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살은 물고기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고대 어로 방식이다. 삼국사기 등 고려 시대 문헌에서 어량으로도 불렸으며, 조선 후기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었다. 1970년대 이후 어선 어업 발달로 쇠퇴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 방식이 전승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의 어살이 존재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조상 대대로 내려온 어로 기술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었다. 어살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는 죽방렴, 독살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로 - 전기충격낚시
    전기충격낚시는 해저에 전기장을 발생시켜 어류를 포획하는 어업 방식으로, 연료 소비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소, 해저 생태계 파괴 최소화, 혼획 감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동물권 논란과 해양 생태계 영향에 대한 우려로 일부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으나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 어로 - 어독초
    어독초는 약용, 식량 확보, 어업 활동에 사용되는 식물을 통칭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활용되었으나, 수생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윤리적, 환경적 고려가 필요하다.
  • 어망 - 자망
    자망은 물고기 아가미에 걸리도록 설계된 어구로, 상업적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혼획 및 유령 어업 문제가 발생하여 그물코 크기 규제, 대체 어구 개발, 친환경 소재 사용 등 다양한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어망 - 저인망
    저인망은 그물을 끌어 물고기를 잡는 어업 방식으로,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규제가 이루어지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어살
개요
나무 어살
어살
정의조류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어구 또는 어법
유형고정식 어구
관련 어업전통 어업
특징자연적인 조류 이용,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
명칭
한국어어살 (eo-sal)
영어Fishing weir, Fishgarth
구조 및 원리
구조말뚝
그물 또는 울타리
통발
원리밀물 때 물고기가 어살 안으로 들어옴
썰물 때 물고기가 갇힘
갇힌 물고기를 잡음
종류
재료에 따른 분류나무 어살
돌 어살
혼합형 어살
형태에 따른 분류(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지역별 어살
한국서해안
남해안
동해안
필리핀필리핀의 강어귀에서 사용되는 어구에 대한 현장 안내서 참고
기타 지역(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문화재 지정
지정 종류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명칭어살
지정 사유전통 어로 방식의 보존 가치
참고자료함정둘러 고기잡기, 전통어로 '어살' 국가무형문화재로 (뉴시스 기사)
관련 법규
필리핀어업 행정 명령 154호
참고 문헌
서적Fraser's Magazine의 British Salmon Fisheries
온라인 자료Merriam Webster online의 Fishgarth
기타
참고 자료조상들은 어떻게 생선을 잡았을까 (사이언스타임즈 기사)

2. 역사

어살은 삼국사기고려사고려 시대의 문헌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조선 초기 문헌인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서는 '''어량'''(魚梁)으로 불리기도 하였다.[29] 조선 후기(16~17세기)에는 상업 발달과 해산물 수요 증가로, 어살이 지역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여러 가지 형태가 나타났다.[29] 1970년대 이후 연근해 어선 어업이 발달하면서 어살을 포함한 전통어로방식은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29] 영어 단어 "weir"는 앵글로색슨어 ''wer''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물고기를 잡는 장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1. 한국

고려 시대 문헌인 《삼국사기》, 《고려사》 등에서 어살에 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으며, 조선 초기 문헌인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서는 '''어량'''(魚梁)으로 불리기도 하였다.[29]

조선 후기(16~17세기)에는 상업 발달과 해산물 수요 증가로, 어살이 지역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서해안의 주벅, 남해안의 방렴, 장살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났다.[29]

1970년대 이후 연근해 어선 어업 발달로 어살을 포함한 전통어로방식은 상대적으로 쇠퇴하였으나, 남해군 지족해협과 사천시 마도, 저도 등에 설치된 죽방렴 멸치잡이 등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29]

2. 2. 세계

카우이찬 강의 밴쿠버 아일랜드에 있는 쿼미찬 마을의 연어 어살, c. 1866


알곤킨족이 통나무 카누에서 어살과 창으로 낚시를 하고 있다. 식민지 개척자 존 화이트의 그림(1585)을 바탕으로 제작.


