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을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36년 국제 경기를 시작했다. 1960~70년대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으며, 1979년과 1981년 CFU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CONCACAF 골드컵에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2019-20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에서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진출을 확정했다. 최다 출장 선수는 코넬리우스 스튜어트이며, 최다 득점 선수는 샨델 사무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정식 명칭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빈시 히트
협회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연맹
연맹CONCACAF (북아메리카)
하위 연맹CFU (카리브)
감독에즈라 헨드릭슨
주장코넬리우스 스튜어트
최다 출장 선수코넬리우스 스튜어트 (70)
최다 득점 선수셴들 새뮤얼 (32)
홈 경기장아노스 베일 스타디움
FIFA 코드VIN
FIFA 최고 랭킹73위
FIFA 최고 랭킹 날짜2007년 10월
FIFA 최저 랭킹180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7년 1월, 2018년 12월 – 2019년 2월
Elo 최고 랭킹104위
Elo 최고 랭킹 날짜2007년 1월 14일
Elo 최저 랭킹182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8년 11월
유니폼
홈 유니폼pattern_la1:
pattern_b1: _SVN_h22
pattern_ra1:
pattern_sh1: _shorts
pattern_so1: _socks
leftarm1: FFC90E
body1: FFC90E
rightarm1: FFC90E
shorts1: FFC90E
socks1: FFC90E
원정 유니폼pattern_la2:
pattern_b2: _SVN_a22
pattern_ra2:
pattern_sh2: _shorts
pattern_so2: _socks
leftarm2: 0000B8
body2: 0000B8
rightarm2: 0000B8
shorts2: 0000B8
socks2: 0000B8
첫 경기
첫 경기1–1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1936년 9월 12일)
최대 점수차 승리0–11 }}
(우들랜드, 몬트세랫; 1995년 5월 7일)
최대 점수차 패배11–0
(멕시코 시티, 멕시코; 1992년 12월 6일)
국제 대회
지역 대회 이름CONCACAF 골드컵
지역 대회 출전 횟수1회
지역 대회 첫 출전1996년
지역 대회 최고 성적조별 리그 (1996년)
지역 대회2 이름카리브컵
지역 대회2 출전 횟수6회
지역 대회2 최고 성적준우승 (1995년)
메달 기록
은메달1979년 수리남
은메달1981년 푸에르토리코
은메달1995년 케이맨 제도 및 자메이카

2. 역사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역사적 사건과 대회 참가 기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초기 역사 (1936-1995)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6년 이웃 나라인 바베이도스와 처음으로 두 차례 국제 경기를 가졌고, 두 경기 모두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여러 차례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 참가했으며, 1965년과 1966년 대회에서는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1979년 CFU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아이티에 밀려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진 1981년 CFU 선수권 대회에서도 결승에 오르는 저력을 보였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아쉽게 뒤져 다시 한번 준우승에 머물렀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처음 열린 1989년 카리브컵 본선 진출권을 따냈는데, 예선 조별 리그에서 신트마르턴을 9-0으로 대파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이며 조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본선 조별 리그에서는 그레나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 이어 조 최하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이후 1992년 카리브컵1993년 카리브컵에서도 연속으로 본선 무대를 밟았지만, 각각 조 최하위와 전체 참가팀 중 뒤에서 두 번째 순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내지는 못했다.

1992년 말, '빈시 히트(Vincy Heat)'라는 별명을 가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처음으로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 1차 예선에서 세인트루시아(합계 3-2)와 수리남(합계 2-1)을 연달아 꺾으며 2차 조별 예선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러나 2차 예선에서는 강팀들과의 격차를 실감하며 6전 전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특히 멕시코 원정 경기에서는 아즈테카 스타디움에서 0-11이라는 큰 점수 차로 패배했는데, 이는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점수 차 패배 기록으로 남아있다.

