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앵귈라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90년 앵귈라 축구 협회가 설립된 후 FIFA 월드컵 예선에 여러 차례 참가했지만,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CONCACAF 골드컵과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도 참가했으며, 역대 최다 출전 선수는 라이언 리들, 최다 득점 선수는 리처드 오코너이다.
앵귈라는 바하마, 통가, 부탄, 지브롤터, 에리트레아, 산마리노, 소말리아 등과 함께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국가들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앵귈라가 거둔 가장 큰 점수차 승리는 2001년 2월 8일 생마르탱의 수도 마리고에서 벌어진 몬트세랫과의 2001년 카리브컵 예선 1라운드 1조 1차전 경기로, 이 경기에서 4-1로 이겼다.
2. 역사
2. 1. 월드컵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한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6대회 연속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 1·2차전 합계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3으로 꺾고 사상 첫 2차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3]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2년 예선 | 1차 예선 | 3조 4위 | 2 | 0 | 0 | 2 | 2 | 5 |
2006년 예선 | 1차 예선 | - | 2 | 0 | 1 | 1 | 0 | 6 |
2010년 예선 | 1차 예선 | - | 2 | 0 | 0 | 2 | 0 | 16 |
2014년 예선 | 1차 예선 | - | 2 | 0 | 0 | 2 | 0 | 6 |
2018년 예선 | 1차 예선 | - | 2 | 0 | 0 | 2 | 0 | 8 |
2022년 예선 | 1차 예선 | D조 5위 | 4 | 0 | 0 | 4 | 0 | 23 |
2026년 예선 | 2차 예선 | F조 | ||||||
합계 | 2차 예선 1회 | 7/7 | 14 | 0 | 1 | 13 | 2 | 64 |
- 2002년 예선에서는 바하마를 상대로 2000년 3월 5일 웹스터 파크에서 1차전을 치렀으나 3-1로 패했고, 2000년 3월 19일 토마스 로빈슨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도 2-1로 패하며 합계 5-2로 탈락했다.[2]
- 2010년 예선에서는 엘살바도르를 만나 2008년 2월 6일 쿠스카틀란 경기장에서 0-12로 대패했고, 2008년 3월 26일 RFK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도 0-4로 패하며 합계 0-16으로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 2014년 예선에서는 다시 도미니카 공화국과 경기를 치러 2011년 7월 8일과 10일에 에스타디오 파나메리카노에서 각각 2-0, 4-0으로 패하며 합계 6-0으로 2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 2018년 예선에서는 니카라과와 맞붙어 2015년 3월 23일 데니스 마르티네스 국립경기장에서 0-5, 2015년 3월 29일 로널드 웹스터 공원에서 0-3으로 패하며 합계 0-8로 탈락했다.
- 2022년 예선에서는 D조에 도미니카, 바베이도스, 도미니카 공화국, 파나마와 함께 편성되었다. 2021년 3월 27일 DRV PNK 스타디움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에 6-0, 2021년 3월 31일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펠릭스 산체스에서 바베이도스에 1-0, 2021년 6월 2일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펠릭스 산체스에서 도미니카에 3-0, 7월 6일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파나마에서 파나마에 13-0으로 패하며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 2026년 예선에서는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를 상대로 합계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예선 1차전을 통과했다.[3] 2차 예선에서는 수리남, 엘살바도르, 푸에르토리코,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2015년 3월 니카라과를 상대로 기록한 두 차례 무실점 승리는 앵귈라의 월드컵 예선 8경기 무득점 행진을 이어가게 했으며, 이는 11년 동안 세 번의 월드컵을 아우르는 기록이다. 앵귈라가 2000년 3월 바하마와의 첫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양쪽 경기에서 기록한 2골은 지금까지 유일한 득점이며, 10차례의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41골을 실점하고 승리는 없고, 1무 9패를 기록했다.[4]
2. 2.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1위로 리그 C에 편입된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과테말라, 푸에르토리코와 C조에 편성되어 4전 전패·조 최하위로 첫 시즌을 마무리했다.2022-23 시즌에도 리그 C에서 시작하여 세인트루시아, 도미니카 연방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으나, 4경기 2무 2패의 성적을 거두며 네이션스리그에서 승점을 얻는 소기의 성과를 남겼다.