펑후 제도의 이중 하트 돌담 어살, 타이완


하와이 칼로코-호노코하우 국립 역사 공원의 고대 '아이오피오' 돌 어살


바누아투 에파테 섬의 어살


케냐에서 발견된 아슐리안 시대의 돌무더기는 선사 시대 호수에서 조수 둑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만약 사실이라면 이 기술은 현생 인류보다 오래된 것일 수 있다.[6] 2014년 9월, 빅토리아 대학교 연구원들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 구아이 해안에서 약 36.58m 깊이의 물속에 있는 14,000년 된 어살로 밝혀질 수 있는 것을 조사했다.[7]

버지니아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포토맥 강과 제임스 강에 V자형 돌 어살을 건설했다. 1768년과 1828년 사이에 항해를 방해하는 어살과 1800년대 중반부터 스포츠 낚시에 해로운 것으로 여겨지는 어살을 파괴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이루어졌다.[8]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백 베이 지역에서는 지하철 터널 및 건물 기초 공사 중 발굴 작업에서 보일스턴 스트리트 피쉬위어의 나무 말뚝 잔해가 문서화되었다. 보일스턴 스트리트 피쉬위어는 3,700년에서 5,200년 전에 조수 해안선 근처에 건설되고 유지된 일련의 어살이었다.

노바스코샤 원주민들은 슈베나카디, 나인 마일, 스튜이아키 강으로 계절에 따라 올라오는 샤드를 잡기 위해 강 전체에 걸쳐 있는 어살을 사용하고, 그물로 갇힌 물고기를 긁어냈다. 펀디 만에서는 조류를 따라가는 청어를 잡기 위해 고조 시 물고기를 가두는 원형 구조가 있는 V자형 어살이 사용된다. 비슷한 V자형 어살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도 조수의 변화 동안 연어를 "V"의 끝으로 모으는 데 사용된다.

허드슨 만 로우랜드의 크리족은 빠르게 흐르는 강을 가로질러 기둥 울타리와 함정으로 구성된 어살을 사용했다. 물고기는 기둥에 의해 경사로로 유도되어 함께 묶인 기둥으로 만들어진 상자 모양의 구조로 들어갔다. 경사로의 상단은 물 표면 아래에 있지만 상자의 상단보다 약간 위에 있어 물의 흐름과 경사로의 오버행이 물고기가 상자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았다. 그런 다음 물고기는 물고기 건지개로 상자에서 긁어냈다.[9]

볼리비아 바우레스 지역의 야노스 데 모호스 일부인 알려지지 않은 콜럼버스 이전 문화에 의해 대규모의 어살, 운하 및 인공 섬이 건설되었다.[10] 이 토목 공사는 500km2 이상을 차지하며 기원전 3000년경에 크고 밀집된 인구를 지원했던 것으로 보인다.[11]

돌 어살은 6,000년 전 칠레 해안의 칠로에 섬에서 사용되었다.[12]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한 돌 어살은 항해에 능숙했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조상 대대로 내려온 어로 기술 중 하나이다. 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 기간 동안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한 지역 전역에서 발견되며, 모양과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 타이완의 펑후 제도, 필리핀, 미크로네시아 전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또한 인도네시아 동부,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에서도 널리 분포한다. 타이완에는 약 500개의 돌 어살이 남아 있으며, 미크로네시아의 모든 섬에는 수백만 개의 돌 어살이 존재했었다. 이들은 필리핀의 비스야 제도에서는 atobceb, 추크주에서는 maaichk, 야프주에서는 aechyap, 하와이에서는 loko ‘umeikihaw, 뉴질랜드에서는 pāmi 등으로 불리며, 이 외에도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된 돌 어살의 예는 먀오리현에 있는 타이완 원주민인 타오카스족이 건설했다.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한 돌 어살 기술은 타이완이 최근 몇 세기 동안 중국일본 제국의 관할하에 놓이면서 인접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규슈에서는 ishihibi일본어 또는 sukki일본어, 류큐 열도에서는 kaki일본어, 대한민국 (특히 제주도)에서는 dŏksal한국어, sŏkpangryŏm한국어, sŏkchŏn한국어, 또는 wŏn한국어, 타이완에서는 chioh-honan로 불린다.

