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드 오브 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 오브 워는 1988년 쿠르드족 봉기를 취재하던 종군 사진기자 마크가 겪는 전쟁의 비극과 트라우마를 다룬 영화이다. 마크는 동료 데이비드와 함께 쿠르디스탄으로 갔다가 데이비드의 죽음을 목격하고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는다. 귀국 후, 아내 엘레나와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 호아킨의 도움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에 직면하고, 데이비드를 잃은 죄책감을 극복하려 한다. 영화는 전쟁의 참혹함, 트라우마, 그리고 진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오직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라는 인용구로 마무리된다. 영화는 아일랜드와 스페인에서 촬영되었으며, 비평가들 사이에서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전 영화 - 콰이강의 다리
    데이비드 린 감독의 영화 《콰이강의 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콰이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다리 폭파를 시도하는 특공대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다룬다.
  • 반전 영화 - 조조 래빗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 점령하 독일에서 나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장하는 10살 소년 조조 베츨러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 《조조 래빗》은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 연출, 로만 그리핀 데이비스, 토마신 매켄지, 스칼릿 조핸슨, 샘 록웰 등이 출연했으며, 나치즘과 전쟁의 잔혹함을 풍자와 유머로 묘사하면서 인간애와 희망을 전달하여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 아일랜드의 드라마 영화 - 비커밍 제인
    《비커밍 제인》은 제인 오스틴과 토마스 레프로이의 사랑을 그린 2007년 영화로, 오스틴의 생애와 작품을 연결하여 소설 《오만과 편견》의 등장인물과 주제를 보여준다.
  • 아일랜드의 드라마 영화 - 테일러 오브 파나마
    존 르 카레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테일러 오브 파나마》는 파나마로 좌천된 MI6 요원이 재단사를 이용해 정보를 얻으려다 벌어지는 이야기를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피어스 브로스넌, 제프리 러쉬 등이 출연했다.
  • 벨기에의 드라마 영화 - 미스터 노바디
    미스터 노바디는 2092년 마지막 인간인 네모 노바디가 최면을 통해 기억하는 9세, 15세, 34세의 삶을 교차하며 부모의 이혼, 세 여자와의 관계를 통해 무한한 삶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 벨기에의 드라마 영화 - 더 룸 (2019년 영화)
    아이를 원하는 부부가 소원을 들어주는 방을 발견하며 욕망의 위험성과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다루는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합작 영화 《더 룸》은 올가 쿠릴렌코, 케빈 얀센스 등이 출연했고 평론가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앤드 오브 워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트리아지' 포스터
영화 '트리아지' 포스터
감독다니스 타노비치
제작자마르크 바셰트
각본가다니스 타노비치
출연콜린 파렐
파스 베가
크리스토퍼 리
브란코 Đurić
배급사Parallel Films
한웨이 필름스
E1 엔터테인먼트
개봉일2009년 11월 9일
음악루치오 고도이
상영 시간100분
제작 국가아일랜드
프랑스
스페인
사용 언어영어
쿠르드어
스페인어
흥행 수익558,451 달러
추가 정보
원작스콧 앤더슨의 소설 『선별(Triage)』
촬영시머스 디지
편집프란체스카 칼벨리
가레스 영
미술데릭 월레스
마이클 히긴스
의상/분장로나 마리 뮤간
세실리아 에스코트
수자나 산체스
캐스팅니나 골드
관련 영화제토론토 국제 영화제 (2009년 9월 12일)

2. 줄거리

1988년, 종군 사진기자 마크와 데이빗은 쿠르드족 봉기를 취재하기 위해 쿠르디스탄으로 간다. 전쟁의 참상에 지친 데이빗은 임신한 아내를 보기 위해 먼저 귀국하고, 마크는 며칠 더 남아 취재를 이어간다. 일주일 후, 마크는 심각한 부상을 입고 집으로 돌아오지만, 먼저 떠난 데이빗은 아직 돌아오지 않은 상태였다. 마크는 회복이 더디고 이상 행동을 보이며, 그의 아내 엘레나는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 호아킨에게 도움을 청한다.[3]

호아킨은 끈기 있게 마크의 상담을 진행하고, 마크는 숨겨왔던 끔찍한 진실을 털어놓게 된다. 회상 장면에서 마크는 데이비드가 먼저 떠나기로 했을 때 그를 따라갔으며, 쿠르드족 캠프로 돌아가는 길에 포격을 받아 데이비드가 두 다리를 잃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마크는 데이비드를 구하려 했지만, 결국 그를 놓아줄 수밖에 없었다.[3]

마크는 데이비드를 집에 데려오지 못한 죄책감에 괴로워하며 옥상에서 뛰어내리려 하지만, 엘레나와 호아킨의 설득으로 마음을 다잡는다. 영화는 플라톤의 인용구(Only the dead have seen the end of war.|오직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보았다.영어)[3]로 끝을 맺는다.

