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들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들빼기는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적자색을 띠고, 잎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빗살 모양이다. 10~11월에 열매를 맺으며, 어린잎은 김치로 담가 먹는데, 쌉쌀한 맛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기재된 식물 -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은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 오미자과, 트리메니아과를 포함하는 속씨식물 목으로, 목본 식물로 이루어져 있고, 꽃은 방사 대칭이며, 열매는 주로 장과 형태를 띠고, 한국에서는 오미자 등이 자생하며 생태계 보존 및 농가 소득 증대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1992년 기재된 식물 - 에스피나아과
 에스피나아과는 국화과의 아과로,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9개의 속과 93개의 종을 포함하고, ''Schlechtendalia'' 속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에스피나속 (''Barnadesia'')이 기준 속이다.
- 몽골의 식물상 -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6~8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꽃을 피우고 구맥이라고도 불린다.
- 몽골의 식물상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고들빼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속 | 고들빼기속 | 
| 종 | 고들빼기 | 
| 학명 | Crepidiastrum sonchifolium | 
| 학명 명명자 | (Maxim.) Pak & Kawano | 
| 이명 | Crepidiastrum sonchifolium var. elegans (Franch.) Sennikov Crepidiastrum sonchifolium var. sonchifolium Crepidiastrum sonchifolium subsp. sonchifolium Ixeridium elegans (Franch.) C.Shih Ixeridium sonchifolium (Maxim.) C.Shih Ixeris denticulata subsp. elegans (Franch.) Stebbins Ixeris denticulata subsp. sonchifolia (Bunge) Stebbins Ixeris serotina (Maxim.) Kitag. Ixeris sonchifolia (Maxim.) Hance Ixeris sonchifolia var. serotina (Maxim.) Kitag. Ixeris sonchifolia var. sonchifolia Lactuca bungeana Nakai Lactuca denticulata var. sonchifolia Maxim. Lactuca elegans Franch. Paraixeris serotina (Maxim.) Tzvelev Paraixeris sonchifolia (Maxim.) Tzvelev Paraixeris sonchifolia var. serotina (Maxim.) Kitag. Paraixeris sonchifolia var. sonchifolia Youngia serotina Maxim. Youngia sonchifolia (Bunge) Maxim. | 
| 생물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목 | 국화군 | 
| 목 | 국화목 | 
| 과 | 국화과 | 
| 아과 | 치커리아과 | 
| 족 | 치커리족 | 
| 아족 | 나도민들레아족 | 
| 특징 | |
| 크기 | 20-100 cm | 
2. 생태
고들빼기는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적자색을 띤다.
2. 1. 형태
고들빼기는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적자색을 띠고 높이는 80cm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타원형으로 길이는 2.5~5 cm, 너비 14~17 mm이며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갈라져 빗살 모양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인데 양쪽면에 털은 없다. 줄기잎은 난형이고 길이 2.3~6 cm로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불규칙한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으나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두화는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붙으며 포(苞)가 2~3개 있다. 총포는 길이 5~6 mm이고 외포편은 일렬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이다. 화관은 황색이고 끝이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5~2 mm이고 잔털이 다소 있다. 수과는 검은색이고 편평한 원뿔형이며 관모는 백색이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길이는 0.3~0.4 cm로 갈색 또는 흑색이며, 갓털은 백색으로 길이는 0.3cm 정도이다.
2. 2. 생육 환경
고들빼기는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적자색을 띠고 높이는 80cm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타원형으로 길이는 2.5cm–5cm, 나비 14-17mm이며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갈라져 빗살 모양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인데 양쪽면에 털은 없다. 줄기잎은 난형이고 길이 2.3cm-6cm로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불규칙한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으나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두화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붙으며 포가 2-3개 있다. 총포는 길이 5mm-6mm이고 외포편은 일렬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이다. 화관은 황색이고 끝이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5mm-2mm이고 잔털이 다소 있다. 수과는 검은색이고 편평한 원뿔형이며 관모는 백색이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길이는 0.3cm~0.4cm로 갈색 또는 흑색이며, 갓털은 백색으로 길이는 0.3cm 정도이다.2. 3. 개화 및 결실
고들빼기는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란다. 꽃이 필 때까지 뿌리에서 나는 잎이 남아 있으며, 타원형으로 길이는 2.5cm~5cm, 너비는 14mm~17mm이다.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갈라져 빗살 모양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인데 양면에 털은 없다. 줄기잎은 달걀꼴이고 길이는 2.3cm~6cm로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불규칙한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으나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두화가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붙으며 포(苞)이 2~3개 있다. 총포는 길이 5mm~6mm이고 외포편은 일렬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이다. 화관는 황색이고 끝이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5mm~2mm이고 잔털이 다소 있다. 수과는 검은색이고 편평한 원뿔형이며 관모는 백색이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길이는 0.3cm~0.4cm로 갈색 또는 흑색이며, 갓털은 백색으로 길이는 0.3cm 정도이다.3. 관리 및 번식
고들빼기는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에는 토양이 비옥한 곳에 심고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5]
번식은 10월경 종자를 받아 보관 후 이른 봄 화단에 뿌려 번식한다.[5]
4. 쓰임새
고들빼기는 어린잎을 김치처럼 담가 먹는다. 고들빼기 김치는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궁중 진상품으로 그 유래가 깊다.[6]
4. 1. 고들빼기 김치
어린잎을 김치처럼 담가 먹기도 한다. 고들빼기 김치는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궁중 진상품으로 그 유래가 깊다. 고들빼기는 쓴맛과 독기가 너무 강하므로 일주일에서 보름간 물에 담가 쓴맛을 뺀다. 간을 하지 않고 양념을 많이 해서 담그는 것도 특징이다.[6]5. 사진
6. 이명
| 학명 | 
|---|
| Ixeris denticulata subsp. sonchifolia (Bunge) Stebbins | 
| Ixeris serotina (Maxim.) Kitag. | 
| Ixeris sonchifolia (Bunge) Hance | 
| Ixeris sonchifolia var. serotina (Maxim.) Kitag. | 
| Lactuca bungeana Nakai | 
| Lactuca denticulata var. sonchifolia Maxim. | 
| Lactuca sonchifolia (Bunge) Benth. & Hook. ex Debeaux | 
| Paraixeris serotina (Maxim.) Tzvelev | 
| Paraixeris sonchifolia (Bunge) Tzvelev | 
| Paraixeris sonchifolia var. serotina (Maxim.) Kitag. | 
| Prenanthes sonchifolia Bunge | 
| Youngia serotina Maxim. | 
| Youngia sonchifolia (Bunge) Maxim. | 
참조
[1] 
간행물
 
2017-07-31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3] 
간행물
 
2017-07-31
 
[4] 
웹사이트
 
Crepidiastrum sonchifolium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2-07-22
 
[5] 
서적
 
야생화도감[가을편]
 
푸른행복
 
2009
 
[6] 
서적
 
전남의 전통문화
 
전라남도
 
1983-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