석은 헌법의 언어가 시민을 "국민"과 "비국민 시민"으로 나눈다는 믿음으로 이어진다.



국적법이 서류상으로 (''사실상'') 동일한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분류하더라도, 부여되는 권리는 출생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때로는 서로 다른 여권을 가진 경우도 있는 서로 다른 ''사실상''의 국적 계급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중국 국적법은 홍콩마카오 특별행정구를 포함한 중국 전역에서 균일하게 적용되며, 모든 중국 국민은 국적법에 따라 동일하게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본토와 특별행정구 모두에서 현지 법률이 각 지역에서 중국 국민의 권리를 규율하며, 출생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중국 본토, 홍콩 또는 마카오의 중국 국민 간에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큰 차이를 두는 효과가 있는 서로 다른 권리, 심지어 서로 다른 여권까지 부여한다.

국적은 때때로 민족이나 출신 민족을 대신하는 단어로 사용되며, 일부 사람들은 시민권과 국적이 동일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37] 일부 국가에서는 현지 언어에서 '국적'과 동의어인 단어가 국가 또는 현 정부와의 관계가 아닌 문화적, 가족 기반의 자결권을 나타내는 식별자 또는 민족의 동의어로 이해될 수 있다.

국가 정체성은 개인이 특정 국가 또는 민족에 속한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이다. 개인은 시민으로서 특정 국가의 국민일 수 있지만, 주관적 또는 감정적으로 그 국가의 일부라고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반대로, 개인은 법적 관계 없이 특정 국가에 속한다고 느낄 수도 있다.

무국적 상태(Statelessness)란 개인이 어떤 국가와도 공식적이거나 보호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의 출입국 심사 표지판. 영어로는 "Chinese nationals", 중국어로는 "중국 시민 () "이라고 쓰여 있다.

2. 1. 국제법적 기능

국제법에서 국적은 한 국가가 자국민을 다른 국가로부터 보호할 권리(외교적 보호권)를 갖게 하는 기능을 한다.[11] 즉, 국가는 자국민이 해외에서 신체나 재산에 피해를 입었을 때, 가해국에 적절한 구제를 요구할 수 있다.[11]

국제사법재판소는 노테봄 사건에서 개인과 국적국 사이에 진정한 연관성이 있어야만 국가가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11]

또한 국가는 어떤 이유로든 자국민이 다른 국가에 체류할 수 없게 된 경우, 자국민을 자국 영토로 수용할 의무가 있다.

2. 2. 국내법적 기능

국적은 한 국가가 국민에게 권리를 부여하고 의무를 부과할 수 있게 하는 지위이다.[10] 대부분의 경우, 이 지위 자체만으로는 자동적으로 권리나 의무가 부여되지 않지만, 국가가 만드는 모든 권리와 의무의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 된다.[10]

오늘날에는 외국인도 내국인과 유사한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민법상의 권리에 대해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평등하게 대우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일부 영역에서는 자국 국적의 유무에 따라 권리 향유나 의무 부담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정권은 그 성격상 자국 국적을 가진 사람에게만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는 예외 및 논의가 있음). 입국 및 체류 권리 또한 기본적으로 자국민만이 누릴 수 있다. 따라서 외국에서 거주하며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다만, 뉴질랜드에서는 영주권을 가진 사람에게 국정 선거 투표권을 부여하기도 한다.[11] 공무담임권의 경우에도 참정권과의 관계에서 자국 국적 보유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취임이 아예 불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국적조항 참조).

또한, 외국인은 경제 정책상의 이유로 광업권, 어업권 등 민법상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

국제사법에서는, 특히 가족법 영역에서 준거법 결정을 위한 연결점으로서 국적이 기능할 수 있다 (본국법 참조). 예를 들어, 혼인의 성립 요건은 혼인 당사자가 국적을 가진 국가의 법(본국법)을 따르는 것이 원칙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다 (당사자의 주소지법을 준거법으로 하는 경우도 있음).

