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링 기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튜링 기계는 앨런 튜링이 1936년에 제시한 계산 모델로, 수학적으로 모델링된 기계가 테이프 위에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튜링 기계는 유한한 상태, 테이프, 헤드, 명령 표로 구성되며, 테이프의 기호를 읽고 쓰고 헤드를 이동하며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튜링 기계는 다양한 변형 모델을 가지며, 범용 튜링 기계는 다른 튜링 기계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다. 튜링 기계는 실제 컴퓨터의 기능을 완벽하게 모방하지는 않지만, 계산 가능성과 알고리즘의 한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계산 복잡도 이론과 같은 현대적인 응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컴퓨팅 - 람다 대수
람다 대수는 알론조 처치가 수학기초론 연구를 위해 도입한 형식 체계로, 초기 체계의 모순 수정 후 유형 없는 람다 대수와 단순 유형 람다 대수가 발표되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관계가 명확해지면서 컴퓨터 과학과 언어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반이 되었고, 튜링 완전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추상 기계 - MMIX
MMIX는 256개의 64비트 범용 레지스터와 32개의 특수 목적 레지스터를 갖춘 RISC 아키텍처이며, 64비트 가상 주소 공간과 고정 길이 32비트 명령어를 사용한다.
튜링 기계 | |
---|---|
개요 | |
![]() | |
고안자 | 앨런 튜링 |
고안 시기 | 1936년 |
유형 | 계산 모델 |
상세 정보 | |
작동 원리 | 무한한 길이의 테이프를 사용 테이프는 기호를 기록할 수 있는 칸으로 나뉨 기계는 테이프의 한 칸에 있는 기호를 읽고, 현재 상태에 따라 기호를 변경하거나 테이프를 이동 기계는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태를 변경 |
구성 요소 | 테이프: 무한한 길이의 저장 공간 헤드: 테이프의 기호를 읽고 쓰는 장치 상태 레지스터: 기계의 현재 상태를 저장 전이 함수: 현재 상태와 읽은 기호에 따라 다음 상태, 쓰기 기호, 헤드 이동 방향을 결정 |
주요 특징 |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계산 능력 보유 모든 알고리즘을 튜링 기계로 구현 가능 (처치-튜링 명제) 컴퓨터 과학의 이론적 토대 제공 |
튜링 완전성 | 튜링 기계로 구현 가능한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현대 컴퓨터는 튜링 완전한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 |
튜링 기계의 중요성 | |
이론적 중요성 | 계산 가능성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 알고리즘의 한계를 연구하는 데 사용 컴퓨터 과학, 수학,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 |
실제적 중요성 | 현대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에 영향 오토마타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등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의 기초 |
튜링 기계의 변형 | |
종류 | 다중 테이프 튜링 기계 비결정적 튜링 기계 확률적 튜링 기계 양자 튜링 기계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람다 대수 처치-튜링 명제 오토마타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결정 문제 |
2. 정의
튜링 기계는 다음 요소들로 구성된 수학적 모델이다.
- 테이프: 연속된 칸으로 나뉘며, 각 칸에는 알파벳 기호가 있다. 빈칸을 나타내는 기호도 있다. 테이프는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
- 헤드: 테이프의 기호를 읽고 쓰며,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한다. 다른 모델에서는 테이프가 움직이고 헤드가 고정되기도 한다.
- 상태 기록기: 튜링 기계의 유한한 상태 중 하나를 기록한다. '개시 상태'는 초기화 상태이다.
- 유한한 표 (행동표): 특정 상태(qi)에서 어떤 기호(aj)를 읽었을 때 해야 할 행동을 지시하는 부분 함수이다. 행동은 다음과 같다.
- 기호 지우거나 쓰기 (aj를 aj1으로 치환)
- 머리 이동 ('L': 왼쪽, 'R': 오른쪽, 'N': 정지)
- 같은 상태 또는 새로운 상태로 이동 (qi에서 qi1으로)
튜링 기계의 기호, 상태, 행동은 모두 유한하고, 이산적(discrete)이며, 구분 가능하다.
호프크로프트와 울만(John Hopcroft, Jeffrey Ullman)은 단일 테이프 튜링 기계를 7-튜플 로 정의했다.
- 는 유한하고 비어있지 않은 상태들의 집합
- 는 유한하고 비어있지 않은 기호와 알파벳들의 집합
- 는 비어있음을 알려주는 기호 (테이프 위에서 유일하게 무한하게 나타날 수 있는 기호)
- 는 입력가능한 기호들의 집합
- 는 초기상태
- 는 최종상태, 또는 수락 상태
- 는 부분함수
이 정의를 바탕으로 작동하는 모든 것은 튜링 기계라고 불린다. 정의들은 설명을 위해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지만, 항상 같은 계산력을 가지도록 유도된다. 예를 들어, 집합 를 로 바꾸는 연산은 기계의 계산력을 높여주지 않는다.
형식 언어 이론의 맥락에서 튜링 기계(오토마타)는 알파벳의 유효한 문자열의 임의의 하위 집합을 열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거할 수 있는 문자열 집합을 재귀적 가산 언어라고 한다. 튜링 기계는 출력 문자열을 열거하는 대신 유효한 입력 문자열을 인식하는 모델로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튜링 기계 ''M''과 임의의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M''이 결국 ''s''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정지 문제가 해결 불가능하다는 사실 때문이며, 이는 컴퓨팅의 이론적 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튜링 기계는 제한 없는 문법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무한한 방법으로 일차 논리를 강력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람다 계산법을 통해 유명하게 입증된다.