한족 또한 강 하구에 대나무 문이나 "커튼"을 사용하는 hu중국어로 알려진 별개의 고대 어살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중국에서 적어도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 유럽에서는 나무 기둥과 잔가지 울타리로 대규모 어살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강에 설치된 V자형 구조물은 물고기를 어획기나 그물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아일랜드에서는 어살과 관련된 어로 시설의 발견이 8,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돌로 된 조수 어살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었으며, 1707년에는 일본 시마바라 반도 해안을 따라 360미터 길이에 달하는 구조물을 포함하여 160개의 어살이 사용되었다.[26]

3. 종류

서해 연안에서 조기 등이 회유하는 길목에 나무 기둥을 박고, 그 사이에 큰 그물(정치망)을 설치하여 조류에 밀리는 물고기를 잡는 주목망과, 물살이 드나드는 좁은 바다 물목에 대나무 기둥을 세우고 대나무 발 그물로 엮어 물고기를 잡는 죽방렴(대나무 어사리)이 사용되었다.[28][30][31]

3. 1. 한국

한국에서는 서해 연안에서 조기 등이 회유하는 길목에 나무 기둥을 박고, 그 사이에 큰 그물(정치망)을 설치하여 조류에 밀리는 물고기를 잡는 주목망이 사용되었다.[28][30] 또한, 물살이 드나드는 좁은 바다 물목에 대나무 기둥을 세우고 대나무 발 그물로 엮어 물고기를 잡는 죽방렴(대나무 어사리)도 사용되었다.[28][31]

3. 2. 세계

서해 연안에서 조기 등을 잡는 데 사용되는 주목망은 나무 기둥과 그물로 물고기를 잡는 방식이다.[28][30] 죽방렴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어로 방식이다.[28][31]

케냐에서는 아슐리안 시대의 돌무더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현생 인류 이전의 어살 기술일 가능성을 보여준다.[6] 2014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 구아이 해안에서는 14,000년 전의 어살이 발견되어 조사되었다.[7]

버지니아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포토맥 강과 제임스 강에 V자형 돌 어살을 건설했다. 1705년 로버트 베벌리 주니어는 이를 "강 전체에 걸쳐 돌을 쌓아 댐을 만드는 방식"으로 묘사했다.[8] 초기 정착민들도 이 방식을 사용했지만, 18세기 후반부터는 항해와 스포츠 낚시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어살을 파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8]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보일스턴 스트리트 피쉬위어는 3,700년에서 5,200년 전에 건설된 어살 유적이다. 노바스코샤 원주민들은 슈베나카디 강 등에서 샤드를 잡기 위해 어살을 사용했다. 펀디 만과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V자형 어살이 청어연어를 잡는 데 사용되었다. 허드슨 만 로우랜드의 크리족은 기둥 울타리와 함정을 이용한 어살을 사용했다.[9]

볼리비아 바우레스 지역의 야노스 데 모호스에서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대규모 어살, 운하, 인공 섬이 건설되었다.[10][11] 칠레 칠로에 섬에서는 6,000년 전부터 돌 어살이 사용되었다.[12]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한 돌 어살 기술을 사용했으며, 이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과 함께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타이완 펑후 섬, 필리핀, 미크로네시아, 인도네시아 동부,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타이완에는 약 500개의 돌 어살이 남아 있으며, 미크로네시아의 모든 섬에는 수백만 개의 돌 어살이 존재했었다. 먀오리현의 타오카스족이 건설한 가장 오래된 돌 어살이 있다.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한 돌 어살 기술은 중국일본 제국의 영향을 받아 인접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규슈에서는 ishihibi일본어 또는 sukki일본어, 류큐 열도에서는 kaki일본어, 대한민국 (특히 제주도)에서는 덕살한국어, 석방렴한국어, 석전한국어, 또는 원한국어으로 불린다. 한족은 滬중국어로 알려진 별개의 고대 어살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에서 적어도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 유럽에서는 나무 기둥과 잔가지 울타리로 대규모 어살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V자형 구조물은 물고기를 어획기나 그물로 유도했다. 바구니 어살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버들가지 원뿔로 구성되었다.[17] 아일랜드에서는 어살 관련 시설이 8,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일본 시마바라 반도 해안에는 1707년에 어살이 사용되었다.[26]