3. 국적 취득의 원칙

국적 취득 및 상실에 관한 입법은 각국의 내부 관할 사항이지만, 국적 관련 조약을 체결한 국가는 조약에 따른 제약을 받는다. 다만, 국내법적 측면에서 헌법을 정점으로 하는 국내 법 질서와 국제법인 조약의 우열을 어떻게 위치 지을 것인가 하는 논점이 존재한다.[11]

국적은 일반적으로 출생 상황에 따라 자동 부여되지만, 신청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 귀화: 국가는 일반적으로 합법적으로 입국하여 체류 허가를 받거나 정치적 망명을 받고 특정 기간 동안 거주한 사람들에게 국적을 부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귀화 시 모국어 또는 생활 방식에 대한 이해, (중범죄 기록이 없는) 선량한 행실, 도덕적 성품(예: 음주, 도박) 등을 조건으로 할 수 있으며, 새로운 국가 또는 통치자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이전 시민권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 일부 국가는 이중국적을 허용한다.
  • 투자 또는 경제적 시민권: 부유한 사람들은 시민권과 여권을 대가로 부동산이나 사업에 투자하거나, 정부 채권을 사거나, 현금을 직접 기부한다. 합법적이고 일반적으로 할당량에 제한이 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투자를 통한 시민권 비용은 100000USD에서 최대 2500000EUR에 이른다.[17]


각국의 국적법 내용이 모두 일치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중복 국적이나 무국적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3. 1. 혈통주의

대한민국혈통주의를 채택하여 부모의 국적에 따라 자녀의 국적이 결정된다. 일본, 독일 등 많은 국가들이 혈통주의를 따르고 있다.[48] 대한민국은 부모 양계 혈통주의를 채택하여, 부 또는 모가 대한민국 국민이면 자녀는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다.

과거에는 혈통주의가 주로 부계를 통해 적용되었으나, 20세기 후반 성평등이 일반화되면서 부모 양계 혈통주의로 변화하였다. 유럽에서는 혈통주의가 민족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개념과 관련이 깊다.

속인주의가 적용되는 경우, 부모 중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특정 국가의 시민이면, 해당 국가 밖에서 태어난 자녀도 시민권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국가(영국, 캐나다)는 해외 출생 시민권 부여를 제한하는 반면, 다른 국가(독일, 아일랜드, 스위스[14])는 일정 기간 내 등록을 조건으로 시민권을 부여하며, 이탈리아[15] 등은 해외 출생 세대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필리핀[12], 미국[13] 등은 출생에 의한 시민권, 즉 혈통주의를 적용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3. 2. 출생지주의

속지주의는 출생한 국가의 국적을 부여하는 원칙이다. 미국, 캐나다 등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이 주로 채택하고 있다.[48] 많은 경우, 속지주의와 속인주의 모두 장소 또는 부모(또는 둘 다)에 의해 시민권을 부여한다.

대한민국은 예외적인 경우(부모가 모두 불분명하거나 무국적자인 경우 등)에 한하여 출생지주의를 인정한다.[48] 일본에서도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부모의 소재가 불명확하거나, 무국적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동에게는 일본 국적을 부여하는데, 이는 무국적자의 발생은 인도주의적으로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48]

3. 3. 혼인, 입양 등에 의한 국적 취득

대한민국 국적자와 혼인하거나 대한민국 국민에게 입양되는 등의 신분 행위를 통해 국적을 취득하는 경우이다. 대한민국 국적법은 준정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분 행위에 의한 국적 취득을 제한적으로 인정한다.[10]

많은 국가에서 시민과의 결혼을 기반으로 귀화를 신속하게 처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들은 위장결혼을 적발하기 위한 규정을 두고 있다.[16] 일부 국가는 외국인 배우자가 해당 국가의 영주권자일 경우에만 혼인을 통한 시민권을 허용하는 반면, 다른 국가는 해외 시민의 외국인 배우자가 일정 기간 결혼 후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때로는 언어 능력과 문화 통합 증명도 조건으로 한다.

외국인에게 국적을 부여하는 것과 원래 가지고 있던 외국 국적을 포기하는 것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국가에 따라서는 외국인이 자국민과 혼인, 입양 등의 신분 행위를 한 경우 국적 취득을 인정하기도 한다. 이는 가족 구성원에 따라 국적이 다르면 전쟁 등이 발생했을 때 가족이 붕괴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국적이 없으면 해당 국가에서의 생활에 제약이 생기기 때문에, 신분 행위를 한 외국인에게 국적을 부여하여 해당 외국인 및 가족의 생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입법례는 줄어들고 있으며, 일본 국적법에서도 준정의 경우 신고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채택되지 않고 있다.