3. 등장인물

배역배우
마크 월시콜린 파렐
엘레나 모랄레스파즈 베가
호아킨 모랄레스크리스토퍼 리
데이비드제이미 시브스
다이앤켈리 라일리
에이미줄리엣 스티븐슨
탈자니 박사브랑코 듀리치
베이루트 소년리스 리치
허스바치 박사닉 터닝
이반이안 맥엘히니


3. 1. 주요 인물


  • 콜린 파렐 - 마크 월시 역: 종군 사진기자. 전쟁의 참상을 목격하고 깊은 트라우마를 겪는다.
  • 파즈 베가 - 엘레나 모랄레스 역: 마크의 아내. 마크의 변화에 불안해하며 그를 돕기 위해 노력한다.
  • 크리스토퍼 리 - 호아킨 모랄레스 역: 엘레나의 할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마크의 상담을 통해 그의 내면의 상처를 드러낸다. 과거 스페인 내전 당시 프랑코 군인들을 도왔던 전력이 있으며, 엘레나는 이 때문에 그를 용서하지 못한다.
  • 제이미 시브스 - 데이비드 역: 마크의 동료 사진기자. 쿠르드족 봉기 취재 중 다리를 잃는 사고를 당한다.[3]
  • 켈리 라일리 - 다이앤 역: 데이비드의 아내.
  • 줄리엣 스티븐슨 - 에이미 역: 마크와 데이비드의 편집장.
  • 브랑코 듀리치 - 탈자니 박사 역: 쿠르드족 의사.

3. 2. 조연

4. 영화 속 주요 사건

1988년 봄, 종군 사진 기자이자 오랜 친구 사이인 마크와 데이빗은 쿠르디스탄으로 가서 전쟁 취재를 한다. 종군 생활에 지친 데이빗은 임신한 아내가 있는 고국으로 먼저 돌아가고, 마크는 며칠 더 남아 전쟁의 참상을 카메라에 담는다.




쿠르드족 캠프로 돌아가던 중 포격을 당하고 이로 인해 데이빗은 두 다리를 잃게 된다. 마크는 데이빗을 구하려고 노력하지만, 결국 데이빗을 잃는다. 이 사건은 마크에게 큰 트라우마를 남긴다.[3]




데이빗의 죽음과 전쟁의 참혹함은 마크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마크는 죄책감과 고통 속에서 진실을 외면하려 하지만, 결국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 호아킨의 상담을 통해 이를 마주하고 극복하려 노력한다.

5. 영화의 상징과 주제

영화는 종군 사진기자 마크와 데이빗의 이야기를 다룬다. 1988년 쿠르디스탄에서 전쟁 취재 중, 데이빗은 먼저 귀국하고 마크는 며칠 더 머무른다. 마크는 심한 부상을 입고 귀가하지만, 데이빗은 돌아오지 않는다. 마크는 이상 행동을 보이고, 아내 엘레나는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에게 상담을 부탁한다. 상담을 통해 마크는 전쟁의 참상과 내면의 상처를 드러낸다.[3]

회상 장면에서 데이비드가 먼저 떠나기로 했을 때 마크도 함께 귀국길에 올랐으나, 포격으로 데이비드가 두 다리를 잃고 마크는 그를 구하려다 결국 놓아주게 된다.[3]

영화는 진실을 마주하고 고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언론인으로서 진실 보도 책임감과 개인적 고뇌, 갈등을 보여주며, 진실을 밝히는 용기와 그 무게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한다.[3]

영화는 플라톤의 인용구 "오직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로 끝맺는다.[3]

5. 1. 전쟁의 비극성

마크와 데이빗은 종군 사진 기자로 오랜 친구 사이다. 1988년 봄, 쿠르디스탄으로 간 그들은 전쟁의 참상을 카메라에 담았다. 일주일 후 심한 부상을 입고 집으로 돌아온 마크는 먼저 떠난 데이빗이 아직도 돌아오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회복이 더디고 이상 행동을 보이는 마크는 전쟁이 빚어낸 가슴 아픈 사연과 그의 내면에 숨겨졌던 상처들을 가지고 있었다.




1988년, 사진 기자 마크 월시(콜린 파렐)는 사담 후세인의 쿠르드족 탄압을 취재하기 위해 아내 엘레나(파즈 베가)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동료 사진작가 데이비드(제이미 시브스)와 함께 전쟁터로 향한다. 마크는 잔혹하게 부상당한 군인들과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그들을 쏴 죽이는 의사의 사진을 찍는 등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다. 이후 마크는 부상당한 모습으로 발견되고, 데이비드와 헤어진 후 혼자 집으로 돌아온다.




