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글렌타인 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글렌타인 젭은 영국의 사회 개혁가로, 특히 아동 권리 옹호와 구호 활동에 헌신했다.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과 오스트리아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세이브더칠드런 기금을 설립했으며, 이후 국제 세이브 더 칠드런 연맹을 결성했다. 젭은 1924년 국제 연맹에서 채택된 아동 권리 선언(제네바 선언)을 기초했으며, 이 선언은 1959년 UN에서 확장 채택되고 1989년 UN 아동권리협약의 핵심 개념이 되었다. 그녀는 1928년 사망했으며, 현재까지 세이브더칠드런의 정신적 지주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선 단체 설립자 - 베티 포드
베티 포드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사회 운동가로, 여성 권리 신장, 유방암 인식 개선, 알코올 및 약물 의존증 치료 등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1982년 알코올 및 약물 의존증 치료 센터를 설립했다. - 자선 단체 설립자 - 바버라 피어스 부시
바버라 피어스 부시는 조지 W. 부시의 쌍둥이 딸로, 예일 대학교와 하버드 케네디 스쿨을 졸업하고 Global Health Corps의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각본가 크레이그 코인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레이디 마거릿 홀 칼리지 동문 - 새뮤얼 웨스트
새뮤얼 웨스트는 영화, 드라마, 연극, 라디오, 오디오북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영국의 배우, 연출가, 낭독가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레이디 마거릿 홀 칼리지 동문 - 베나지르 부토
베나지르 부토는 파키스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최연소 총리로, 파키스탄 인민당을 이끌며 두 차례 총리에 취임했으나 부정부패 혐의로 해임되었고, 귀국 후 암살당해 파키스탄 민주주의와 여성 정치 참여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 20세기 기독교 성인 -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 슈타인은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철학자이자 가톨릭 성녀로, 현상학 및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 연구에 기여했으며, 나치의 박해로 아우슈비츠에서 순교, 가톨릭 개종 후 가르멜 수녀회 수녀로 활동하며 기독교적 존재론을 연구했고, 유럽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 20세기 기독교 성인 - 잔나 베레타 몰라
이탈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가톨릭 성인인 잔나 베레타 몰라는 넷째 아이를 임신 중 자궁의 섬유종 제거 수술에서 자신의 생명보다 아이의 생명을 선택하여 숭고한 모성애를 보여주었다.
에글렌타인 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글렌타인 제브 |
출생 | 1876년 8월 25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슈롭셔주 엘즈미어 |
사망 | 1928년 12월 17일 (향년 52세) |
사망지 | 제네바, 스위스 |
국적 | 영국 |
직업 | 사회 개혁가 |
알려진 업적 | 세이브 더 칠드런 창립 (1919년) 아동 권리 선언 초안 작성 (1924년) |
부모 | 아서 제브와 이글렌타인 루이자 제브 |
친척 | 루이자 윌킨스 (자매); 도로시 프랜시스 제브 (자매) |
교육 | |
모교 | 옥스퍼드 대학교 |
2. 성장기
에글렌타인 젭은 1876년 슈롭셔 엘스미어에서 태어나, 가족 소유의 인근 저택인 "더 리스"에서 성장했다. 젭 가문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공공 서비스에 헌신하는 부유한 가문이었다.[2]
2. 1. 가족 배경과 환경
에글렌타인 젭은 1876년 영국 중서부 슈롭셔 엘스미어에서 태어나 가족 사유지에서 자랐다. 젭 가문은 부유한 집안이었으며 사회적 양심을 가지고 공익에 헌신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녀의 어머니 에글렌타인 루이자 젭은 벽지 젊은이들의 아츠 앤 크래프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홈 아트 앤 인더스트리즈 협회를 설립했다. 그녀의 자매 루이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여성 토지군 조직을 도왔으며, 또 다른 자매이자 노동당 국회의원 찰스 로든 벅스턴과 결혼한 도로시 프란시스 젭은 전쟁 후 독일인들을 악마화하는 처사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펼쳤다.[2] 아버지 쪽 고모는 빅토리아 시대의 "신 여성"으로서 그녀와 형제자매들에게 목공, 낚시, 납을 녹여 총알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고, 당시 극소수의 여성만이 대학에 진학하던 시대에 그녀에게 대학 진학의 영감을 주었다.[1]2. 2. 교육과 초기 경험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이디 마거릿 홀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말보로의 성 피터 주니어 스쿨에서 1년간 교사 생활을 한 후, 어린이들이 직면한 곤경과 곳곳에 만연한 빈곤의 본질을 깨닫게 되고, 마침내 교사가 되는 것이 그녀의 소명이 아님을 확신한다.[1]그 후 에글렌타인은 병든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케임브리지로 거처를 옮긴다. 그곳에서 구호사업에 과학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자선 조직 협회와 만나게 된다. 이 만남은 그녀가 도시 상태에 관한 대규모 조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계기가 되었고, 1906년 연구결과를 토대로 『케임브리지, 사회 문제 연구』를 출판하였다.