3. 4. 귀화

대한민국국적법에 따르면, 귀화는 외국인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는 방법이다. 귀화는 법률이 정한 요건을 충족하고 법무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가능하다.[11]

귀화에는 일반귀화, 간이귀화, 특별귀화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4. 국적 상실 및 이탈

대한민국 국민이 자발적으로 외국 국적을 취득하거나, 복수국적자가 정해진 기간 내에 대한민국 국적을 선택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다.[33] 이는 국적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무국적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과거에는 다중국적에 따른 불편을 피하기 위해 입법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나, 국제화 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현재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다중국적을 허용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4. 1. 대한민국 국적법의 특징

대한민국은 병역 기피 문제가 국적 문제를 통해 드러났기에, 이중국적이 허용되지 않는 국가였다.[79] 그러나 2010년 ~ 2011년, 복수국적을 허용하는 국적법이 새로 개정되어 복수국적자를 법에서 제한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국적법은 남성 복수국적자가 18세가 되어 제1국민역으로 편입된 때로부터 3개월 내에는 자유롭게 국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이후부터는 병역 문제를 해소하지 않는 한 국적 이탈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81] 이 조항 때문에 복수국적자는 만 38세가 되기 전까지는 한국 국적을 포기할 수 없고, 한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하면 병역 의무가 부과된다.[81]

대한민국을 대표해 해외공관에 근무하는 외교관들 다수가 자녀들을 ‘이중국적’으로 방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국적의 90%는 미국 국적이었다.[80]

4. 2. 국적 이탈의 자유

대한민국 헌법은 국적 이탈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무국적자가 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33] 대한민국 국적법은 외국 국적을 보유한 경우에만 국적 이탈을 허용한다. 이는 국적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무국적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4. 3. 국적 선택 제도

대한민국은 병역 기피 문제가 국적 문제를 통해 드러났기에, 이중국적이 허용되지 않는 국가였다. 그러나 2010년 ~ 2011년, 복수국적을 허용하는 국적법이 새로 개정되어 복수국적자를 법에서 제한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국적 선택 제도는 복수국적자에게 일정 기한까지 어느 한쪽 국적을 선택할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복수국적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선택하지 않을 경우 국적을 상실하게 하는 조치가 취해지는 입법례가 많다.

일본에서는 1984년 국적법 개정 당시 도입되었다(시행은 1985년). 다만, 일본 국적을 선택한 경우에는 외국 국적을 이탈할 의무가 발생하지만, 외국 국적 이탈에 관한 외국의 법제도가 다양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그 후 외국 국적 이탈 절차를 밟지 않는 것을 가지고 일본 국적 상실 사유로 하지는 않는다.

복수국적자는 만 22세가 되기 전까지 하나의 국적을 선택해야 하며, 기간 내에 선택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다. 대한민국 국적을 선택한 경우에도 외국 국적 포기 의무가 발생하지만, 외국 법제상의 이유로 포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예외가 인정될 수 있다. 국적법은 남성 복수국적자가 18세가 돼 제1국민역으로 편입된 때로부터 3개월 내에는 자유롭게 국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이후부터는 병역 문제를 해소하지 않는 한 국적 이탈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 조항 때문에 복수국적자는 만 38세가 되기 전까지는 한국 국적을 포기할 수 없고, 한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하면 병역 의무가 부과된다.[81][79]

5. 국가별 국적 제도

국적은 국가가 국민에게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는 지위이다.[11] 국가는 국적을 통해 국민을 다른 국가로부터 보호할 권리를 가진다.[11] 외교 및 영사 보호는 이러한 관계에 기반한다.[11]

국제법과 세계인권선언 제15조는 국적에 대한 권리와 임의적인 국적 박탈 금지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국가는 누가 자국민인지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으며,[11] 노테봄 사건 판례에 따라 국적이 실제 사회적 유대에 기반해야 타국이 이를 존중할 의무가 있다.

국적 취득과 상실에 관한 법률은 각국의 내부 관할 사항이지만, 조약을 체결한 국가는 국내법 제정 시 조약의 제약을 받는다. 국가별로 국적법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무국적 또는 중복 국적이 발생할 수 있다.

국적법의 형태는 헌법, 민법 등에 규정되거나 별도 법전으로 제정되는 등 다양하다.

