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트리는 블록 코딩을 통해 문제 해결 학습을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013년에 발표되어 2015년 네이버 커넥트 재단에 인수되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코딩 도구로 채택되었다. '학습하기', '만들기', '공유하기' 등의 메뉴를 제공하며, '엔트리 이야기'라는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 간 소통을 지원한다. 엔트리는 '한국판 스크래치'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학습 기능 강화, 글상자 기능, 장면 전환, 다양한 외부 기능 지원 등에서 스크래치와 차이점을 보인다.
엔트리 학습하기에서는 간단한 블록 코딩을 이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 작품을 단계별로 따라가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서 실습하기도 있다.
2013년에 엔트리가 발표되었고, 2015년에는 네이버 커넥트 재단이 엔트리를 인수하여 비영리로 바뀌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코딩 도구로 채택되었다. 이후 2017년, 엔트리의 공유된 작품 수가 100만 개를 달성했다.
엔트리는 블록형 프로그래밍을 채택한 점과 자유로운 커뮤니티 위주의 사이트라는 점에서 '한국판 스크래치'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파고든다면 다른 점이 꽤 많다.
2. 메뉴
엔트리에서는 블록 코딩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 작품을 단계별로 따라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핵심 기능으로 작품 만들기가 있으며, 교과형 만들기, 스터디 만들기도 지원한다.
엔트리에서 제작된 작품은 '작품 공유하기'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된 작품은 커뮤니티의 '묻고 답하기'나 '노하우&팁' 게시판을 통해 피드백을 받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공유하기'를 통해 교육 자료를 공유하고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게시판과 공지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로운 주제로 글을 올리며 함께 소통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자신의 작품을 링크와 함께 홍보할 수 있다. 자유게시판 형태로 제공된다.
엔트리는 블록 코딩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하기' 기능을 제공한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를 단계별로 따라 하는 '교과서 실습하기'도 지원한다.
'만들기'에서는 핵심 기능을 이용해 작품을 만들거나, 교과형 만들기, 스터디 만들기를 할 수 있다. '공유하기'에서는 만든 작품이나 스터디를 공유할 수 있다.
커뮤니티 기능으로는 '묻고 답하기', '노하우&팁' 게시판이 있고,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게시판 형태로 운영되며, 공지사항도 제공된다.
사용자는 캐릭터를 꾸미고 다른 사람들이 만든 맵을 이용하거나, 직접 맵을 만들 수도 있다. https://space.playentry.org/explore 탐험하기에서 더 많은 기능을 탐험할 수 있다.
2. 1. 학습하기
엔트리 학습하기에서는 간단한 블록 코딩을 이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 작품을 단계별로 따라가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서 실습하기도 있다.
2. 2. 만들기
엔트리에서는 블록 코딩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 작품을 단계별로 따라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핵심 기능으로 작품 만들기가 있으며, 교과형 만들기, 스터디 만들기도 지원한다.
2. 3. 공유하기
엔트리에서 제작된 작품은 '작품 공유하기'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된 작품은 커뮤니티의 '묻고 답하기'나 '노하우&팁' 게시판을 통해 피드백을 받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공유하기'를 통해 교육 자료를 공유하고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게시판과 공지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4. 커뮤니티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로운 주제로 글을 올리며 함께 소통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자신의 작품을 링크와 함께 홍보할 수 있다.
자유게시판 형태로 제공된다.
2. 5. 탐험하기
엔트리는 블록 코딩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하기' 기능을 제공한다. 교과서에 실린 문제를 단계별로 따라 하는 '교과서 실습하기'도 지원한다.
'만들기'에서는 핵심 기능을 이용해 작품을 만들거나, 교과형 만들기, 스터디 만들기를 할 수 있다. '공유하기'에서는 만든 작품이나 스터디를 공유할 수 있다.
커뮤니티 기능으로는 '묻고 답하기', '노하우&팁' 게시판이 있고, 엔트리 이야기는 자유게시판 형태로 운영되며, 공지사항도 제공된다.
사용자는 캐릭터를 꾸미고 다른 사람들이 만든 맵을 이용하거나, 직접 맵을 만들 수도 있다. https://space.playentry.org/explore 탐험하기에서 더 많은 기능을 탐험할 수 있다.
3. 역사
2020년에는 인공 지능 블록이 탑재되었다. 인공 지능 블럭에는 사물 인식, 소리 인식 등의 기능이 있다.
2023년에는 10주년을 맞이했다.
2024년에는 탐험하기 기능과/ 늘이기, 데스크탑/모바일 판단문 블록이 생겼다. 또한 시작하기가 생겼지만 원작자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4. 스크래치와의 차이점
엔트리는 학습 기능, 교육자료, 강의 기능 등 학습과 관련된 기능이 많이 발전되어 있어 더 교육 중심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엔트리는 글상자 기능이 있고, 스크립트로 글의 내용을 바꿀 수 있는 반면,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면 글을 띄워서 스크립트로 내용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은 없다.