1913년 마케도니아 구제 기금을 대표하여 마케도니아로 가는 여정을 맡아줄 것을 요청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에 바로 돌아온 그녀는 곧 도로시가 추진하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당시 도로시는 유럽신문 - 독일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을 포함하여 - 의 수입과, 적국 국민들의 생활이 정부의 선전보다 더 열악한 상황임을 폭로하는 케임브리지 매거진의 기사를 발췌를 진행하고 있었다.
3. 사회 운동의 시작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마치고 교사 생활을 시작했지만, 에글렌타인 젭은 어린이들이 처한 현실과 빈곤의 심각성을 깨닫고 교사의 길을 포기한다. 병든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케임브리지로 이주한 후,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sation Society)에 참여하여 도시 환경 조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1906년 연구 결과를 책으로 출판한다.
1913년 마케도니아 구호 기금 요청으로 마케도니아를 방문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에 돌아온다. 이후 동생 도로시가 유럽 신문 기사를 발췌하여 적국 국민들의 어려운 현실을 알리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젭 자매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어린이들이 전쟁과 연합군의 봉쇄 정책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들은 영국 정부에 봉쇄 정책 중단을 촉구하기 위해 1919년 기아퇴치위원회(the Fight the Famine Council)를 설립했다.[1]
3. 1. 케임브리지에서의 활동 (1900-1918)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이디 마거릿 홀에서 역사를 공부하고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지만, 에글렌타인 젭은 말보로의 성 피터 주니어 스쿨에서 1년간 교사 생활을 하며 어린이들이 직면한 곤경과 빈곤의 심각성을 깨닫고 교사가 자신의 길이 아님을 확신한다.[5]이후 젭은 병든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케임브리지로 이주하여,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sation Society)에 참여한다.[1] 이 단체는 구호사업에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곳이었다. 젭은 이 단체에서 활동하며 도시 환경에 대한 대규모 조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1906년에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케임브리지, 사회 문제 연구』(Cambridge, a Study in Social Questions)를 출판하였다.[6]
1913년, 젭은 마케도니아 구제 기금(MRF)의 요청으로 마케도니아를 방문하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에 귀국한다.[6] 귀국 후, 젭은 여동생 도로시가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도로시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포함한 유럽 신문을 수입하여, 정부의 선전과는 달리 적국 국민들의 생활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폭로하는 케임브리지 매거진의 기사를 발췌하고 있었다.[1]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인도주의 활동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이디 마거릿 홀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교사 교육을 받은 에글렌타인 젭은, 말보로의 성 피터 주니어 스쿨에서 1년간 교사로 일했다. 하지만 어린이들이 겪는 어려움과 만연한 빈곤을 깨닫고 교사가 자신의 길이 아님을 확신했다.[5]이후 병든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케임브리지로 이주한 젭은,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sation Society)에 참여하여 도시 환경 조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1906년에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문제연구』(Study in Socal Questions)를 출판했다.[6]
1913년, 젭은 마케도니아 구제 기금(MRF)의 요청으로 마케도니아를 방문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에 돌아왔다.[6] 그녀는 곧 여동생 도로시가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 도로시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를 포함한 유럽 신문들을 수입하여 케임브리지 매거진(Cambridge Magazine)에 기사를 발췌, 게재하여 적국 국민들의 열악한 생활상을 폭로하는 활동을 하고 있었다.[1]
전쟁이 끝나갈 무렵,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붕괴 직전이었다. 젭과 도로시는 이들 국가의 어린이들이 전쟁과 연합군의 봉쇄 정책으로 인해 끔찍한 고통을 받고 있음을 인지했다. 1919년, 두 사람은 영국 정부에 봉쇄 정책 중단을 촉구하기 위해 영향력 있는 인사들을 모아 기아퇴치위원회(the Fight the Famine Council)를 설립했다.