각국의 국적법
대륙국가:미혼 부가 자녀에게 국적 부여 가능모가 자녀에게 국적 부여 가능여성이 배우자에게 국적 부여 가능
아시아아르메니아[63]
바레인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인도[64]
이란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말레이시아
네팔
오만
파키스탄
필리핀
카타르
러시아[68]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시리아
태국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가이아나
파라과이
페루
수리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북아메리카캐나다[55][55]
멕시코[57][57][57]
미국[58][58][55]
중앙아메리카벨리즈[59]
코스타리카[60]
엘살바도르[61]
과테말라
온두라스[62]
니카라과
파나마
카리브해바하마
바베이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유럽독일[70][71]
모나코
우크라이나[72]
오세아니아키리바시
나우루
솔로몬 제도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혈통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국적을 부여하며, 2010년과 2011년에 개정된 국적법에 따라 제한적으로 복수국적을 허용한다.[79] 이전에는 이중국적이 허용되지 않았으나, 법 개정을 통해 복수국적자를 제한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국적법은 남성 복수국적자가 18세가 되어 제1국민역에 편입된 때로부터 3개월 이내에는 자유롭게 국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병역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국적 이탈이 제한된다.[81] 이러한 조항으로 인해 복수국적자는 만 38세가 되기 전까지는 한국 국적을 포기할 수 없으며, 한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하면 병역 의무가 부과된다.[81]

대한민국의 국적 상실 및 국적 이탈 통계는 법무부에서 관리하며, 다음 표와 같다.

연도인구비고
2021년25,584명2021년 1월 ~ 8월 당시 17,047명
2020년28,686명2020년 1월 ~ 6월 당시 17,617명
2019년24,539명
2018년33,594명국적이탈자 6,986명으로 증가
2017년21,269명
2016년36,404명국적상실자 3만 명 이상으로 증가
2015년17,529명
2014년19,472명
2013년20,090명
2012년18,465명
2011년22,797명
2010년22,865명
2009년22,022명
2008년20,439명
2007년23,528명
2006년22,372명
2005년25,787명
2004년23,297명
2003년28,457명
2002년24,753명
2001년11,209명
2000년16,885명
1999년15,304명
1998년15,098명
1997년9,131명
1996년17,820명
1995년11,490명
1994년6,064명
1993년14,348명
1992년8,875명
1991년12,404명
1990년11,924명
1989년7,935명
1988년6,762명
1987년7,853명
1986년9,818명
1985년4,378명


5. 2. 일본

일본혈통주의를 기반으로 하며, 복수국적을 인정하지 않는다. 국적 선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한 내에 국적을 선택하지 않으면 일본 국적을 상실한다. 1984년 일본 국적법 개정으로 국적선택제도가 도입되었으며(1985년 시행), 일본 국적을 선택한 경우에는 외국 국적을 이탈할 의무가 발생한다. 하지만, 외국 국적 이탈에 관한 외국의 법제도가 다양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외국 국적 이탈 절차를 밟지 않더라도 일본 국적 상실 사유로 하지는 않는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일본의 국적상실 및 국적이탈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2020년1,596명
2019년2,231명
2018년2,262명
2017년1,942명
2016년1,671명
2015년1,439명
2014년1,502명
2013년1,147명
2012년973명
2011년880명
2010년763명


5. 3. 미국

미국출생지주의혈통주의를 병행하는 국가로, 복수국적을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는다. 부모 중 한 명이 미국인이고 자녀가 외국에서 태어났더라도, 다른 한쪽 부모가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 또는 체류 국가의 미국 대사관에 출생 신고를 하면 자녀의 미국 국적이 자동으로 인정된다.[36]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은 국적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미국 국적법은 미국의 일부 외곽 영토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미국 국민으로 규정하지만 시민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미국에 영주민으로 입국, 취업 및 거주할 권리가 있지만, 투표권과 같이 시민권자에게 주어지는 일부 권리는 제한된다.[36]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미국 국적 취득 인구 변화
연도인구비고
2016년5,411명-
2015년4,279명-
2014년3,415명-
2013년2,999명-
2012년932명-
2011년1,781명-
2010년1,534명-
2009년742명-
2008년231명-
2007년470명-
2006년278명-


5. 4.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는 국적을 한 번 취득하면 포기할 수 없다.[75] 이는 일본국 헌법이 해외 이주 및 국적 이탈의 자유를 명문으로 인정한 것과 대조적이다(일본국 헌법 제22조 2항).