다른 모든 튜링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튜링 기계를 보편 튜링 기계(UTM, 또는 단순히 보편 기계)라고 한다.
2. 1. 튜링 기계의 작동 방식
튜링 기계는 테이프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수학적 모델이다. 테이프에는 기계가 읽고 쓸 수 있는 기호들이 있으며, 작동 방식은 유한한 개수의 기본 지시문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42번째 상태에서 0을 읽으면 1을 쓰고, 1을 읽으면 17번째 상태로 간다. 17번째 상태에서 0을 읽으면 1을 쓰고, 1을 읽으면 6번째 상태로 간다"와 같은 방식이다.튜링 기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 테이프: 연속된 단위 구간으로 나뉘며, 각 구간에는 알파벳 기호가 있다. 빈칸을 나타내는 특정 알파벳도 있다. 테이프는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확장 가능하다.
- 헤드: 테이프의 기호를 읽고 쓰며,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한다.
- 상태 기록기: 튜링 기계의 유한한 상태 중 하나를 기록한다. '개시 상태'는 초기화 상태이다.
- 유한한 표 (행동표): 특정 상태(qi)에서 어떤 기호(aj)를 읽었을 때 해야 할 행동을 지시한다. 행동은 다음과 같다.
- 기호 지우거나 쓰기 (aj를 aj1으로 치환)
- 머리 이동 ('L': 왼쪽, 'R': 오른쪽, 'N': 정지)
- 같은 상태 또는 새로운 상태로 이동 (qi에서 qi1으로)
튜링 기계의 기호, 상태, 행동은 모두 유한하고 이산적이며 구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튜링 기계의 지시는 튜링표로 표현되며, 9개의 5투플로 구성된다.
- (정의 1): (qj, Sj, Sk/E/N, L/R/N, qm)
- (현재 상태 qj, 읽힌 기호 Sj, 쓰이는 기호 Sk/지우기 E/아무것도 하지 않음 N, 왼쪽으로 이동 L/오른쪽으로 이동 R/움직이지 않음 N, 새로운 상태 qm)
다른 정의도 존재한다.
- (정의 2): (qj, Sj, qm, Sk/E/N, L/R/N)
- (현재 상태 qi, 읽힌 기호 Sj, 새로운 상태 qm, 쓰이는 기호 Sk/지우기 E/아무것도 하지 않음 N, 왼쪽으로 이동 L/오른쪽으로 이동 R/움직이지 않음 N)
이 글에서는 정의 1 (튜링/데이비스 정의)를 사용한다.
다음은 3-상태 2-기호 아주 바쁜 기계의 5투플 표현 상태표 예시이다.
현재 상태 | 읽힌 기호 | 쓰이는 기호 | 이동 종류 | 최종(다음) 상태 | 5투플 표현 |
---|---|---|---|---|---|
A | 0 | 1 | R | B | (A, 0, 1, R, B) |
1 | 1 | L | C | (A, 1, 1, L, C) | |
B | 0 | 1 | L | A | (B, 0, 1, L, A) |
1 | 1 | R | B | (B, 1, 1, R, B) | |
C | 0 | 1 | L | B | (C, 0, 1, L, B) |
1 | 1 | N | H | (C, 1, 1, N, H) |
튜링은 원래 모델에서 세 가지 행동(N1, N2, N3)만 허용했다. 읽힌 구간 지우기는 허용했지만, 아무것도 쓰지 않는 것은 허용하지 않았다.
현재 m-배형 (튜링 상태) | 테이프 기호 | 인쇄 | 테이프 행동 | 최종 m-배형 (튜링 상태) | 5투플 | 5투플 주석 | 4투플 | |
---|---|---|---|---|---|---|---|---|
N1 | qi | Sj | Print(Sk) | Left L | qm | (qi, Sj, Sk, L, qm) | "blank" = S0, 1=S1, etc. | |
N2 | qi | Sj | Print(Sk) | Right R | qm | (qi, Sj, Sk, R, qm) | "blank" = S0, 1=S1, etc. | |
N3 | qi | Sj | Print(Sk) | None N | qm | (qi, Sj, Sk, N, qm) | "blank" = S0, 1=S1, etc. | (qi, Sj, Sk, qm) |
4 | qi | Sj | None N | Left L | qm | (qi, Sj, N, L, qm) | (qi, Sj, L, qm) | |
5 | qi | Sj | None N | Right R | qm | (qi, Sj, N, R, qm) | (qi, Sj, R, qm) | |
6 | qi | Sj | None N | None N | qm | (qi, Sj, N, N, qm) | Direct "jump" | (qi, Sj, N, qm) |
7 | qi | Sj | Erase | Left L | qm | (qi, Sj, E, L, qm) | ||
8 | qi | Sj | Erase | Right R | qm | (qi, Sj, E, R, qm) | ||
9 | qi | Sj | Erase | None N | qm | (qi, Sj, E, N, qm) | (qi, Sj, E, qm) |
상태는 현재 지시의 이름/내용(상태 기록기에 저장된 정보) 또는 계산 과정에서 기계의 진행 상태(현재 지시와 테이프 상 모든 기호 포함)를 의미할 수 있다. 튜링은 "상태식"을 통해 현재 지시와 테이프 상 모든 기호를 포함하는 개념을 명확히 했다.
다음은 3-상태 아주 바쁜 기계의 상태표이다.