4. 세이브더칠드런 설립과 활동
에글렌타인 젭은 1919년 전쟁으로 고통받는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기아와 싸우는 위원회'를 설립하고, 연합국 봉쇄 해제를 촉구했다.[6] 트라팔가 광장에서 전단지를 배포하다 체포되기도 했지만, 검찰이 벌금을 대신 납부했다.[11]
이후 위원회는 세이브더칠드런 기금을 설립하여 실질적인 원조를 제공했다. 1921년 러시아 대기근 발생 후, 새로운 모금 활동으로 기부금이 크게 증가했고, 세이브더칠드런 팀은 러시아 사라토프에 파견되어 구호 활동을 펼쳤다.[11]
4. 1. 세이브더칠드런 설립 (1919)
1919년, 에글렌타인 젭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어린이들을 돕기 위한 기금 마련을 목표로 세이브더칠드런을 설립했다. 1919년 5월 19일, 런던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열린 출범식은 영국 대중의 큰 호응을 얻어 예상보다 많은 기금이 모였다.[5][12]기금의 성공에 힘입어 에글렌타인과 그녀의 동생 도로시는 어린이를 위한 국제적인 운동을 시작했다. 1920년, 제노바에서 영국 세이브더칠드런 기금과 스웨덴의 레다 바르넨을 중심으로 국제 세이브 더 칠드런 연맹이 설립되었다.
에글렌타인은 런던에서 연맹의 책임자가 되었고, 자선조직협회에서 배운 전문적인 모금 방식을 도입하였다. 루이스 골든을 관리자로 채용하여 신문에 전면 광고를 싣는 혁신적인 방법을 시도하였고, 이는 큰 성공을 거두어 많은 기금을 모을 수 있었다.
4. 2. 국제 세이브더칠드런 연맹 설립 (1920)
1919년 5월 19일, 런던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세이브더칠드런이 출범했다. 이 조직은 단기간에 영국 대중으로부터 많은 기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고, 구호 사업 체계화를 위해 공무원들이 파견되었다.[1]에글렌타인과 도로시는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어린이들을 위한 국제적인 운동을 시도했다. 그 결과 1920년, 영국 세이브더칠드런 기금(British Save the Children Fund)과 스웨덴의 Rädda Barnen(레다 바르넨)이라는 단체의 협력으로 제노바에서 국제세이브더칠드런연맹(The International Save the Children Union)이 설립되었다.[1]
런던에서 국제세이브더칠드런연맹의 책임자가 된 에글렌타인은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sation Society)에서 배웠던 대로 모금 활동은 반드시 전문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했다.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관리자로 채용된 루이스 골든(Lewis Golden)은 신문에 전면 광고를 싣는 혁신적이면서도 논란이 많은 접근을 시도했다.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기금 사업을 위한 상당한 양의 자금을 모을 수 있었다.[1]
4. 3. 전문적인 기금 모금 및 구호 활동
에글렌타인 젭은 전문적인 기금 모금 방식을 채택하여 구호 활동을 조직하고 확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19년,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어린이들을 돕기 위한 기금 마련을 목적으로 세이브더칠드런을 설립, 런던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출범하여 단기간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5][12]기금 조성의 성공에 힘입어 젭은 국제적인 아동 운동을 추진, 1920년 제노바에서 영국 세이브더칠드런기금과 스웨덴의 레다 바르넨을 중심으로 국제 세이브 더 칠드런 연맹을 설립했다.
런던에서 국제세이브더칠드런연맹의 책임자가 된 젭은 자선조직협회에서 배운 전문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루이스 골든(Lewis Golden)을 관리자로 채용, 신문에 전면 광고를 싣는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상당한 양의 자금을 모금할 수 있었다.