5. 5. 기타 국가

주어진 원본 소스는 국제 협약 및 문서들에 대한 목록이며, "기타 국가"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기타 국가" 섹션에는 해당 문서의 내용을 작성하지 않는다. (이전 출력과 동일)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ity Definition & Meaning {{!}} Britannica Dictionary https://www.britanni[...] 2023-08-18
[2] 웹사이트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entry: nationality https://www.ahdictio[...] HarperCollins Publishers 2023-08-18
[3] 웹사이트 nationality https://dictionary.c[...]
[4] 서적 Multiple Nationality And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20-02-19
[5] 서적 Nationality and Statelessnes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BRILL 2012-08-19
[6] 간행물 Nationality and Statelessness: A Handbook for Parliamentarians http://archive.ipu.o[...] UNHCR and IPU 2020-07-16
[7] 웹사이트 Refworld | The 1954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Stateless Persons: Implementation within the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and Recommendations for Harmonisation https://www.refworld[...] 2021-07-29
[8] 간행물 Convention on Certain Questions Relating to the Conflict of Nationality Laws http://eudo-citizens[...] 1930-04-12
[9] 학술지 A New International Law of Citizenship https://www.cambridg[...] 2011
[10] 서적 Principles of European Constitutional Law. Hart Pub. 2009
[11] 서적 European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Recht 2007
[12] 웹사이트 Article IV of the Philippine Constitution http://www.chanroble[...]
[13] 웹사이트 8 U.S. Code Part I - Nationality at Birth and Collective Naturalization https://www.law.corn[...]
[14] 웹사이트 Federal Act on Swiss Citizenship (art 7.1) https://www.fedlex.a[...] 2021-02-15
[15] 웹사이트 CITTADINANZA ITALIANA: COME SI OTTIENE? https://www.cittadin[...] Cittadinanzattiva APS 2023-01-12
[16] 웹사이트 Bishops act to tackle sham marriages https://www.gov.uk/g[...]
[17] 뉴스 Citizenship for sale: how tycoons can go shopping for a new passport https://www.theguard[...] 2018-06-02
[18] 웹사이트 The 1951 Refugee Convention https://www.unhcr.or[...] 2021-03-25
[19] 웹사이트 Convention and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https://www.unhcr.or[...] 2021-03-25
[20] 웹사이트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Stateless Persons https://www.unhcr.or[...] 2021-03-25
[21]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eduction of Statelessness https://www.unhcr.or[...] 2021-03-25
[22] 웹사이트 Full list https://www.coe.int/[...] 2021-03-25
[23] 간행물 African Charter on The Rights and Welfare of the Child, 1990 https://www.un.org/e[...] 1990
[24] 웹사이트 OAS -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Democracy for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 http://www.oas.org/e[...] 2009-08-01
[25] 웹사이트 OAS -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Democracy for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 http://www.oas.org/e[...] 2009-08-01
[26] 웹사이트 Refworld | Arab Charter on Human Rights https://www.refworld[...] 2021-03-25
[27] 웹사이트 OHCHR |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ttps://www.ohchr.or[...] 2021-03-25
[28] 웹사이트 OHCHR |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www.ohchr.org[...] 2021-03-25
[2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un.org/d[...] 2021-03-25
[30] 웹사이트 OHCHR |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http://www.ohchr.org[...] 2021-03-25
[31] 웹사이트 OHCHR |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http://www.ohchr.org[...] 2021-03-25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un.org/e[...] 2021-03-25
[3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021-03-25
[34] 서적 Handbook of Citizenship Studi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5-06
[35] 웹사이트 CITIZENSHIP & NATIONALITY https://ijrcenter.or[...] 2012-11-15
[36] 법원판례
