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자 튜링 기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 튜링 기계(QTM)는 고전적인 튜링 기계를 양자역학적으로 일반화한 계산 모델이다. 1980년대 폴 베니오프와 데이비드 도이치에 의해 개념이 제시되었으며, 고전적 튜링 기계의 내부 상태를 힐베르트 공간의 순수 또는 혼합 양자 상태로, 전이 함수를 유니타리 행렬로 대체한다. 이리야마, 오야, 볼로비치는 선형 양자 튜링 기계(LQTM) 모델을 개발했으며, 스코트 아론슨은 사후 선택을 가진 양자 튜링 기계를 정의하여 계산 복잡도 클래스를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튜링 기계 - 튜링 완전
    튜링 완전은 계산 이론에서 시스템이 튜링 기계와 동등한 계산 능력을 갖춰 튜링 기계가 계산할 수 있는 모든 함수를 계산하고 범용 튜링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튜링 동등이라고도 한다.
  • 튜링 기계 -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는 튜링 기계의 확장으로, 주어진 상태에서 여러 개의 가능한 다음 동작을 가질 수 있으며, P-NP 문제와 관련하여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자 튜링 기계
개요
유형계산 모델
고안자데이비드 도이치
고안 날짜1985년
세부 정보
상태양자 상태
헤드 이동인접 셀로 이동
쓰기/읽기양자 쓰기/읽기
결정론적비결정론적
동등성
동등 모델양자 회로
복잡도
관련 복잡도 종류BQP
QMA

2. 역사

폴 베니오프(Paul Benioff)는 1980년에 튜링 기계의 양자역학적 모델을 처음 제시했고,[4] 1982년에는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5] 1985년 데이비드 도이치(David Deutsch)는 양자 게이트가 기존 이진 논리 게이트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음을 제안하며 양자 컴퓨터 개념을 발전시켰다.[6]

이리야마, 오야, 볼로비치는 혼합 상태와 비가역적 전이 함수를 허용하는 선형 양자 튜링 기계(LQTM) 모델을 개발하여 양자 측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7]

스코트 아론슨(Scott Aaronson)은 사후 선택을 가진 양자 튜링 기계를 정의하고, 이 기계에서 다항 시간 내에 계산 가능한 문제 집합(PostBQP)이 고전적인 복잡도 클래스 PP와 같음을 보였다.[8]

3. 양자 튜링 기계 (QTM)

양자 튜링 기계(QTM)는 고전적인 튜링 기계를 양자 유한 오토마톤이 결정적 유한 오토마톤을 일반화하는 것과 같이 일반화한 것이다. 고전적 튜링 기계의 내부 상태는 힐베르트 공간의 순수 상태 또는 혼합 양자 상태로 대체되며, 전이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을 자신에게 매핑하는 일련의 유니타리 행렬로 대체된다.[6]

이는 양자 튜링 기계의 형식적 정의라기보다는 개략적인 설명이며, 양자 측정이 얼마나 자주 수행되는지와 같은 몇몇 중요한 세부 사항들은 모호하게 남겨져 있다.

3. 1. 고전적 튜링 기계와의 비교

고전적 튜링 기계는 7-튜플 M = \langle Q, \Gamma, b, \Sigma, \delta, q_0, F \rangle로 설명된다.[6] 3-테이프 양자 튜링 기계(입력, 중간 계산 결과, 출력을 저장하는 테이프 각각 1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6]

  • 상태 집합 Q힐베르트 공간으로 대체된다.
  • 테이프 알파벳 기호 \Gamma 역시 힐베르트 공간(일반적으로 상태 집합과는 다른 힐베르트 공간)으로 대체된다.
  • 빈 기호 b \in \Gamma는 힐베르트 공간의 요소이다.
  • 입력 및 출력 기호 \Sigma는 일반적으로 고전적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이산 집합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양자 기계의 입력이나 출력은 양자 시스템 자체가 될 필요가 없다.
  • 전이 함수 \delta : \Sigma \times Q \otimes \Gamma \to \Sigma \times Q \otimes \Gamma \times \{L, R\}는 전이 모노이드의 일반화이며, 힐베르트 공간 Q자기 동형 사상인 일련의 유니타리 행렬로 이해된다.
  • 초기 상태 q_0 \in Q는 혼합 양자 상태 또는 순수 상태일 수 있다.
  • '최종' 또는 '수용 상태' 집합 F는 힐베르트 공간 Q의 부분 공간이다.

3. 2. 양자 측정

양자 측정이 얼마나 자주 수행되는지에 대한 문제는 출력 테이프에 대한 쓰기가 정의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측정-1회 양자 유한 오토마톤과 다중 측정 양자 유한 오토마톤의 차이를 들 수 있다.[6]

4. 관련 연구 및 기술

폴 베니오프는 1980년과 1982년에 튜링 기계의 양자 역학적 모델을 설명하는 논문을 최초로 발표했다.[4][5] 1985년 데이비드 도이치는 양자 게이트가 기존의 디지털 컴퓨팅 이진 논리 게이트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양자 컴퓨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켰다.[6]

이리야마, 오야, 볼로비치는 선형 양자 튜링 기계(LQTM) 모델을 개발했다. 이는 고전적인 QTM을 일반화한 것으로, 혼합 상태를 가지고 비가역적 전이 함수를 허용한다. 이를 통해 고전적 결과 없이 양자 측정을 표현할 수 있다.[7]

스코트 아론슨은 사후 선택을 가진 양자 튜링 기계를 정의했으며, 이러한 기계에서 다항 시간 내에 계산 가능한 문제의 집합(PostBQP)이 고전적인 복잡도 클래스 PP와 같음을 보였다.[8]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참조

[1] 학회인용 Quantum circuit complexity
[2] 학술지 Revisiting the simulation of quantum Turing machines by quantum circuits 2018
[3] 학술지 One Complexity Theorist's View of Quantum Computing
[4] 학술지 The computer as a physical system: A microscopic quantum mechanical Hamiltonian model of computers as represented by Turing machines
[5] 학술지 Quantum mechanical hamiltonian models of turing machines
[6] 학술지 Quantum theory, the Church-Turing principle and the universal quantum computer http://www.ceid.upat[...] 1985-07
[7] 학술지 Classically Controlled Quantum Computation 2007-04-04
[8] 학술지 Quantum computing, postselection, and probabilistic polynomial-time
[9] 저널 Quantum theory, the Church-Turing principle and the universal quantum computer http://www.ceid.upat[...] 2008-06-01
[10] 서적 Quantum circuit complexity
[11] 저널 One Complexity Theorist's View of Quantum Computing
[12] 서적 Classically-Controlled Quantum Computation 2007-04-04
[13] 저널 Quantum computing, postselection, and probabilistic polynomial-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