1921년, 중앙유럽의 상황이 완화되면서 그리스와 주변 지역의 난민 문제에 집중, 이후 1921년 러시아 대기근이 발생하자 새로운 모금 활동을 통해 기부금을 크게 늘리고, 세이브더칠드런 팀을 러시아 사라토프에 파견하여 600톤의 식량과 의료 물품을 지원했다.[11]
5. 아동 권리 선언
에글렌타인 젭은 기금 운영에 있어 연구 결과에 근거한 계획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23년, 러시아 구호 활동이 마무리되어 가고 기금이 줄어들자, 아동 권리 문제로 관심을 돌렸다. 제네바에서 국제연맹과 회의를 갖고 아동 권리 선언문 초안을 작성했다. 이 선언문은 아동의 권리와 그 권리를 모든 정책의 중심으로 해야 할 국제사회의 의무를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듬해 국제연맹에 의해 채택되어 제네바 선언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유럽에 평화가 찾아오면서 구호 활동은 점차 감소했고, 세이브더칠드런의 새로운 목표는 아동 권리 선언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1925년, 제네바에서 첫 번째 국제아동복지회의가 개최되었다. 선언문은 여러 조직과 국가의 지지를 받았다. 1959년 UN에 의해 채택되었고, 1989년 UN 아동권리협약의 핵심적인 개념이 되었다.
5. 1. 아동 권리 선언 기초 (1923)
1923년, 러시아 구호 활동이 끝나가고 기금 수입이 급격히 감소하자, 에글렌타인 젭은 아동 권리 문제에 관심을 돌렸다. 그녀는 아동 헌장 초안을 가지고 국제 세이브 더 칠드런 연맹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제네바로 향했다.[6]젭은 아동의 권리와 국제 사회가 아동 권리를 계획의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할 의무를 주장하는 짧고 명확한 문서를 초안했다. 아동 권리 선언(또는 제네바 선언)으로 알려지게 된 이 문서는 1924년 국제 연맹에 의해 채택되었다.[6]
유럽에 평화가 찾아오고 구호 활동이 감소하면서, 세이브 더 칠드런 운동의 초점은 선언을 홍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925년, 제1차 국제 아동 복지 회의가 제네바에서 열렸다. 이 회의에서 선언은 여러 단체와 정부의 광범위한 논의와 지지를 받았다.[6] 이 선언은 1959년 UN에 의해 채택되었고, 1989년 UN 아동권리협약의 핵심적인 개념이 되었다.
5. 2. 국제 연맹 채택과 제네바 선언 (1924)
1923년, 러시아 구호 활동이 마무리되면서 기금이 급격히 줄어들자, 에글렌타인 젭은 아동 권리 문제로 관심을 돌렸다. 그녀는 아동의 권리와 국제 사회가 아동 권리를 계획의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할 의무를 주장하는 간결한 문서인 아동 권리 선언(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초안을 작성했다. 이 문서는 '제네바 선언'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1924년 국제 연맹(League of Nations)에 의해 채택되었다.[6]유럽에 평화가 찾아오고 구호 활동이 감소하면서, 세이브 더 칠드런 운동의 초점은 선언을 홍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925년, 제1차 국제 아동 복지 회의가 제네바에서 열려 여러 단체와 정부의 광범위한 논의와 지지를 받았다.[6] 이후 1959년 국제 연합(United Nations)에 의해 채택되었고, 1989년 UN 아동권리협약(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의 핵심 개념이 되었다.
5. 3. 아동 권리 선언의 확산과 영향
1923년, 러시아 구호 활동이 끝나가고 기금 수입이 줄자, 에글렌타인 젭은 아동 권리 문제에 집중했다. 그녀는 아동 권리 선언 초안을 작성하여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세이브 더 칠드런 연맹 회의에 참석했다. 이 선언문은 아동의 권리와 국제 사회의 의무를 강조했으며, 1924년 국제 연맹에 의해 채택되었다.[6]유럽에 평화가 찾아오면서 세이브 더 칠드런은 선언문 홍보에 주력했다. 1925년, 제네바에서 제1차 국제 아동 복지 회의가 개최되어 여러 단체와 정부의 지지를 받았다.[6] 1959년 UN(United Nations)은 확장된 아동 권리 선언을 채택했고, 이는 1989년 UN 아동권리협약의 핵심 개념이 되었다.
6. 죽음과 유산
에글렌타인 젭은 혁신적인 마케팅 기법뿐만 아니라 국제주의자, 평등주의자, 전문가, 그리고 세이브 더 칠드런의 정신적 지주로서 기억되고 있다.[1] 1919년, 젭과 그녀의 자매 도로시 벅스턴은 퀘이커 교도로 개종하여 영국에서 세이브 더 칠드런을 설립했고, 이듬해에는 제네바에 국제 기구를 설립했다.
