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독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독초는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는 식물을 의미한다. 어독초 사용은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났으며, 약용 및 식량 확보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어독초는 특정 식물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 제정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주요 어독초로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식물들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작용 원리를 통해 물고기를 마비시키거나 죽이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로 - 전기충격낚시
    전기충격낚시는 해저에 전기장을 발생시켜 어류를 포획하는 어업 방식으로, 연료 소비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소, 해저 생태계 파괴 최소화, 혼획 감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동물권 논란과 해양 생태계 영향에 대한 우려로 일부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으나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 어로 - 어살
    어살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어업 도구로,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어량'으로 불리며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한 전통 어법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어업의 발달로 쇠퇴했지만 역사적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 유독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유독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어독초

2. 역사

어독초 사용은 담수 및 해수에서 물고기를 잡는 것과 관련된 여러 자료에서 문서화되어 있다.[3] 부족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약용 및 식량 확보 목적으로 다양한 식물을 사용했다.[4]

어독초의 사용은 인류 역사에서 매우 오래된 관행이다. 1212년, 프리드리히 2세는 특정 식물 어독의 사용을 금지했고, 15세기에는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이와 유사한 법률이 제정되었다.[5] 전 세계적으로 원주민들은 미국[6]을 포함하여 타라후마라 인디언들 사이에서 다양한 어독초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죽인다.[7]

허브 기반의 물고기 마비제는 입증된 어업 수단이다. 이러한 식물 중 다수는 오랫동안 현지인들이 사용해 왔으며, 진통제[8] 및 지사제[9]와 같은 약효가 있는 것으로 테스트를 통해 밝혀졌다. ''Careya arborea''와 같은 일부 식물은 국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독이다.[10][11] ''Lannea coromandelica''의 수피 추출물은 세포막의 용해를 유발하고 그 후 세포 물질의 파편화를 일으켰다.

2. 1. 세계의 역사

2. 2. 한국의 역사

3. 작용 원리

어독초 사용은 담수 및 해수에서 물고기를 잡는 것과 관련된 여러 자료에서 문서화되어 있다.[3] 부족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약용 및 식량 확보 목적으로 다양한 식물을 사용했다.[4]

어독초의 사용은 인류 역사에서 매우 오래된 관행이다. 1212년, 프리드리히 2세는 특정 식물 어독의 사용을 금지했고, 15세기에는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이와 유사한 법률이 제정되었다.[5] 전 세계적으로 원주민들은 미국[6]을 포함하여 타라후마라 인디언들 사이에서 다양한 어독초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죽인다.[7]

허브 기반의 물고기 마비제는 입증된 어업 수단이다. 이러한 식물 중 다수는 오랫동안 현지인들이 사용해 왔으며, 진통제[8] 및 지사제[9]와 같은 약효가 있는 것으로 테스트를 통해 밝혀졌다. ''Careya arborea''와 같은 일부 식물은 국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독이다.[10][11] ''Lannea coromandelica''의 수피 추출물은 세포막의 용해를 유발하고 그 후 세포 물질의 파편화를 일으켰다.

3. 1. 주요 성분

3. 2. 작용 기작

4. 주요 어독초

열매를 맺은 어독초(''Oduku'') (''Cleistanthus collinus'', Phyllanthaceae과)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과와 다수의 Euphorbiaceae과 식물들이 아프리카에서 대부분의 어독초로 사용된다.[12]

4. 1. 아시아



인도 곤디족은 Olacaceae과의 ''Olax'' 잎을 말리고 가루로 만들어 어독초로 널리 사용한다. 약 1.5m 깊이의 연못에 약 1kg의 가루를 물에 섞어 사용하며, 온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다.[12]

Loganiaceae과의 ''Strychnos lucida'', Fabaceae과의 ''Acacia auriculiformis'', ''Acacia holosericea'', ''Tephrosia phaeosperma'', ''Tephrosia polyzyga'', Meliaceae과의 ''Owenia vernicosa'', Sapindaceae과의 ''Atalaya hemiglauca'', Lecythidaceae과의 ''Barringtonia acutangula'', ''Planchonia carey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Lecythidaceae과의 ''Careya arborea''는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큰 낙엽수로, 뿌리 껍질을 으깨어 물에 섞으면 물이 검게 변한다.