엔트리는 '장면'이라는 기능이 있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엔트리에서는 간단히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엔트리는 인공지능블록들과 확장 블록, 하드웨어 블록 등 스크래치에 비해 더 많은 외부기능을 지원한다.
엔트리는 공유 변수/리스트와 실시간 변수/리스트의 네 가지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에는 실시간 변수밖에 없다.
엔트리는 테이블 코드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는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
스크래치는 정지를 해도 스프라이트와 변수가 그대로 남아있는 반면, 엔트리는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오히려 엔트리처럼 변수 초기화되는게 더 편하다)
스크래치는 엔트리에 없는 색인식 블록,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이 존재한다.
엔트리보다 스크래치가 작품의 화질이 더 좋다.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스크래치와 달리,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을 지원한다.
스크래치에서는 문자/숫자값을 집어넣는 동그란 칸에 판단값(육각형 모양)을 집어넣을 수 있지만, 엔트리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엔트리파이선 기능을 이용해 버그를 써서 집어넣을수는 있긴 하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긴 하나, 스크래치에 비하면 벡터 형식에서의 기능들이 좀 부실하다.(그러나 모양 편집기에서의 '텍스트 넣기' 기능에선 엔트리가 글씨체를 더 믾이 지원한다.)
최적화 면에서는 스크래치 쪽이 압도적으로 좋은 편이다.
한국형 스크래치라고도 불리기도 하지만, 엔트리는 HTML와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기반으로 웹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스크래치와는 달리 블록이 따로 기다리기 코드를 넣거나 하지 않으면 한 번에 쭉 실행된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주어진 블록을 활용하여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는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엔트리는 "엔트리 파이썬!"이라는 모드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텍스트 코딩도 할 수 있다. 그 기능은 파이썬을 이수해야 이용하기 쉽다.
4. 1. 교육 기능 강화
엔트리는 블록형 프로그래밍을 채택한 점과 자유로운 커뮤니티 위주의 사이트라는 점에서 '한국판 스크래치'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른 점이 많다.
엔트리는 학습 기능, 교육자료, 강의 기능 등 학습과 관련된 기능이 많이 발전되어 있어 더 교육 중심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상자 기능을 통해 스크립트로 글의 내용을 바꿀 수 있다.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면 이 기능이 없다.
'장면' 기능을 통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간단히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블록, 확장 블록, 하드웨어 블록 등 스크래치에 비해 더 많은 외부 기능을 지원한다. 공유 변수/리스트와 실시간 변수/리스트의 네 가지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에는 실시간 변수밖에 없다. 테이블 코드도 지원하지만, 스크래치는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
스크래치는 정지해도 스프라이트와 변수가 그대로 남아있는 반면, 엔트리는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스크래치는 엔트리에 없는 색인식 블록,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이 존재한다. 엔트리보다 스크래치가 작품의 화질이 더 좋고,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을 지원한다.
스크래치에서는 문자/숫자값을 넣는 칸에 판단값을 넣을 수 있지만, 엔트리에서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엔트리파이선 기능을 이용해 버그를 써서 넣을 수는 있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지만, 스크래치에 비하면 벡터 형식에서의 기능들이 부실하다. 최적화 면에서는 스크래치 쪽이 압도적으로 좋다.
엔트리는 HTML와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기반으로 웹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블록이 따로 기다리기 코드를 넣거나 하지 않으면 한 번에 쭉 실행되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주어진 블록을 활용하여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는 제한된다. "엔트리 파이썬!" 모드를 통해 텍스트 코딩도 가능하다.
4. 2. 글상자 기능
엔트리는 글상자 기능을 제공하며, 스크립트를 통해 글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스크립트로 글 내용을 바꾸는 기능이 없다.
4. 3. 장면 전환
엔트리는 '장면' 기능을 통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간단하게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
4. 4. 확장 기능
엔트리는 확장 블록, 하드웨어 블록, 인공지능 블록 등 스크래치에 비해 더 많은 외부 기능을 지원한다.
4. 5. 변수/리스트 종류
엔트리는 공유 변수/리스트와 실시간 변수/리스트의 네 가지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에는 실시간 변수밖에 없다.
4. 6. 테이블
엔트리는 블록형 프로그래밍을 채택한 점과 자유로운 커뮤니티 위주의 사이트라는 점에서 '한국판 스크래치'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른 점이 많다.