테이프 기호 | 현재 상태 A | 현재 상태 B | 현재 상태 C | ||||||
---|---|---|---|---|---|---|---|---|---|
쓰이는 기호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쓰이는 기호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쓰이는 기호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
0 | P | R | B | P | L | A | P | L | B |
1 | P | L | C | P | R | B | P | R | HALT |
앨런 튜링은 1936년 논문 "계산가능수와 결정문제에 대한 응용에 관하여"에서 튜링 기계를 처음 제시했다.[25] 튜링은 이 기계를 통해 계산 가능성, 결정 가능성, 정지 문제 등 중요한 개념을 정의하고 증명했다.
위 그림은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으로, 각 원은 표의 상태를, 화살표는 상태 전이를 나타낸다.
위 그림은 계산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으로, 각 단계별 튜링 기계의 "완전 구성"을 보여준다.
3. 역사
다비트 힐베르트가 1900년에 제안한 힐베르트의 문제들 중 열 번째 문제는,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정수해를 유한한 연산을 통해 얻어낼 수 있는지 묻는 문제였다. 1928년 힐베르트는 이 문제를 다음 세 가지 질문으로 더 엄밀하게 만들었다.
# 수학은 완전한가?
# 수학은 모순이 없는가?
# 수학은 결정 가능한가?
처음 두 질문은 1930년 쿠르트 괴델에 의해 해결되었으나, 세 번째 문제인 결정 문제는 1930년대 중반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1935년 봄,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의 앨런 튜링은 결정 문제에 대한 괴델의 연구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이 문제에 도전하게 되었다. 튜링은 일생 동안 기계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박사후과정 동안 불 논리 곱셈 기계를 만들기도 했다.
1937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 연구를 하는 동안 튜링은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이용해 디지털(Boolean-logic) 곱셈 기계를 만들었다.[7] 튜링의 발명은 단순한 호기심과 실험 정신에서 시작되었지만, 같은 시기 독일(콘라트 추제)과 미국(하워드 에이컨, 조지 스티비츠)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그 결과물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국과 추축국의 군사 활동에 사용되었다.
앨런조 처치는 튜링의 논문(1936)을 발표하면서 "튜링 기계"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0] 같은 시기 에밀 포스트도 독립적으로 유사한 계산 모델을 제시했다.[26]
1950년대 중반 하오 왕과 마빈 민스키는 튜링 기계를 좀 더 간단한 형태로 바꾸었다. 동시에 유럽의 연구자들은 최신식의 전자 컴퓨터를 현재의 튜링 기계인 '컴퓨터와 같은 이론적 오브젝트'로 환원시켜 생각했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멜자크와 레벡(1961), 민스키(1961), 셰퍼슨과 스터기스(1961) 등의 유럽 연구자들은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튜링 기계를 좀 더 친숙하고 컴퓨터와 같은 '계산기 기계'로 만들었다. 이후 1970년대 초반에는 엘곳과 로빈슨(1964), 하트마니스(1971), 쿡과 렉하우(1973) 등은 이 연구를 진척시켜 '레지스터 기계'와 RAM의 모델로 발전시켰다.
3. 1. 처치-튜링 명제
앨런조 처치는 튜링의 논문(1936)을 발표하면서 "튜링 기계"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0] 이 모델을 통해 튜링은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부정적인 답을 제시했다.
이는 일반적인 계산의 속성, 특히 ''결정 문제(Entscheidungsproblem)''의 계산 불가능성을 증명한 것이다.[13]
앨런 튜링은 1936년에 "a-머신"(자동 기계)을 발명했다.[7]
튜링은 자신의 계산 기계 모델을 통해 ''증명한'' 내용은 그의 논문 "계산 가능한 수에 관하여, 결정 문제에의 적용과 함께"(1937)에 나타난다.
튜링의 예시(두 번째 증명): "이 기계가 0을 인쇄하는가?"라는 일반적인 절차를 묻는다면, 그 질문은 "결정 불가능"하다.
튜링은 논문(1936) 초반에서 "자동 기계"와 "선택 기계"를 구별한다. 자동 기계는 "움직임이 ... 구성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는 반면, 선택 기계는 다음과 같다.
튜링(1936)은 선택 기계를 사용하는 대신, a-기계를 사용하여 "[힐베르트] 미적분학의 모든 증명 가능한 공식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는 각주 외에는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는 "선택이 항상 두 가지 가능성 0과 1 사이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각 증명은 i1, i2, ..., in (i1 = 0 또는 1, i2 = 0 또는 1, ..., in = 0 또는 1)의 선택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숫자 2n + i12n-1 + i22n-2 + ... +in은 증명을 완전히 결정한다. 자동 기계는 증명 1, 증명 2, 증명 3을 차례로 수행한다..." (각주 ‡, ''The Undecidable'', p. 138)
이것은 실제로 결정적(즉, a-) 튜링 기계가 비결정적 튜링 기계의 동작을 모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며, 튜링은 각주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더 이상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라클 기계 또는 o-기계는 튜링의 a-기계로, 계산을 완료하기 위해 상태 "'''o'''"에서 계산을 일시 중지하고 "오라클"의 "결정을 기다리"는데, 튜링은 이를 "기계일 수 없다는 말 외에는" 명시하지 않은 엔티티이다 (튜링 (1939), ''The Undecidable'', p. 166–168).
4. 다양한 튜링 기계 모델
튜링 기계는 다양한 변형 모델이 존재한다. 반 엠데 보아스(1990)에 따르면, 튜링 기계의 형식적인 7-튜플 설명은 기계 작동 방식과 계산 과정에 대한 부분적인 정보만 제공한다.[1]
예를 들어, 실제 튜링 기계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결정이 필요하다.
