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피나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피나아과는 국화과의 하위 분류로, 9개 속에 9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아메리카, 주로 안데스 산맥에 분포하며, 9개 속, 93종을 포함한다. 유전적 분석을 통해 계통 분류가 연구되고 있으며, Schlechtendalia 속의 위치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기재된 식물 -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은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 오미자과, 트리메니아과를 포함하는 속씨식물 목으로, 목본 식물로 이루어져 있고, 꽃은 방사 대칭이며, 열매는 주로 장과 형태를 띠고, 한국에서는 오미자 등이 자생하며 생태계 보존 및 농가 소득 증대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1992년 기재된 식물 - 고들빼기
고들빼기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빗살 모양 잎과 노란색 꽃을 가지며, 어린잎은 쌉쌀한 맛이 나는 김치로 먹고 궁중 진상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2. 하위 분류
- 에스피나속(''Barnadesia'' Mutis ex L.f.)
- ''Arnaldoa'' Cabrera
- ''Chuquiraga'' Juss.
- ''Dasyphyllum'' Kunth
- ''Doniophyton'' Wedd.
- ''Duseniella'' K.Schum.
- ''Fulcaldea'' Poir.
- ''Huarpea'' Cabrera
- ''Schlechtendalia'' Less.
3. 계통 분류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7]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8][9][10], 에스피나아과는 국화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아과이다. 남아메리카, 특히 안데스을 중심으로 9속 93종이 분포한다.
''Schlechtendalia'' 속의 계통학적 위치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연구 결과로는 두 가지 가능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3]
분자계통학적 관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분자계통학적 관계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7]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8][9][10]에스피나아과는 9개 속, 93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아메리카, 주로 안데스에 분포한다.
''Schlechtendalia'' 속의 관계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다음 계통수는 현재의 과학적 통찰력을 반영하며, ''Schlechtendalia''는 두 가지 가능한 위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3]
아래는 에스피나아과의 계통수이다.
- ? ''Schlechtendalia luzulifolia'' ?
- Huarpea andina|우아르페아 안디나la
- Barnadesia|바르나데시아la
- Dasyphyllum|다시필룸la
- Archidasyphyllum|아르키다시필룸la
- Fulcaldea laurifolia|풀칼데아 라우리폴리아la
- Arnaldoa|아르날도아la
- Duseniella patagonica|두세니엘라 파타고니카la
- Doniophyton|도니오피톤la
- Chuquiraga|추퀴라가la
4. 갤러리
바르나데시오이데아아과에 속하는 일부 종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Schlechtendalia luzulifolia'', ''Chuquiraga spinosa'', ''Archidasyphyllum diacanthoides'', ''Dasyphyllum capitulum'', ''Dasyphyllum lanceolatum'', ''Arnaldoa macbrideana'', ''Chuquiraga oppositifolia'', ''Chuquiraga jussieui''.
참조
[1]
논문
New hypothese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arnadesioideae (Asteraceae) based on morphology.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01
[2]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ctuca and Helianthus (Asteraceae) plastid genomes: identification of divergent regions and categorization of shared repeats.
https://web.archive.[...]
2007
[3]
저널
Phylogeny of Barnadesioideae (Asteraceae) inferred from DNA sequence data and morphology
[4]
간행물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1992
[5]
저널
New Hypothese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arnadesioideae (Asteraceae) Based on Morphology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01-11
[6]
저널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ctuca and Helianthus (Asteraceae) plastid genomes: identification of divergent regions and categorization of shared repeats
http://www.amjbot.or[...]
2009-06-24
[7]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8]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9]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10]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