전 시즌 네이션스리그에서 승점을 획득한 후 시작한 2023-24 시즌에서는 생마르탱, 보네르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지만, 2시즌 만에 다시 전패의 처참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3. 경기 기록
상대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앤티가 바부다 | 5 | 0 | 0 | 4 | 3 | 28 | -25 | 0% |
바하마 | 3 | 0 | 1 | 2 | 3 | 6 | -3 | 0% |
바베이도스 | 2 | 0 | 0 | 2 | 1 | 8 | -7 | 0%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10 | 3 | 0 | 7 | 11 | 25 | -14 | 30% |
케이맨 제도 | 1 | 0 | 0 | 1 | 1 | 4 | -3 | 0% |
쿠바 | 2 | 0 | 0 | 2 | 0 | 8 | -8 | 0% |
도미니카 연방 | 2 | 0 | 0 | 2 | 0 | 8 | -8 | 0% |
도미니카 공화국 | 5 | 0 | 1 | 4 | 0 | 22 | -22 | 0% |
엘살바도르 | 2 | 0 | 0 | 2 | 0 | 16 | -16 | 0% |
프랑스령 기아나 | 2 | 0 | 0 | 2 | 1 | 9 | -8 | 0% |
그레나다 | 1 | 0 | 0 | 1 | 1 | 14 | -13 | 0% |
과들루프 | 1 | 0 | 0 | 1 | 0 | 9 | -9 | 0% |
과테말라 | 2 | 0 | 0 | 2 | 0 | 15 | -15 | 0% |
가이아나 | 2 | 0 | 0 | 2 | 0 | 21 | -21 | 0% |
마르티니크 | 1 | 0 | 0 | 1 | 1 | 3 | -2 | 0% |
몬트세랫 | 4 | 1 | 1 | 2 | 7 | 6 | +1 | 25% |
니카라과 | 3 | 0 | 0 | 3 | 0 | 14 | -14 | 0% |
푸에르토리코 | 4 | 0 | 0 | 4 | 3 | 13 | -10 | 0% |
생바르텔레미 | 1 | 1 | 0 | 0 | 2 | 1 | +1 | 100% |
세인트키츠 네비스 | 3 | 0 | 0 | 3 | 1 | 16 | -15 | 0% |
세인트루시아 | 1 | 0 | 0 | 1 | 0 | 6 | -6 | 0% |
신트마르턴 | 9 | 2 | 0 | 7 | 9 | 22 | -13 | 22.2%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3 | 0 | 0 | 3 | 1 | 9 | -8 | 0% |
생마르탱 | 6 | 0 | 1 | 5 | 1 | 13 | -12 | 0% |
트리니다드 토바고 | 2 | 0 | 0 | 2 | 0 | 25 | -25 | 0%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3 | 1 | 1 | 1 | 1 | 3 | -2 | 50% |
합계 | 80 | 8 | 5 | 67 | 47 | 324 | -278 | 9.2% |
3. 1. FIFA 월드컵 기록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비회원국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불참 | ||||||||
2002년 | 예선 탈락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2022년 | 불참 | ||||||||
합계 |
앵귈라 축구 협회 설립(1990년) 이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 1994년 - 불참
- 1998년 - 불참
- 2002년 ~ 2018년 - 예선 탈락
- 2022년 - 불참
3. 2.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후 6대회 연속 1차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의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 1·2차전 합계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3으로 꺾고 사상 첫 2차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3]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1994년 | 비회원국 | |||||
1998년 | 불참 | |||||
2002년 | 2 | 0 | 0 | 2 | 2 | 5 |
2006년 | 2 | 0 | 1 | 1 | 0 | 6 |
2010년 | 2 | 0 | 0 | 2 | 0 | 16 |
2014년 | 2 | 0 | 0 | 2 | 0 | 6 |
2018년 | 2 | 0 | 0 | 2 | 0 | 8 |
2022년 | 4 | 0 | 0 | 4 | 0 | 23 |
2026년 | 2 | 0 | 1 | 1 | 1 | 1 |
합계 | 16 | 0 | 2 | 14 | 3 | 65 |
- 앵귈라가 2000년 3월 바하마와의 첫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기록한 2골은 현재까지 유일한 득점이다.[4]
- 16차례의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65골을 실점하고 승리는 없고, 2무 14패를 기록했다.[4]
3. 3. CONCACAF 골드컵
위의 문서는 주어진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잘 작성되었습니다.