2. 2. 1996년 CONCACAF 골드컵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1995년 카리브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1996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카리브컵 예선 과정에서 '빈시 히트'라는 별칭을 가진 대표팀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20-0이라는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 1위를 차지했고, 준결승전에서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을 3-2로 꺾었으나, 결승전에서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5-0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참가한 1996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무대에서는 아쉽게도 승점을 얻지 못했다.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5-0으로 패배했고, 이어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에게도 3-0으로 패배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3. 1996년 이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1996년 카리브컵에 다시 진출했지만,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11년 뒤인 2007년 카리브컵 예선에서는 세인트루시아를 8-0으로 크게 이겼는데, 이 경기에서 샨델 사무엘은 5골을 기록했다. 이 성과로 자메이카를 득점 차이로 제치고 본선에 진출했다. 하지만 본선에서는 가이아나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것이 유일한 성과였고, 다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월드컵 예선에서는 꾸준히 도전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1, 2차전 합계 9-1로 꺾고, 세인트 키츠 네비스와는 바세테르 원정에서 2-2로 비기며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그러나 3라운드에서는 온두라스에게 3-11로 대패하는 등 6전 전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00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를 합계 14-1로 대파하고, 세인트 키츠 네비스(4-2), 앤티가 바부다(5-2)를 차례로 이겼다. 하지만 준결승 단계에서는 단 1승도 거두지 못하고 탈락했다. 2006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니카라과를 꺾고 3회 연속 3라운드 진출에 성공했으며, 이 단계에서 세인트 키츠 네비스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조 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0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캐나다에게 합계 1-7로 패배하며 처음으로 2차 예선에서 탈락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그레나다를 상대로 1승을 거두었으나, 과테말라에 크게 뒤져 탈락했다. 201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가이아나와 합계 6-6으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으로 승리하고, 아루바를 합계 3-2로 꺾으며 4라운드 조별 리그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조별 리그에서는 과테말라에게 3-9로 패하는 등 6전 전패를 당하며 승점 없이 34골을 실점하고 최하위로 탈락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6년 이웃 나라인 바베이도스와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두 경기 모두 1-1 무승부로 기록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지역 대회인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 여러 차례 참가하여 1965년과 1966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카리브컵의 전신인 CFU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9년과 1981년에 연달아 결선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카리브컵으로 개편된 대회에는 여러 차례 본선에 진출했으며, 특히 1995년 카리브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이 대회 예선에서는 몬트세랫을 상대로 20-0이라는 기록적인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1995년 카리브컵 준우승 자격으로 1996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처음으로 진출했으나, 본선에서는 2전 전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FIFA 월드컵 예선에는 1994년 대회 예선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첫 예선 참가 당시 2라운드를 통과하여 3라운드(조별 예선)에 진출했지만, 멕시코 원정 경기에서 0-11로 대패하는 등 6전 전패로 탈락하며 높은 세계 무대의 벽을 실감했다. 이후 월드컵 예선에는 꾸준히 참가하고 있으나 아직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3. 1. FIFA 월드컵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을 시작으로 꾸준히 예선에 참가하고 있으며,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4차 예선까지 진출한 것이 역대 최고 성적이다.

199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1, 2차전 합계 9-1로 이기고, 세인트 키츠 네비스를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꺾으며 3라운드에 진출했으나, 3라운드에서는 6전 전패로 탈락했다. 2002년 예선에서는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세인트 키츠 네비스, 앤티가 바부다를 차례로 꺾고 준결승 라운드까지 진출했지만, 해당 라운드에서는 승리 없이 탈락했다.

2006년 예선에서는 니카라과를 이기고 3회 연속 3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세인트 키츠 네비스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조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0년 예선에서는 캐나다에게 합계 7-1로 패하며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4년 예선에서는 그레나다를 상대로 1승을 거두었으나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가이아나아루바를 꺾고 4라운드 조별 리그에 진출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4라운드에서는 6전 전패를 당하며 승점 없이 조 최하위로 탈락했고, 특히 과테말라에게 9-3으로 패하는 등 총 34골을 실점했다. 202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1승 3패로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FIFA 월드컵 기록rowspan=28|FIFA 월드컵 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무*득점실점경기 수득점실점
1930 ~ 1978영국의 일부영국의 일부
1982 ~ 1990FIFA 회원국 아님FIFA 회원국 아님
미국 1994예선 탈락10217532
프랑스 1998102261733
대한민국 일본 2002125072429
독일 200683051115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200217
브라질 20146123412
러시아 2018101271542
카타르 20224103316
캐나다 멕시코 미국 2026미정200227
모로코 포르투갈 스페인 2030미정
사우디아라비아 2034
총합0/8641574282193


3. 2. CONCACAF 골드컵

1995년 카리브컵 준우승팀 자격으로 1996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였다. 그러나 이 대회 본선 A조에서 멕시코과테말라를 상대로 각각 0-5, 0-3으로 패배하며 2전 전패,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이후 대회에서는 계속해서 예선에서 탈락하며 본선 무대를 밟지 못하고 있다.