[37] 서적 Citizenship, nationality, and ethnicity: reconciling competing identities Polity Press
[38] 학술지 The USSR as a Communal Apartment, or How a Socialist State Promoted Ethnic Particularism 1994-06-01 #Summer issue assumed to be June
[39] 웹사이트 Court nixes push for 'Israeli nationality' https://www.aljazeer[...]
[40] 웹사이트 Is "Israeli" a Nationality? https://en.idi.org.i[...] 2014-09-01 # Month assumed
[41] 웹사이트 Ornan v. Ministry of the Interior (CA 8573/08) https://versa.cardoz[...]
[42]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of Spain http://www.boe.es/bo[...] Boletín Oficial del Estado 2007-03-20
[43] 서적 Handbook of Citizenship Studies https://books.google[...] SAGEs 2003-01-29
[44] 법원판례 Roger C. S. Lin et al. v. USA http://www.taiwanbas[...]
[45] 웹사이트 ISO 3166-1 alpha-3 codes http://www.twclarify[...]
[46] 뉴스 The controversial plan to give Kuwait's stateless people citizenship of a tiny, poor African island https://www.washingt[...] 2016-05-17
[47] 뉴스 The bizarre scheme to transform a remote island into the new Dubai https://www.theguard[...] 2015-11-11
[48] 웹사이트 Statelessness http://www.stateless[...]
[49] 웹사이트 UN Conventions on Statelessness https://www.unhcr.or[...]
[50] 웹사이트 Citizenship & Nationality https://ijrcenter.or[...] 2012-11-15
[51] 웹사이트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Stateless Persons https://www.unhcr.or[...]
[52] 뉴스 Gender-Discriminatory Nationality Laws http://equalnational[...] Equal Nationality Rights
[53] 뉴스 Background Note on Gender Equality, Nationality Laws and Statelessness http://www.refworld.[...] 2017-03-08
[54] 웹사이트 Citizenship https://assets.pewre[...] 2014-08-05
[55] 법률 Citizenship Act
[56] 법률 Immigration & Refugee Protection Act
[57] 학술지 The Political Rights of Mexican Migrants: Nationality and Citizenship in Mexico 2013-12-01
[58] 법률 United States Code, Title 8 (Aliens and Nationality), Chapter 12 (Immigration and Nationality), Part I (Nationality at Birth and Collective Naturalization), §1401 (Nationals and Citizens of United States at Birth)
[59]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Citizen Of Belize https://belize.com/r[...]
[60] 웹사이트 Costa Rica Citizenship / Naturalization https://outlierlegal[...]
[61] 웹사이트 The Legal Atlas for Street Children https://www.streetch[...]
[62] 웹사이트 Constitución Politica De La Republica De Honduras De 1982 https://honduras.jus[...]
[63] 웹사이트 Armenian citizenship by marriage https://www.ilex.am/[...]
[64] 웹사이트 Section 5 (1) (c) of the Citizenship Act, 1955 if the spouse has resided in India for a continuous period of Seven Years https://www.indiacod[...]
[65] 뉴스 Iran: Parliament OKs Nationality Law Reform https://www.hrw.org/[...] 2019-05-14
[66] 뉴스 Victory for Iran's Women as Breakthrough Citizenship Law Is Passed https://www.bloomber[...] 2019-10-02
[67] 뉴스 Iran women married to foreigners can pass citizenship to children https://www.aljazeer[...] 2019-10-02
[68] 웹사이트 How to get Russian citizenship by marriage https://www.vorotago[...]
[69] 뉴스 'This will change our lives': Emirati mothers rejoice as children granted citizenship https://www.thenatio[...] 2019-05-28
[70] 웹사이트 Becoming a German citizen by birth https://www.bmi.bund[...]
[71] 웹사이트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Community https://www.bmi.bund[...] 2022-06-23
[72] 웹사이트 Ukrainian citizenship by marriage – Ukrainian immigration bureau https://immigrationu[...] 2021-03-25
[73] 서적 現代国際法講義 江草貞治
[74] 서적 憲法学III人権各論(1)増補版 有斐閣
[75] 웹사이트 https://www.planalto[...]
[76] 웹사이트 표준국어대사전 www.korean.go.kr
[77] 웹사이트 표준국어대사전
[78] 웹사이트 복수국적자
[79] 뉴스 '원정출산'으로 복수국적자, 국내 외국인학교 못다닌다 http://segye.com/Art[...] 세계일보 2009-05-21
[80] 뉴스 ‘나는 대한민국 외교관, 내 자녀는 미국 시민으로?’...복수국적자 130명, 90%는 미국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3-10-10
[81] 뉴스 박한철 "국적법 헌소 요건 갖추면 심도있게 심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