Euphorbiaceae과의 ''Cleistanthus collinus''(곤디어로 ''odcha'')는 스리랑카에서 어린 싹을 물과 함께 으깨어 반죽 형태로 물에 섞어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데 사용한다.

Anacardiaceae과의 ''Lannea coromandelica''는 인도 마하라슈트라의 Mendha-Lekha forest에 풍부하게 분포하며, 열매를 으깨어 물에 섞어 사용한다.

Costaceae과의 ''Costus speciosus''는 인도에서 덩이줄기 형태의 뿌리줄기를 으깨어 물에 섞어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데 사용한다.

Sapotaceae과의 ''Madhuca indica''는 씨앗에서 기름을 제거한 후 남은 찌꺼기(현지에서 ''gara-dhep''이라고 불림)를 끓여 물에 섞어 사용하며, 물고기를 죽이는 효과가 있다.

Nauclea orientalis는 Rubiaceae과에 속하는 큰 나무로, 동남아시아와 호주에서 발견된다. 나무 껍질은 물고기 독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20]

Fabaceae과의 ''Pterocarpus marsupium''은 남아시아와 네팔에서 발견되며, 회색 껍질을 부수어 물에 섞어 물고기 독으로 사용한다.

4. 2. 오세아니아



호주 원주민들은 Loganiaceae과의 ''Strychnos lucida''를 어독초로 사용했다.[19] 또한, Fabaceae과의 ''Acacia auriculiformis'', ''Acacia holosericea'', ''Tephrosia phaeosperma'', ''Tephrosia polyzyga''와 Meliaceae과의 ''Owenia vernicosa''를 어독초로 사용했다.[19] Sapindaceae과의 ''Atalaya hemiglauca''와 Lecythidaceae과의 ''Barringtonia acutangula'', ''Planchonia careya''도 호주 원주민들이 사용한 어독초이다.[19]

동남아시아와 호주에서 발견되는 Rubiaceae과의 큰 나무인 ''Nauclea orientalis''(Leichhardt tree)의 나무 껍질은 물고기 독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20]

4. 3. 아메리카



캘리포니아 말밤나무(''Aesculus californica'')는 캘리포니아 참나무 삼림과 채퍼럴에서 흔히 발견되는 나무이다.[13] 큼지막한 오렌지색 열매를 따뜻한 물에 담가 우려내어 생기는 에스쿨린 혼합물을 물의 흐름이 느린 개울에 풀어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데 사용했다.[13] 캘리포니아의 많은 원주민 부족들은 전통적으로 사포닌을 함유한 비누풀 종인 ''Chlorogalum pomeridianum''을 어독초로 사용했다.[14] 그들은 뿌리를 빻아 물에 섞어 거품을 만든 다음 그 거품을 개울에 풀었다. 이 방법으로 물고기가 죽거나 무력해지면 물 표면에서 쉽게 수집할 수 있었다.[14] 래식, 루이세뇨, 유키, 요쿠츠, 칠룰라, 와일라키, 미워크, 카토, Mattole, 놈라키, 니시난 부족들이 이 기술을 사용했다.[14] 캘리포니아 원주민들은 또한 비누풀과 유사하게 으깬 ''Croton setiger''의 잎을 물고기 독으로 사용했으며, 이 기술을 후기 이민자들에게 전수했다.[15]

남동부 삼림 지역의 원주민들은 물고기 독을 사용하여 댐이나 어살로 물고기를 가둔 다음 무력화시키는 독을 풀었다.[16] 사용된 독성 식물에는 으깬 검은 호두(Juglans nigra), 서양 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Viburnum 등이 있다. 체로키 동부 부족 구성원들은 20세기까지 독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았다.[16]