- 기호의 실제 모양과 무한히 읽고 쓰는 방법
- 테이프 헤드를 테이프 전체로 이동시키는 대신, 테이프가 헤드 아래에서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
- 테이프를 유한하게 만들고 필요에 따라 공백으로 자동 확장하는 방법 (수학적 정의에 가장 가깝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테이프가 한쪽 또는 양쪽 끝에서 무한히 늘어나고, 테이프 헤드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미리 공백으로 채워져 있다고 가정한다. 테이프의 길이는 고정될 수 없는데, 이는 튜링 기계의 계산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테이프가 입력 크기에 비례하면 선형 경계 오토마톤, 길이가 고정되면 유한 상태 기계의 계산 범위로 제한된다.[1]
문헌에 따라 튜링 기계의 정의는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이는 논증이나 증명을 더 쉽고 명확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경은 항상 결과적인 기계가 동일한 계산 능력을 갖도록 수행된다. 예를 들어, 집합을 에서 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N'("None" 또는 "No-operation")은 기계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대신 동일한 테이프 셀에 머물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기계의 계산 능력을 증가시키지 않는다.[1]
일반적으로 각 "튜링 명령어"는 "튜링 표"에서 아홉 개의 5-튜플 중 하나로 나타낸다(튜링/데이비스 규칙).[1]
- (정의 1): '''(qi, Sj, Sk/E/N, L/R/N, qm)'''
- '''(''' 현재 상태 '''qi''' ''',''' 스캔된 기호 '''Sj''' ''',''' 인쇄 기호 '''Sk'''/지우기 '''E'''/없음 '''N''' ''',''' 테이프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 '''L'''/오른쪽으로 이동 '''R'''/없음 '''N''' ''',''' 새로운 상태 '''qm''' ''')'''
다른 저자들은 새로운 상태 '''qm'''을 스캔된 기호 Sj 바로 뒤에 나열하는 다른 규칙을 사용하기도 한다.[1]
- (정의 2): '''(qi, Sj, qm, Sk/E/N, L/R/N)'''
- '''(''' 현재 상태 '''qi''' ''',''' 스캔된 기호 '''Sj''' ''',''' 새로운 상태 '''qm''' ''',''' 인쇄 기호 '''Sk'''/지우기 '''E'''/없음 '''N''' ''',''' 테이프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 '''L'''/오른쪽으로 이동 '''R'''/없음 '''N''' ''')'''
이 문서에서는 "정의 1"(튜링/데이비스 규칙)을 사용한다.[1]
아래는 5-튜플로 축약된 3-상태 2-기호 바쁜 비버의 상태 표 예시이다.
현재 상태 | 스캔된 기호 | 인쇄 기호 | 테이프 이동 | 최종 상태 | 5-튜플 |
---|---|---|---|---|---|
A | 0 | 1 | R | B | (A, 0, 1, R, B) |
A | 1 | 1 | L | C | (A, 1, 1, L, C) |
B | 0 | 1 | L | A | (B, 0, 1, L, A) |
B | 1 | 1 | R | B | (B, 1, 1, R, B) |
C | 0 | 1 | L | B | (C, 0, 1, L, B) |
C | 1 | 1 | N | H | (C, 1, 1, N, H) |
튜링의 원래 모델은 처음 세 줄(N1, N2, N3)만 허용했다. 그는 0번째 기호 S0 = "지우기" 또는 "공백" 등을 지정하여 "스캔된 사각형"을 지울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인쇄하지 않는 것은 허용하지 않았다. 1936–1937년 튜링의 원본 논문 이후, 기계 모델은 아홉 가지 가능한 유형의 5-튜플을 모두 허용했다.[1]
아래는 튜링이 허용했던 5-튜플의 유형을 정리한 표이다.
현재 m-구성 (튜링 상태) | 테이프 기호 | 인쇄-연산 | 테이프-이동 | 최종 m-구성 (튜링 상태) | 5-튜플 | 5-튜플 설명 | 4-튜플 | |
---|---|---|---|---|---|---|---|---|
N1 | qi | Sj | 인쇄(Sk) | 왼쪽 L | qm | (qi, Sj, Sk, L, qm) | "공백" = S0, 1=S1, 등 | |
N2 | qi | Sj | 인쇄(Sk) | 오른쪽 R | qm | (qi, Sj, Sk, R, qm) | "공백" = S0, 1=S1, 등 | |
N3 | qi | Sj | 인쇄(Sk) | 없음 N | qm | (qi, Sj, Sk, N, qm) | "공백" = S0, 1=S1, 등 | (qi, Sj, Sk, qm) |
4 | qi | Sj | 없음 N | 왼쪽 L | qm | (qi, Sj, N, L, qm) | (qi, Sj, L, qm) | |
5 | qi | Sj | 없음 N | 오른쪽 R | qm | (qi, Sj, N, R, qm) | (qi, Sj, R, qm) | |
6 | qi | Sj | 없음 N | 없음 N | qm | (qi, Sj, N, N, qm) | 직접 "점프" | (qi, Sj, N, qm) |
7 | qi | Sj | 지우기 | 왼쪽 L | qm | (qi, Sj, E, L, qm) | ||
8 | qi | Sj | 지우기 | 오른쪽 R | qm | (qi, Sj, E, R, qm) | ||
9 | qi | Sj | 지우기 | 없음 N | qm | (qi, Sj, E, N, qm) | (qi, Sj, E, qm) |
위의 아홉 개의 5-튜플로 모든 튜링 표(명령 목록)를 구성할 수 있다. 기술적인 이유로 인쇄하지 않는 또는 "N" 명령어(4, 5, 6)는 일반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1]
덜 자주 4-튜플의 사용이 발견되는데, 이는 튜링 명령어의 추가적인 원자화를 나타낸다.[1]
아래는 3 상태 비지 비버("P" = "1" 인쇄/쓰기) 표이다.