세이브 더 칠드런은 오늘날까지 활동하고 있으며, 설립자 에글렌타인 젭을 기리는 파란색 명판이 말보로에 설치되었다 (2019년에 수정됨).[15]
젭의 '아동 권리 선언'은 1959년 유엔에서 채택되었고, 1989년 유엔 아동 권리 협약의 주요 영감이 되었다.
잉글랜드 성공회는 매년 12월 17일에 기념일을 통해 그녀의 삶과 봉사를 전례력에서 기념한다.[16]
6. 1. 죽음
에글렌타인 젭은 마지막 수년간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다. 세 차례의 갑상선종 수술 후 1928년, 제네바의 한 요양원에서 눈을 감았고, 성 조지 공동묘지에 묻혔다.[1]그녀의 묘비명에는 마태오복음 25:40의 인용구가 새겨져 있다.
>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내 형제 중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2024년 2월 7일, 제네바 정부는 아동 권리 옹호에 대한 그녀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유해를 제네바의 판테온으로 여겨지는 왕들의 묘지에 다시 안장했다.[13][14]
6. 2. 유산
에글렌타인 젭은 말년에 건강 문제로 고생했다. 갑상선종으로 세 번 수술을 받은 후, 1928년 제네바의 한 요양원에서 사망하여 성 조지 공동묘지에 묻혔다.[1] 그녀의 묘비에는 마태오복음 25:40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내 형제 중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라는 구절이 새겨져 있다.2024년 2월 7일, 제네바시는 아동 권리에 대한 젭의 헌신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유해를 왕들의 묘지로 이장했다.[13][14] 이 묘지는 제네바의 판테온으로 여겨지며, 도시와 지역 사회에 뛰어난 공헌을 한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
젭은 혁신적인 마케팅 기법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인사이자 평등주의자, 전문가, 그리고 세이브 더 칠드런의 정신적 지주로서 기억되고 있다. 세이브 더 칠드런은 오늘날까지 활동하고 있으며, 이 단체를 설립한 에글렌타인 젭을 기리는 파란색 명판이 말보로에 설치되었다. (2019년에 수정됨)[15]
젭의 '아동 권리 선언'은 확장되어 1959년 유엔에서 채택되었으며, 1989년 유엔 아동 권리 협약의 주요 영감이 되었다.
잉글랜드 성공회는 매년 12월 17일에 기념일을 통해 그녀의 삶과 봉사를 전례력에서 기념한다.[16]
참조
[1]
서적
The woman who saved the children : a biography of Eglantyne Jebb founder of Save the Children
Oneworld
2009
[2]
간행물
The Wellesley News (05-31-1928)
http://repository.we[...]
Wellesley College
1928
[3]
웹사이트
LMH, Oxford – Prominent Alumni
https://www.lmh.ox.a[...]
2024-09-14
[4]
웹사이트
Former St Peter's School {{!}} Commercial {{!}} Carter Jonas
https://www.carterjo[...]
2023-10-25
[5]
웹사이트
Eglantyne Jebb, Founder of Save The Children
https://www.museumof[...]
Museum of Cambridge
[6]
웹사이트
Jebb, Eglantyne (1876–1928), philanthropist
https://www.oxforddn[...]
2019-05-22
[7]
뉴스
Cambridge Independent Press
1907-11-08
[8]
뉴스
Cambridge Independent Press
1907-05-17
[9]
뉴스
Cambridge Independent Press
Cambridge Independent Press
2008-12-18
[10]
웹사이트
Blue Plaque-tastic!
http://www.claremull[...]
2014-12-28
[11]
웹사이트
Meet Our Founder: Eglantyne Jebb
https://www.savethec[...]
Save the Children – Canada
[12]
웹사이트
A Peace of Reconciliation
http://catalogue.roy[...]
2017-06-27
[13]
웹사이트
Eglantyne Webb Save the Children Founder Reburied in Geneva
https://www.bbc.co.u[...]
BBC News
2024-02-07
[14]
웹사이트
Save the Children's founder receives cemetery honour in Geneva in key centenary year
https://www.savethec[...]
2024-06-24
[15]
뉴스
Blue plaque celebrated wrong woman for 23 years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1-27
[1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