인간에게 극도로 유독한 트로판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관목 ''Latua pubiflora''(Solanaceae과)는 과거 칠레 남부 로스 라고스 지방의 Huilliche 사람들이 천천히 흐르는 강에서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했다.[17][18] 이 식물은 단독으로 또는 ''Drimys winteri''(Winteraceae과)의 즙과 함께 사용했는데, 후자는 그 자체로 어독초였다.[17][18] 이 독은 물고기를 즉시 죽이는 대신 단순히 무력하게 만들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했다.[17][18]

Loganiaceae과의 ''Strychnos lucid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Fabaceae과의 ''Acacia auriculiformis'', ''Acacia holosericea'', ''Tephrosia phaeosperma'', ''Tephrosia polyzyg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Meliaceae과의 ''Owenia vernicos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Sapindaceae과의 ''Atalaya hemiglauc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Lecythidaceae과의 ''Barringtonia acutangula''와 ''Planchonia careya''는 호주 원주민들이 어독초로 사용했다.[19]

유럽에서 널리 도입된 종인 ''Verbascum thapsus''는 잎과 씨앗에 로테논을 함유하고 있으며 물고기 독으로 사용되어 왔다.

4. 4.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로스 라고스 지방의 Huilliche 사람들은 트로판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관목 ''Latua pubiflora''(Solanaceae과)를 천천히 흐르는 강에서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했다.[17][18] 이 식물은 단독으로 또는 ''Drimys winteri''(Winteraceae과)의 즙과 함께 사용했는데, ''Drimys winteri''는 그 자체로 어독초였다.[17][18] 이 독은 물고기를 즉시 죽이는 대신 단순히 무력하게 만들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했다.[17][18]

4. 5. 유럽



유럽에서는 널리 도입된 종인 ''Verbascum thapsus''가 잎과 씨앗에 로테논을 함유하고 있어 물고기 독으로 사용되어 왔다.[12]

4. 6. 아프리카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과와 다수의 Euphorbiaceae과 식물들이 아프리카에서 대부분의 어독초로 사용된다.[12]

5. 현대적 사용 및 규제

6. 어독초와 관련된 민속, 문화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Ethnozoology of the Tsou People: Fishing with poison http://tk.agron.ntu.[...]
[2] 문서 Jeremy, 2002
[3] 서적 Tradi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in New Caledonia: A Review of Existing Knowledge 1985
[4] 서적 Indian Folk Medicines and Other Plant-Based Products Jodhpur Scientific Publications 2007
[5] 문서 Wilhelm 1974
[6] 문서 Jeremy 2002
[7] 문서 Gajdusek 1954
[8] 문서 Ahmed et al. 2002
[9] 문서 Rahman et al. 2003
[10] 문서 Sarathchandra and Balakrishnamurthy 1997
[11] 문서 Thomas et al. 1991
[12] 학술지 Plants used for poison fishing in tropical Africa. 2004-09
[13] 웹사이트 California Buckeye: Aesculus californica http://globaltwitche[...] 2008
[14] 서적 Survival skills of native California https://books.google[...] Gibbs Smith 1999
[15] 서적 Plants Used by the Indians of Mendocino County, Californi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06-18
[16] 서적 Eastern Cherokee Farming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7] 간행물 An Account of the Fishing Industry in Chile Imprenta Moderna 1901
[18] 간행물 Latua pubiflora magic plant from southern Chile 1971-11-12
[19] 학술지 ETHNOBOTANICAL FIELD NOTES FROM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s://www.wikidata[...] 1991-01-01
[20] 서적 Floristic plan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1] 학술지 Plants used for poison fishing in tropical Africa. 2004-09
[22] 웹사이트 California Buckeye: Aesculus californica http://globaltwitche[...] 2008
[23] 서적 Survival skills of native California https://books.google[...] Gibbs Smith 1999
[24] 서적 Floristic plan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