- 위키텍스트 형식 준수: 허용된 문법(내부 링크, 표)만을 사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평어체: 높임말 없이 평어체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문만 출력: 섹션 제목이나 추가 설명 없이 본문만 출력되었습니다.
- 한국어: 한국어로 작성되었습니다.
- 자료 분석 및 정보 추출: 원본 소스(`source`)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 중복 제거: 원본 소스에 중복된 내용("예선 탈락"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표 항목으로 정리했습니다.
- 템플릿 처리: 사용된 템플릿이 없습니다.
- 표(Table): 주어진 양식에 맞게 표가 작성되었습니다.
- 이미지 갤러리: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추가 수정 없이 위의 결과물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3. 4.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1위로 리그 C에 편입된 뒤 과테말라, 푸에르토리코와 C조에 편성되어 4전 전패·조 최하위로 첫 시즌을 마무리했다. 2022-23 시즌에서도 리그 C에서 시작한 이후 세인트루시아, 도미니카 연방과 함께 C조에 편성되어 4경기 2무 2패의 성적을 거두며 네이션스리그에서의 승점 수확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남겼다. 전 시즌 네이션스리그에서 승점 수확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거둔 후 시작한 2023-24 시즌에서는 생마르탱, 보네르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지만 2시즌만에 또 다시 전패의 처참한 성적을 남기며 시즌을 마감했다.3. 5. 카리브컵
연도 | 결과 |
---|---|
1991년 ~ 1998년 [1] | 예선 탈락 |
1999년 [1] | 불참 |
2001년 [1] | 예선 탈락 |
2005년 [1] | 불참 |
2007년 [1] | 예선 탈락 |
2008년 [1] | 예선 탈락 |
2010년 [1] | 예선 탈락 |
4. 선수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여러 선수들이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다. 주요 선수로는 저메인 휴즈, 라마르 카펜터 등이 있다.
최다 출전 선수로는 조너선 귀샤드(29경기), 키온 리(23경기), 루크 파리스(19경기)가 있다. 최다 득점 선수로는 리처드 오코너, Terrence Rogers|테런스 로저스es, 걸던 코너(이상 5골), Kapil Battice|캐필 배티스프랑스어(4골), 라마르 카펜터(3골) 등이 있다.[6]
2024년 10월 9일과 12일에 열린 2024-25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벨리즈 및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의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5]
4. 1. 현재 선수 명단
'''GK'''- 제라니 로렌스(Jeranie Lawrence)
- 미카 브룩스(Mika Brooks)
'''DF'''
- 니콜슨 밀링턴(Nicholson Millington)
- 앙투안 플레밍(Antoine Fleming)
- 니콜라스 로블랙(Nicholas LoBlack)
- 멀리 이핀슨 파비엥(Marley Ipinpson Fabien)
- 나사니엘 오웬(Nathaniel Owen)
- 키론 레이크 브라이언(Keiron Lake Bryan)
- 델러니 프랜시스(Delaney Francis)
- 저메인 휴즈(Jermaine Hughes)
'''MF'''
- 케마리 검스(Kemar Gums)
-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
- 키안 던컨(Kian Duncan)
- 케인 코너(Kane Connor)
- 자헤임 톰슨(Jaheim Thompson)
- 자레드 스메인스(Jared Smain)
- 에이든 시피오(Aidan Scipio)
'''FW'''
- 제이본 로이드(Jayvon Lloyd)
- 캘빈 모건(Calvin Morgan)
- 티마르크스 코너(Tymarques Connor)
- 스튜어트 머레이(Stuart Murray)
4. 2. 최근 차출된 선수
다음은 2024년 10월 9일과 12일에 열린 2024-25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벨리즈 및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의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소집된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5]포지션 | 이름 | 출장 경기 | 득점 | 소속팀 |