4. 갤러리

19세기 덴마크 해안에서 장어를 잡는 데 사용된 어살


일본의 급류인 모가미강에 있는 어살

참조

[1] 웹사이트 Fishgarth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Inc 2014-07-03
[2] 서적 Fishing Excerpts, Volume 3 1861-06
[3] 서적 Field Guidebook on Philippine Fishing Gears: Fishing Gears in Estuaries https://www.chikyu.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y and Nature 2017
[4] 서적 Fisheries Administrative Order No. 154 https://www.bfar.da.[...]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od,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86
[5] 웹사이트 River Fisheries and Coastal Fish Weirs https://www.english-[...] English heritage 2014-07-03
[6] 간행물 Human Ecology During Pleistocene and Later Times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1960
[7] 웹사이트 Canada's Oldest Archaeological find unearthed on Haida Gwaii http://globalnews.ca[...] 2014-09-24
[8] 서적 Material Culture from Prehistoric Virginia Authorhouse 2009-04-01
[9] 서적 Muskekowuck Athinuwick: Original People of the Great Swampy Land University of Manitoba Press 2002-01-01
[10] 기타 Erickson, Clark (2000): "An artificial landscape-scale fishery in the Bolivian Amazon". http://www.nature.co[...]
[11] 기타 Erickson, Clark (2000b): "AN ARTIFICIAL LANDSCAPE-SCALE FISHERY IN THE BOLIVIAN AMAZON http://ccat.sas.upen[...] 2008-01-17
[12] 서적 Polynesians in America: Pre-Columbian Contacts with the New World AltaMira Press 2011
[13] 간행물 Tidal Stone-Walled Fish Weirs across Asia-Pacific: An Austronesian Cultural Identity and Its Relevance in Marine Ecology Conservation 2024-04-16
[14] 간행물 Reviving Community Spirit: Furthering the Sustainable, Historical and Economic Role of Fish Weirs and Traps 2013-06
[15] 간행물 Evolution of stone fish weirs in Jibei area, Penghu Archipelago (eighteenth to twenty-first century) 2023-12-31
[16] 간행물 On the Frontline of Climate Change: The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of Stone Tidal Weirs 2022-09-01
[17] 기타 Shooting and Fishing the Trent http://www.le.ac.uk/[...] 2007-01-25
[18] 웹사이트 Ynys Gorad Goch https://menaibridges[...] Menai Bridge Community Heritage Trust 2018-09-30
[19] 기타 Reid, Ian (2001): "Rhos-on-Sea Heritage Trail". http://www.bbc.co.uk[...]
[20] 웹사이트 Traeth Lligwy Fish Weir https://ancientmonum[...] 2018-02-24
[21] 기타 The Text of Magna Carta http://www.fordham.e[...]
[22] 기타 Byrne, Muriel St. Clare, (ed.) The Lisle Letters, 6 vo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London, 1981, vol.2, p.622, quoting Luders, A., Statutes of the Realm, vol.2, 1810–28, pp.439–42
[23] 기타 Byrne, Muriel St. Clare, (ed.) The Lisle Letters, 6 vo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London, 1981, vol.2, p.628
[24] 기타 Byrne, Muriel St. Clare, (ed.) The Lisle Letters, 6 vo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London, 1981, vol.2, pp.623-627
[25] 기타 Byrne, 1981, 6 vols., the matter is referred to in all 6 vols
[26] 서적 Maritime Adaptations of the Pacific Walter de Gruyter 1975
[27] 웹인용 어살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9-05-02
[28] 뉴스 조상들은 어떻게 생선을 잡았을까 https://www.sciencet[...] 사이언스타임즈 2019-04-11
[29] 뉴스 함정둘러 고기잡기, 전통어로 '어살' 국가무형문화재로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9-04-03
[30] 웹인용 주목망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9-05-02
[31] 웹인용 죽방렴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9-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