테이프 기호 | 현재 상태 A | 현재 상태 B | 현재 상태 C | ||||||
---|---|---|---|---|---|---|---|---|---|
기호 쓰기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기호 쓰기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기호 쓰기 | 테이프 이동 | 다음 상태 | |
0 | P | R | B | P | L | A | P | L | B |
1 | P | L | C | P | R | B | P | R | HALT |
위 표는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큰 표는 표로 남겨두는 것이 좋지만, 특정 개념은 그림으로 볼 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1]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시간과 공간을 통한 계산의 과정("궤적")이 아닌, 시간상에서 고정된 표의 스냅샷을 나타낸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비지 비버 기계는 항상 동일한 상태 궤적을 따르지만, 가변 입력 "매개변수"로 제공될 수 있는 "복사" 기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1]
"계산 진행" 다이어그램은 3 상태 비지 비버의 "상태"(명령)가 시작부터 끝까지 계산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계를 중지하고 "상태 레지스터"와 전체 테이프를 비우면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여 진행 중인 계산을 어디에서나 다시 시작할 수 있다.[1]
4. 1. 튜링 기계와 동치인 모델들
튜링 기계는 다른 계산 모델들과 동등한 능력을 가진다. 즉, 튜링 기계로 계산 가능한 문제는 다른 모델로도 계산 가능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이를 처치-튜링 명제라고 부른다.튜링 기계와 동일한 계산 능력을 가진 것으로 밝혀진 몇 가지 다른 모델들은 다음과 같다:
- 다중 테이프 튜링 기계
- 다중 트랙 튜링 기계
- 입력과 출력이 있는 튜링 기계
-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
이러한 모델들은 튜링 기계보다 더 빠르거나 메모리를 적게 사용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수학적 함수를 계산할 수는 없다.
문헌에 따라 튜링 기계의 정의는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이는 증명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계산 능력을 갖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기계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대신 동일한 테이프 셀에 머물도록 허용하는 "N"(없음) 동작을 추가하여 집합 을 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튜링 기계와 동등한 계산 능력을 갖는 모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단일 스택 푸시다운 오토마타(PDA): 스택의 후입선출(LIFO) 제약을 완화하여 더 유연하고 간결하게 만든 모델이다.
- 2개의 스택을 가진 PDA: 한 스택은 헤드의 왼쪽 테이프를, 다른 스택은 오른쪽 테이프를 모델링하여 표준 LIFO 의미를 갖는다.
- 읽기 전용 우측 이동 튜링 기계: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DFA)와 동등하며, NFA를 DFA로 변환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비결정적 유한 오토마타(NFA)와도 동등하다.
- 레지스터 기계: 실용적이고 교육적인 목적으로, 일반적인 어셈블리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되는 계산 모델이 튜링 동등한지 여부는 중요한 질문이다. 실제 컴퓨터의 계산은 유한 상태를 기반으로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는 이러한 제한을 가질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ANSI C는 튜링 완전하지 않지만, 파스칼은 원칙적으로 튜링 완전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할당 실패를 고려하면, 실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튜링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
튜링 기계 정의의 세부 사항(예: 알파벳 크기, 테이프 방향, 전이 함수의 동작)은 문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은 귀납적 가산 언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시간 복잡도나 공간 복잡도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범용 튜링 기계
다른 모든 튜링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튜링 기계를 보편 튜링 기계(UTM, 또는 단순히 보편 기계)라고 한다. 튜링은 ''결정 불가능성''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 발견은 현재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1936년 당시에는 놀라운 것으로 여겨졌다. 튜링이 "보편 기계"—"'''U'''"로 간략하게 표현한 계산 모델은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의 개념을 이끌어낸 근본적인 이론적 돌파구로 여겨진다.
계산 복잡도 이론 측면에서 다중 테이프 보편 튜링 기계는 시뮬레이션하는 기계에 비해 로그 인자만큼만 느리면 된다. 이 결과는 1966년 F. C. 헤니와 R. E. 스턴스에 의해 얻어졌다.
규칙을 적절히 구성함으로써 "어떤 튜링 머신이든 이를 모방할 수 있는 튜링 머신(만능 튜링 머신)"이 가능하다. 만능 튜링 머신은 주어진 다른 튜링 머신을 기술한 기호열과 해당 튜링 머신에 대한 입력 기호열을 읽어 들여 이에 따라 작동한다. (에뮬레이터(컴퓨터)의 원리)
6. 튜링 기계와 실제 컴퓨터
튜링 기계는 실제 컴퓨터의 작동 방식을 추상화한 모델이다. 실제 컴퓨터는 유한한 메모리를 갖지만, 튜링 기계는 무한한 테이프를 가정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튜링 기계는 알고리즘의 계산 복잡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튜링(1936)은 계산 과정에서 기계의 'm-배열'과 기계의 '진행 상태'를 명확히 구분했다. 튜링이 '상태식'이라고 표현한 것은 현재의 지시와 테이프 상의 모든 기호를 포함한다.[17]
1936년 당시에는 튜링이 '범용 기계'라고 부른 이 계산 모델이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의 기초적인 이론적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민스키(1967)는 튜링의 논문이 현대 컴퓨터와 관련된 일부 프로그래밍 기술의 발견을 서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18]
계산 복잡도 측면에서 보면 다중테이프 튜링 기계는 이 기계가 시뮬레이트하는 기계에 비해 로그 인수만큼 느려야 한다. 이 결과는 1966년에 F.C. 헨리와 R.E. 스턴에 의해 얻어졌다.