CONCACAF 선수권 대회 & CONCACAF 골드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선수 명단
1963CONCACAF 미가입국
1965
1967
1969
1971
1973
1977
1981
1985
1989불참
1991
1993예선 탈락
1996조별 리그9위200208선수 명단
1998예선 탈락
2000
2002
2003불참
2005예선 탈락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2021
2023
합계조별 리그1/18200208


3. 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인 2019-20 시즌 리그 B에 편입되어 도미니카 연방, 수리남, 니카라과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이 대회에서 3승 2무 1패, 조 2위를 기록하며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이후 2022-23 시즌과 2023-24 시즌에도 리그 B에 참가하였으며, 두 시즌 모두 리그 B에 잔류하였다. 2024-25 시즌에는 리그 B A조에 편성되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시즌디비전그룹조별 리그득실시즌 종료 시 승강결선 결과
경기 수득점실점
2019–20BD632164잔류출전 자격 없음
2022–23BC6024514잔류출전 자격 없음
2023–24BC63031314잔류출전 자격 없음
2024–25BA미정미정
총합1864824320회 진출


3. 4. 카리브컵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카리브컵의 전신인 CFU 선수권 대회 시절부터 참가하여 1979년 대회에서는 결선에 진출해 아이티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고, 1981년 대회에서도 결선에 올랐으나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이어 준우승을 기록했다.

1989년 카리브컵 초대 대회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으며, 1992년 카리브컵1993년 카리브컵 대회에서도 연속으로 본선에 올랐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5년 카리브컵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카리브컵 역대 최고 성적이다. 이 준우승팀 자격으로 1996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1995년 준우승 이후로는 1996년 카리브컵2007년 카리브컵에 조별 리그에 진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예선에서 탈락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카리브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89조별 리그6위201113
1990대회 중단 [3]200225
1991불참
1992조별 리그8위300314
1993조별 리그8위3003410
1994예선 탈락
1995준우승2위53111311
1996조별 리그7위301227
1997예선 탈락
1998
1999
2001
2005
2007조별 리그6위310224
2008예선 탈락
2010
2012
2014
2017
합계준우승 (1회)7/192143142544


4. 선수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0월 10일과 13일에 엘살바도르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 경기에 소집되었다.[1]

''2024년 9월 8일 몬트세랫과의 경기 이후 기준''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 클럽
골키퍼레무스 크리스토퍼1995년 5월 27일210CS 롱게이유
골키퍼조쉬 스토2003년 5월 6일30베퀴아 유나이티드
골키퍼사미르 브리스톨00노스 리워드 프레데터스
수비수케빈 프란시스1994년 1월 21일512시스템 3
수비수자말 요크1991년 10월 9일290시온 힐
수비수나지마 버긴1996년 10월 16일160제벨
수비수트리스탄 마샬2003년 12월 19일90노스 토론토 니트로스
수비수셰브론 맥린1996년 5월 9일60체셤
수비수브랜든 존1995년 1월 5일20마스터스 FA
수비수저스틴 로버트슨2000년 6월 23일20마스터스 FA
수비수조셉 바터00
미드필더디엘 스프링2000년 12월 26일292노스 리워드 프레데터스
미드필더케니자 조셉2000년 8월 10일160레이유
미드필더셔윈 알렉산더1997년 10월 12일130제벨
미드필더스티븐 피에르2005년 5월 21일93제벨
미드필더샤크 아담스1998년 9월 7일00
미드필더트레 크로스비1995년 1월 2일00유니언빌 밀리켄 SC
공격수코넬리우스 스튜어트1989년 10월 7일7124세멘 파당
공격수오알렉스 앤더슨1995년 11월 11일4220노스캐롤라이나
공격수아지뇨 솔로몬1994년 10월 12일427시스템 3 FC
공격수카일 에드워즈1997년 1월 15일284하트퍼드 애슬레틱
공격수오리안 벨록스2004년 10월 28일83VfR 알렌
공격수비션 리차드2003년 6월 1일30라이언 하트 FC


4. 1. 주요 선수


  • 코넬리우스 스튜어트
  • 애지노 솔로먼
  • 체이블 커닝엄
  • 케빈 프랜시스
  • 졸런쇼이 맥도월
  • 네이저 맥버닛
  • 마이런 새뮤얼
  • 웬들 커피

4. 2. 역대 선수


  • 코넬리우스 스튜어트
  • 애지노 솔로먼
  • 체이블 커닝엄
  • 케빈 프랜시스
  • 졸런쇼이 맥도월
  • 네이저 맥버닛
  • 마이런 새뮤얼
  • 웬들 커피[2]
  • Shandel Samuel|섄델 새뮤얼eng
  • Rodney Jack|로드니 잭eng
  • 켄달 벨록스
  • 오말리 올드리지
  • 마론 알렉스 제임스
  • 테빈 슬레이터
  • 코넬리우스 버나드 허긴스

참조

[1] 웹사이트 Vincy Heat https://www.facebook[...] SVG Football Federation
[2] 웹사이트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https://www.national[...]
[3] 문서 Play was suspended when Jamaat al Muslimeen attempted a coup d'état of the Politics of Trinidad and Tobago government of Trinidad and Tobago. The tournament was abandoned altogether after 1990 Atlantic hurricane season#Tropical Storm Arthur Tropical storm Arthur forced the cancellation of the final round of games. Trinidad and Tobago were to meet Martinique in the fi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