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동대성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양동대성헌(良洞對聖軒)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건축물로,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 및 특징:


  • 조선 영조 8년(1732년)에 건립되었으며,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를 지낸 물와(勿窩) 이재직(李在直)이 살던 집입니다.
  • 18세기 중엽 이언적의 후손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이언적이 살았던 종가인 무첨당 옆 높은 언덕에 위치합니다.
  • 대성헌(玳聖軒)이라는 당호는 앞산 성주봉(聖主峰)을 마주 보고 있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 안채, 사랑채, 행랑채 3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지형에 맞춰 남서향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 사랑채는 다른 건물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성헌' 현판이 걸린 대청과 2칸의 사랑방이 있습니다. 사랑채 앞쪽에는 툇마루가 있어 마을을 조망할 수 있습니다.
  • 1998년과 1999년에 걸쳐 보수 정비되었으며, 2000년에는 화장실 보수 공사가, 2001년에는 담장 설치가 이루어졌습니다.

구조:

  • 안채는 ㄱ자형, 사랑채와 행랑채는 일자형이며, 3동의 건물이 모여 전체적으로 튼 ㅁ자형입니다.
  • 안채는 북측 꺽임부에 부엌, 동측으로 안방 2칸, 대청 2칸, 건넌방 1칸, 마루 1칸으로 구성되어 정면이 7칸입니다.
  •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반이며, 문간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입니다.
  • 사랑채와 안채는 막돌바른층쌓기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으며, 납도리를 사용했습니다.
  • 처마는 홑처마이고 맞배지붕이며, 모두 한식기와 집입니다.

추가 정보:

  • 2020년 6월 10일 위키 자료에 따르면, 대성헌은 조선 전기의 학자 이언적(1491-1553)의 11대손인 이능단(1833-1912)이 1850년에 지은 집이라고 합니다.


양동대성헌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양동대성헌
한자 표기良洞對聖軒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83
유형민속문화재
지정 번호34
지정일1982년 2월 24일
관리자이동호
수량3동
좌표36° 00′ 09″ N, 129° 15′ 07″ E
문화재청 링크문화재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