흔히 튜링 기계는 다른 오토마타와 다르게 실제 기계만큼 강력하고 실제 프로그램이 할 수 있는 연산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기계는 유한한 개수의 배열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선형 구속 오토마타에 그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튜링 기계는 연산을 위한 무한한 저장 공간을 가진 기계이며, 컴퓨터가 아닌 연산 자체를 모델링한 것이다.
튜링 기계는 실제 컴퓨터가 연산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계산할 수 있고, 그 한계는 실제 컴퓨터에도 적용된다. 실제 컴퓨터와 튜링 기계의 차이는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인데, 튜링 기계는 무한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반면 실제 컴퓨터는 유한한 양의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한한 시간 내에서 튜링 기계도 실제 기계처럼 유한한 양의 데이터만 조작 가능하다.
튜링 기계는 실제 컴퓨터를 모델링하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한다. 운영 체제나 워드 프로세서처럼 시간에 따라 무한한 입력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튜링 기계로 모델링하기 어렵다. 또한, 현대의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는 램덤 액세스 저장 프로그램 기계(RASP)의 일종으로, 튜링 기계와는 다른 메모리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튜링 기계로 모델링할 때 일부 알고리즘에 대해 잘못된 시간 복잡도 하한을 줄 수 있다.
계산의 산술 모형은 튜링 모형과 다음 두 가지 면에서 다르다.[20]
- 산술 모형에서는 모든 실수에 단일 메모리 셀이 필요하지만, 튜링 모형에서는 실수의 저장 크기가 이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비트 수에 따라 달라진다.
- 산술 모형에서는 실수에 대한 모든 기본적인 산술 연산(덧셈, 뺄셈, 곱셈 및 나눗셈)을 단일 단계로 수행할 수 있지만, 튜링 모형에서는 각 산술 연산의 실행 시간이 피연산자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오늘날에도 튜링 기계는 계산 이론 연구에서 중요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6. 1. 한계
튜링 기계는 실제 컴퓨터가 연산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튜링 기계의 한계는 곧 실제 컴퓨터에도 적용된다. 튜링 기계와 실제 컴퓨터의 주요 차이점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다. 튜링 기계는 무한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실제 컴퓨터는 유한한 양의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한한 시간 내에서는 튜링 기계도 실제 컴퓨터처럼 유한한 양의 데이터만 다룰 수 있다.실제 컴퓨터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해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만약 이러한 저장 매체를 구하기 어려워진다면 튜링 기계와 실제 기계의 격차는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연산 실패의 주요 원인은 저장 공간 부족보다는 느린 연산 속도이다.
튜링 기계는 실제 기계보다 알고리즘을 설명하기에 더 간단하고 추상적이다. 예를 들어, 튜링 기계가 특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데 수백 개의 상태만 필요하다면,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DFA)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데 수천조 개의 상태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튜링 기계는 메모리 사용량에 관계없이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으며, 실제 기계의 발전과 무관하게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하지만 튜링 기계는 운영 체제나 워드 프로세서와 같이 시간에 따라 무한한 입력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모델링하기 어렵다. 또한, 튜링 기계는 일부 배열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현대의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는 램덤 액세스 저장 프로그램 기계(RASP)의 일종으로, 범용 튜링 기계와 달리 무한 개의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RASP는 간접 주소 지정을 통해 메모리 인덱스를 이용한 연산 최적화가 가능하지만, 튜링 기계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튜링 기계로 모델링할 때 일부 알고리즘에 대해 잘못된 시간 복잡도 하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진 검색 알고리즘은 튜링 기계 모델보다 RASP 모델에서 더 빠르게 연산될 수 있다.
반 엠데 보아스(1990)는 튜링 기계의 7튜플 형식적 설명이 기계 작동 방식과 계산 모습에 대한 부분적인 정보만 제공한다고 언급했다.[1] 예를 들어, 기호의 실제 형태, 테이프 이동 방식, 테이프의 유한성/무한성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
초창기 컴퓨터 사용은 일괄 처리로 제한되었지만, 1970년대 이후 컴퓨터의 대화형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자동자와 같은 대안이 선호된다.[2]
실제 계산기의 기본적인 동작은 튜링 기계의 원리를 따르며, "계산기로 원리상 풀 수 있는 문제"는 "튜링 기계로 풀 수 있는 문제"와 같다고 여겨진다. 알고리즘은 튜링 기계 상의 절차와 동일시될 수 있다(처치-튜링 명제).[2] 수학의 형식 체계는 튜링 기계의 동작으로 환원될 수 있지만, 튜링 기계로 결정할 수 없는 명제도 존재한다(예: 정지 문제).[2]
7. 튜링 기계와 관련된 문제
앨런 튜링은 1936년에 "a-머신"(자동 기계)을 발명했으며,[7] 튜링의 박사 과정 지도 교수인 앨런조 처치가 나중에 "튜링 기계"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0] 튜링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계산의 속성, 특히 ''결정 문제(Entscheidungsproblem)''의 계산 불가능성을 증명했다.[13]
튜링은 임의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단순한 장치의 수학적 설명을 제공했고, "이 기계가 0을 인쇄하는가?"라는 질문은 "결정 불가능"하다고 증명했다.
실제 계산기의 기본적인 동작은 튜링 기계의 원리를 따른다. "계산기로 원리상 풀 수 있는 문제"는 "튜링 기계로 풀 수 있는 문제"와 같다고 여겨지며, 알고리즘은 튜링 기계 상의 절차와 동일시될 수 있다(처치-튜링 명제).