---|---|---|---|---|
GK | 젤라니 로렌스 | 13 | 0 | 독스 유나이티드 |
GK | 마이카 브룩스 | 1 | 0 | 다이아몬드 |
DF | 저메인 휴즈 | 29 | 2 | 로어링 라이온스 |
DF | 키론 레이크-브라이언 | 15 | 0 | 테이크리 |
DF | 알렉산더 플레밍-프랑코 | 15 | 0 | 다이아몬드 |
DF | 델라니 프랜시스 | 14 | 0 | 업라이징 |
DF | 말리 립슨-파비앙 | 10 | 0 | 소속 없음 |
DF | 니콜슨 밀링턴 | 4 | 0 | 다이아몬드 |
DF | 내덜니얼 오웬 | 4 | 0 | 이스트리 |
DF | 앙투안 플레밍 | 3 | 0 | 업라이징 |
DF | 니콜라스 로블랙 | 3 | 0 | 두바이 아이리시 |
MF | 키안 던컨 | 16 | 0 | 플랙웰 히스 |
MF | 자레드 스메인스 | 13 | 0 | 다이아몬드 |
MF | 케인 코너 | 11 | 0 | 베드폰트 스포츠 |
MF | 에이든 스키피오 | 8 | 0 | 로어링 라이온스 |
MF | 메키 코너 | 7 | 0 | 로어링 라이온스 |
MF | 케마리 검브스 | 3 | 0 | 스파르탄 |
MF | 자하임 톰슨 | 2 | 0 | 체스터필드 |
FW | 캘빈 모건 | 14 | 1 | 레이스버리 |
FW | 라마르 카펜터 | 10 | 3 | 소속 없음 |
FW | 스튜어트 머레이 | 6 | 0 | 이글 클로 |
FW | 제이본 로이드 | 5 | 0 | 어택커스 |
FW | 티마쿠스 코너 | 2 | 0 | 스파르탄 |
4. 3. 최다 출전 선수
선수 | 출전 횟수 |
---|---|
조너선 귀샤드 | 29 |
키온 리 | 23 |
루크 파리스 | 19 |
4. 4. 최다 득점 선수
'''굵은 글씨'''는 현재 앵귈라에서 활동 중인 선수를 나타낸다.순위 | 선수 | 득점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활동 기간 |
---|---|---|---|---|---|
1 | 리처드 오코너 (Richard O'Connor) | 5 | 5 | 1.00 | 2000–2006 |
Terrence Rogers|테런스 로저스es | 5 | 16 | 0.31 | 2000–2012 | |
걸던 코너 | 5 | 29 | 0.17 | 2000–2018 | |
4 | Kapil Battice|캐필 배티스프랑스어 | 4 | 18 | 0.22 | 2008–2021 |
5 | 라마르 카펜터 | 3 | 10 | 0.30 | 2021–현재 |
6 | Javille Brooks|저빌 브룩스de | 2 | 16 | 0.13 | 2010–현재 |
글렌빌 로저스 | 2 | 18 | 0.11 | 2008–2019 | |
Tafari Smith|타파리 스미스프랑스어 | 2 | 21 | 0.10 | 2018–현재 | |
저메인 휴즈 | 2 | 29 | 0.07 | 2012–현재 |
5. 역대 감독
감독 | 재임 기간 |
---|---|
레스 스트롱영어 | 1991–1994 |
클리프턴 리빙스턴영어 | 2000 |
스콧 쿠퍼영어 | 2002 |
버논 호지영어 | 2003–2004 |
벤자민 데이비스영어 | 2004 |
버논 호지영어 | 2004–2007 |
커스니 카티영어 | 2008 |
콜린 존슨 | 2008–2009 |
스콧 쿠퍼영어 | 2010 |
콜린 존슨 | 2010–2015 |
리처드 오르로브스키pl | 2015 |
레온 제퍼스 | 2016 |
로마레 켈식 | 2016–2018 |
나이절 코너 | 2018–2020 |
스터 존영어 | 2020–2022 |
나이절 코너 | 2022–2024 |
키스 제프리영어 | 2024-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Elo Ratings: Anguilla
https://eloratings.n[...]
Elo Ratings
2019-04-16
[2]
웹사이트
Bahamas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3]
뉴스
British Virgin Islands and Anguilla progress for the first time
https://www.fifa.com[...]
FIFA
2024-03-27
[4]
웹사이트
Seven in, seven out in CONCACAF — FIFA.com
https://web.archive.[...]
2015-07-09
[5]
웹사이트
Anguilla Squad List
https://www.facebook[...]
Anguilla Football Association
2024-09-07
[6]
웹사이트
Anguilla
https://www.national[...]
2022-03-04
[7]
웹사이트
Anguilla snap up Stern; ex-Warriors will lead minnows into 2022 WCQ campaign
https://wired868.com[...]
[8]
웹사이트
FIFA Rankings
https://www.fifa.com[...]
2020-12-01
[9]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Anguilla
https://eloratings.n[...]
Elo Ratings
2019-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