회상 장면에서 마크는 데이비드가 먼저 떠나기로 결심했을 때 그를 따라갔다는 것이 드러난다. 쿠르드족 캠프로 돌아가는 길에 포격을 받았고, 그 결과 데이비드는 두 다리를 잃었다. 마크는 그를 데리고 돌아가려고 했지만, 결국 데이비드를 놓아주게 된다.




영화는 플라톤의 인용구로 끝을 맺는다. "오직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3]

5. 2. 트라우마와 치유

마크와 데이빗은 종군 사진 기자로 오랜 친구 사이다. 1988년 봄, 쿠르디스탄에서 전쟁 취재 중, 종군 생활에 지친 데이빗은 먼저 귀국하고 마크는 며칠 더 남아 전쟁의 참상을 기록한다. 일주일 후, 마크는 심한 부상을 입고 귀가하지만, 데이빗은 돌아오지 않은 상태였다. 마크는 회복이 더디고 이상 행동을 보였으며, 걱정된 아내 엘레나는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에게 상담을 부탁한다. 상담을 통해 마크의 냉철하고 냉소적인 성격 뒤에 숨겨진 전쟁의 참상과 내면의 상처가 드러난다.[3]

마크의 아내 엘레나는 그가 트라우마를 겪은 원인에 대해 털어놓지 못하자, 베테랑 정신분석가이자 군 경력이 있는 할아버지 호아킨에게 도움을 청한다. 호아킨은 끈기 있게 마크가 자신의 기억과 마주하도록 돕는다. 특히 호아킨은 마크가 생존이나 죽음보다 시신을 가족에게 돌려보내는 데 더 관심을 갖는 이유에 주목한다. 마크가 데이비드와 함께 있었던 지역을 그리는 동안, 데이비드의 임신한 아내 다이앤과 엘레나가 찾아오고, 호아킨은 마크에게 진실을 털어놓으라고 조언한다.[3]

회상 장면에서 마크는 데이비드가 먼저 떠나기로 했을 때 함께 귀국길에 올랐으나, 포격으로 데이비드가 두 다리를 잃었고, 마크는 그를 구하려 했음이 밝혀진다. 다이앤은 산통을 겪고 병원으로 옮겨져 딸을 출산한다. 마크는 '이야기의 결말'을 말하지 못한 채 옥상에서 뛰어내리려 하지만, 호아킨과 엘레나가 그를 찾아온다. 마크는 눈물을 흘리며 데이비드를 강물에 놓아줄 수밖에 없었던 상황과 죄책감을 고백하고, 엘레나는 그를 안아준다.[3]

5. 3. 진실의 중요성

마크는 전쟁의 참상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쿠르디스탄에 갔다가 심한 부상을 입고 돌아온다. 그는 함께 갔던 친구 데이빗의 실종과 더불어, 전쟁터에서 겪었던 끔찍한 경험으로 인해 깊은 트라우마를 겪는다.[3]

마크의 아내 엘레나는 그의 회복을 돕기 위해 정신과 의사인 할아버지 호아킨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호아킨은 끈기 있는 상담을 통해 마크가 숨겨왔던 진실을 마주하도록 돕는다. 마크는 결국 데이빗이 포격으로 두 다리를 잃었고, 그를 구하려다 결국 놓아줄 수밖에 없었던 고통스러운 진실을 고백한다.[3]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화는 진실을 마주하고 고백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특히 언론인으로서 진실을 보도해야 하는 책임감과, 그 과정에서 겪는 개인적인 고뇌와 갈등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전쟁 영화를 넘어, 진실을 밝히는 용기와 그 무게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한다.[3]

영화는 언론의 역할과 책임, 그리고 진실을 밝히는 용기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특히 한국 사회의 과거사 문제와 연결되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6. 촬영 장소

영화는 4월부터 6월까지 아일랜드와 스페인 알리칸테의 Ciudad de la Luz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2]

7. 평가

미하엘 레히트샤펜은 ''할리우드 리포터''에서 "타노비치는 강력한 시각적 표현에 대한 부인할 수 없는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스콧 앤더슨의 소설을 각색한 이 영화는 지나치게 쓴 대본으로 인해 덜 확신에 차 있으며, 이는 뻔한 내용에 대해 계속해서 언급하고 있다"라며 부정적인 평론을 했다.[4]

8. 인용문

"오직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3] 이 인용구는 플라톤의 저작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의 1922년 저작에서 처음 등장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Triage https://www.boxoffic[...] 2021-01-01
[2] 뉴스 Colin Farrell set for Tanovic's 'Triage' https://variety.com/[...] Variety 2009-03-20
[3] 서적 Oxford Essential Quotations
[4] 웹사이트 Triage -- Film Review https://www.hollywoo[...] 2017-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