수학의 형식 체계는 모두 튜링 기계의 동작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기계로 결정할 수 없는 명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튜링 기계가 정지하는지 여부를 튜링 기계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정지 문제). 이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또 다른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7. 1. 정지 문제
앨런 튜링은 1936년에 "a-머신"(자동 기계)을 발명했다.[7] 나중에 "튜링 기계"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은 튜링의 박사 과정 지도 교수인 앨런조 처치였다.[10] 튜링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에 부정적인 답을 할 수 있었다.이는 정지 문제가 해결 불가능하다는 사실 때문이며, 컴퓨팅의 이론적 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튜링은 임의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단순한 장치의 수학적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계산의 속성, 특히 ''결정 문제(Entscheidungsproblem)''의 계산 불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13]
튜링의 예시(두 번째 증명): "이 기계가 0을 인쇄하는가?"라는 일반적인 절차를 묻는다면, 그 질문은 "결정 불가능"하다.
실제 계산기의 기본적인 동작도 이 튜링 기계의 원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실용상의 전자 계산기는 튜링 기계보다 훨씬 복잡하며, 또한 유한한 기억 영역밖에 가지지 않지만, "계산기로 원리상 풀 수 있는 문제"는 "튜링 기계로 풀 수 있는 문제"와 같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계산 이론에서는 알고리즘을 튜링 기계 상의 절차와 동일시하여 논의할 수 있다(처치-튜링 명제).
수학의 형식 체계는 모두 이 가상 기계의 동작으로 환원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 기계로 결정할 수 없는 명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튜링 기계가 정지하는지 여부를 튜링 기계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정지 문제). 이것은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또 다른 표현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7. 2. 결정 문제 (Entscheidungsproblem)
1928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데이비드 힐베르트는 수학의 완전성, 모순 없음, 그리고 결정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처음 두 질문은 1930년 쿠르트 괴델에 의해 해결되었지만, 세 번째 질문인 Entscheidungsproblem (결정 문제)는 1930년대 중반까지 해결되지 않았다.결정 문제는 주어진 논리식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유한한 단계로 판별할 수 있는 명확한 절차를 찾는 문제였다. H. 베만은 이 문제를 "주어진 순수한 논리적 주장의 진실 또는 허위를 유한한 수의 단계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명확하고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처방"이라고 정의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면 "많은 (또는 심지어 모든)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를 갖게 되는 것이었다.[23]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처방"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필요했다. 앨론조 처치는 이를 "유효 계산 가능성"이라고 불렀다. 1936년 4월, 처치는 결정 문제가 실제로 "결정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1935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의 학생이었던 앨런 튜링은 M. H. A. 뉴먼의 강의에서 영감을 받아 이 문제에 도전했다. 튜링은 "기계로 할 수 있는 일"이라는 특징적인 답변을 통해 계산 기계의 일반적인 개념을 분석했다. 그는 1936년 "a-머신"(자동 기계)을 발명했고,[7] 이는 나중에 앨런조 처치에 의해 "튜링 기계"라는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10] 튜링은 이 기계를 통해 임의의 기계가 "순환적"인지(멈추는지), 주어진 기호를 인쇄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11][12] 즉, 일반적인 계산의 속성, 특히 결정 문제의 계산 불가능성을 증명했다.[13]
튜링의 예시(두 번째 증명)에서 "이 기계가 0을 인쇄하는가?"라는 질문은 "결정 불가능"하다.
실제 계산기의 기본적인 동작도 튜링 기계의 원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계산기로 원리상 풀 수 있는 문제"는 "튜링 기계로 풀 수 있는 문제"와 같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알고리즘은 튜링 기계 상의 절차와 동일시될 수 있다(처치-튜링 명제).
수학의 형식 체계는 모두 튜링 기계의 동작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기계로 결정할 수 없는 명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튜링 기계가 정지하는지 여부를 튜링 기계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정지 문제). 이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또 다른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8. 현대적 응용
튜링 기계는 계산 이론, 복잡도 이론, 알고리즘 연구 등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 인지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1] 앨런 튜링은 1937년 프린스턴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는 동안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이용해 디지털(Boolean-logic) 곱셈 기계를 만들었다.[2] 튜링의 발명은 단순한 호기심과 실험에서 시작되었지만, 독일과 미국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물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국과 추축국의 군사 활동에 사용되었다.[3]
1950년대 중반, 하오 왕과 마빈 민스키는 튜링 기계를 더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켰다.[4] 같은 시기 유럽의 연구자들은 최신 전자 컴퓨터를 튜링 기계와 같은 '컴퓨터와 같은 이론적 오브젝트'로 환원시켜 생각했다.[5]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 멜자크와 레벡(1961), 민스키(1961), 셰퍼슨과 스터기스(1961) 등은 튜링 기계를 더 친숙하고 컴퓨터와 같은 '셈 기계(counter machine)'로 발전시켰다.[6] 이후 1970년대 초반, 엘곳과 로빈슨(1964), 할트마니스(1971), 쿡과 렉하우(1973) 등은 이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기록 기계(register machine)'와 RAM 모델의 기반을 마련했다.[7]
오늘날 셈 기계, 기록 기계, RAM은 튜링 기계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8] 많은 연구자들이 계산 이론을 연구하는 데 튜링 기계를 활용한다.[9] 특히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는 튜링 기계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10]
8. 1. 한국에서의 튜링 기계 연구
한국에서도 튜링 기계를 비롯한 계산 이론, 오토마타, 형식 언어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산학, 수학, 논리학 분야에서 튜링 기계의 개념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참조
[1]
문서
Minsky 1967:107 "In his 1936 paper, A. M. Turing defined the class of abstract machines that now bear his name. A Turing machine is a finite-state machine associated with a special kind of environment -- its tape -- in which it can store (and later recover) sequences of symbols," also Stone 1972:8 where the word "machine" is in quotation marks.
[2]
문서
Stone 1972:8 states "This "machine" is an abstract mathematical model", also cf. Sipser 2006:137ff that describes the "Turing machine model". Rogers 1987 (1967):13 refers to "Turing's characterization", Boolos Burgess and Jeffrey 2002:25 refers to a "specific kind of idealized machine".
[3]
문서
Sipser 2006:137 "A Turing machine can do everything that a real computer can do".
[4]
문서
Cf. Sipser 2002:137. Also, Rogers 1987 (1967):13 describes "a paper tape of infinite length in both directions". Minsky 1967:118 states "The tape is regarded as infinite in both directions". Boolos Burgess and Jeffrey 2002:25 include the possibility of "there is someone stationed at each end to add extra blank squares as needed".
[5]
문서
Cf. Rogers 1987 (1967):13. Other authors use the word "square" e.g. Boolos Burgess Jeffrey 2002:35, Minsky 1967:117, Penrose 1989:37.
[6]
문서
Boolos Burgess Jeffry 2002:25 illustrate the machine as moving along the tape. Penrose 1989:36-37 describes himself as "uncomfortable" with an infinite tape observing that it "might be hard to shift!"; he "prefer[s] to think of the tape as representing som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which our finite device can move" and after observing that the " 'movement' is a convenient way of picturing things" and then suggests that "the device receives all its input from this environment. Some variations of the Turing machine model also allow the head to stay in the same position instead of moving or halting.
[7]
서적
Alan Turing: The Enigma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문서
The idea came to him in mid-1935 (perhaps, see more in the History section) after a question posed by [[M. H. A. Newman]] in his lectures: "Was there a definite method, or as Newman put it, a "mechanical process" which could be applied to a mathematical statement, and which would come up with the answer as to whether it was provable" (Hodges 1983:93). Turing submitted his paper on 31 May 1936 to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for its ''Proceedings'' (cf. Hodges 1983:112), but it was published in early 1937 and offprints were available in February 1937 (cf. Hodges 1983:129).
[9]
문서
See footnote in Davis 2000:151.
[10]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Alonzo Church
https://mitpress.mit[...]
MIT Press
2019-04-23
[11]
문서
Turing 1936 in ''The Undecidable'' 1965:132-134; Turing's definition of "circular" is found on page 119.
[12]
논문
On Computable Numbers, with an Application to the ''Entscheidungsproblem''
[13]
문서
Turing 1936 in ''The Undecidable'' 1965:145
[14]
문서
Sipser 2006:137 observes that "A Turing machine can do everything that a real computer can do. Nevertheless, even a Turing machine cannot solve certain problems. In a very real sense, these problems are beyond the theoretical limits of computation."
[15]
문서
See the definition of "[[wikt:innings|innings]]" on [[Wiktionary]]
[16]
간행물
Intelligent Machinery
http://www.alanturin[...]
1948-07
[17]
문서
Occasionally called an ''action table'' or ''[[transition system|transition function]]''.
[18]
문서
Usually quintuples [5-tuples]: qiaj→qi1aj1dk, but sometimes quadruples [4-tuples].
[19]
문서
p.149; in particular, Hopcroft and Ullman assume that is undefined on all states from
[20]
서적
Geometric algorithms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Berlin
[21]
문서
L. Torres Quevedo. ''Ensayos sobre Automática – Su definicion. Extension teórica de sus aplicaciones,'' Revista de la Academia de Ciencias Exacta, Revista 12, pp. 391–418, 1914.
[22]
문서
Torres Quevedo. L. (1915). [https://diccan.com/dicoport/Torres.htm "Essais sur l'Automatique - Sa définition. Etendue théorique de ses applications"], ''Revue Génerale des Sciences Pures et Appliquées'', vol. 2, pp. 601–611.
[23]
문서
The narrower question posed in [[Hilbert's tenth problem]], about [[Diophantine equation]]s, remains unresolved until 1970,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rsively enumerable set]]s and [[Diophantine set]]s is finally laid bare.
[24]
웹사이트
チューリングマシン
2022-02-02
[25]
논문
On Computable Numbers, with an Application to the Entscheidungsproblem
http://doi.wiley.com[...]
1937
[26]
논문
Finite combinatory processes—formulation
https://doi.org/10.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문서
一般的には両方向にいくらでもシークできるものとするが、理論的には片方には端があっても良いのでそのように制限することもある。
[28]
문서
あるいは単に停止する場合は、停止する前に、答えがどちらであるかを、テープ上の記号列として書き残してから停止する。
[29]
문서
"1935년 중반, [[막스 뉴만]]은 그의 강의에서 \"과연 수학적 표현에 적용되어 그 표현이 증명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명확한 방법이(뉴만은 이를 기계적 과정이라고 표현하였다.) 존재하는가?\"(호지스 1983:93) 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 강의를 들고 튜링은 그 가상의 장치를 생각해내었다고 한다.(더 자세한 사실은 역사부분을 참조하시오) 그는 이 논문을 런던 수학회지에 1936년 5월 31일에 ''제출하였으나''(참고: 호지스 1983:112), 정작 이 논문이 ''출판된'' 것은 1937년 초였고, 그 해 2월이 다 돼서야 발췌 인쇄가 가능해졌다.(참고: 호지스 1983: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