엔트리는 학습 기능, 교육자료, 강의 기능 등 학습과 관련된 기능이 많이 발전되어 있어 더 교육 중심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엔트리는 글상자 기능이 있고, 스크립트로 글의 내용을 바꿀 수 있지만,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면 글을 띄워서 스크립트로 내용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은 없다.
엔트리는 '장면'이라는 기능이 있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엔트리에서는 간단히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엔트리는 인공지능 블록들과 확장 블록, 하드웨어 블록 등 스크래치에 비해 더 많은 외부 기능을 지원한다.
엔트리는 공유 변수/리스트와 실시간 변수/리스트의 네 가지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에는 실시간 변수밖에 없다.
엔트리는 테이블 코드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는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
스크래치는 정지를 해도 스프라이트와 변수가 그대로 남아있는 반면, 엔트리는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오히려 엔트리처럼 변수 초기화되는 게 더 편하다)
스크래치는 엔트리에 없는 색인식 블록,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이 존재한다.
엔트리보다 스크래치가 작품의 화질이 더 좋다.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스크래치와 달리,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을 지원한다.
스크래치에서는 문자/숫자값을 집어넣는 동그란 칸에 판단값(육각형 모양)을 집어넣을 수 있지만, 엔트리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엔트리파이선 기능을 이용해 버그를 써서 집어넣을 수는 있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긴 하나, 스크래치에 비하면 벡터 형식에서의 기능들이 좀 부실하다.(그러나 모양 편집기에서의 '텍스트 넣기' 기능에선 엔트리가 글씨체를 더 많이 지원한다.)
최적화 면에서는 스크래치 쪽이 압도적으로 좋은 편이다.
한국형 스크래치라고도 불리기도 하지만, 엔트리는 HTML와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기반으로 웹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스크래치와는 달리 블록이 따로 기다리기 코드를 넣거나 하지 않으면 한 번에 쭉 실행된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주어진 블록을 활용하여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는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엔트리는 "엔트리 파이썬!"이라는 모드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텍스트 코딩도 할 수 있다. 그 기능은 파이썬을 이수해야 이용하기 쉽다.
4. 7. 정지 시 초기화
엔트리는 스크래치와 달리 정지하면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4. 8. 스크래치에만 있는 기능
엔트리는 스크래치와 달리 색 인식 블록,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이 없다. 엔트리보다 스크래치의 작품 화질이 더 좋고, 최적화 면에서도 스크래치가 더 뛰어나다. 스크래치는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지만,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한다. 스크래치에서는 문자/숫자값을 넣는 칸에 판단값을 넣을 수 있지만, 엔트리에서는 불가능하다. 다만, 엔트리파이선을 이용해 버그를 써서 넣을 수는 있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스크래치에 비해 벡터 형식의 기능이 부실하다.
4. 9. 화질
엔트리보다 스크래치가 작품의 화질이 더 좋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긴 하나, 스크래치에 비하면 벡터 형식에서의 기능들이 좀 부실하다.
4. 10. 언어 지원
엔트리는 스크래치와 달리 지원하는 언어가 제한적이다. 한국어와 영어만을 지원한다.
4. 11. 블록 입력
엔트리는 블록형 프로그래밍을 채택한 점과 자유로운 커뮤니티 위주의 사이트라는 점에서 '한국판 스크래치'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른 점이 많다.
엔트리는 학습 기능, 교육자료, 강의 기능 등 학습 관련 기능이 스크래치보다 더 발전되어 있다. 글상자 기능이 있고 스크립트로 글 내용을 바꿀 수 있지만,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 외에는 글을 띄워 스크립트로 내용을 바꾸는 기능이 없다. '장면' 기능이 있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간단히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엔트리는 인공지능 블록, 확장 블록, 하드웨어 블록 등 스크래치보다 더 많은 외부 기능을 지원한다. 공유 변수/리스트와 실시간 변수/리스트의 네 가지가 있지만, 스크래치에는 실시간 변수밖에 없다. 테이블 코드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는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
스크래치는 정지해도 스프라이트와 변수가 그대로 남지만, 엔트리는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스크래치는 엔트리에 없는 색인식 블록,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이 있다.
작품의 화질은 스크래치가 더 좋다.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하지만, 스크래치는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스크래치에서는 문자/숫자값을 넣는 칸에 판단값(육각형 모양)을 넣을 수 있지만, 엔트리에서는 불가능하다. 엔트리파이선 기능을 이용해 버그를 써서 넣을 수는 있다.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지만, 스크래치에 비해 벡터 형식의 기능이 부실하다. 모양 편집기의 '텍스트 넣기' 기능에서는 엔트리가 더 많은 글씨체를 지원한다. 최적화는 스크래치가 압도적으로 좋다.
엔트리는 HTML와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기반으로 웹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블록이 따로 기다리기 코드를 넣지 않아도 순서대로 실행되는 것이 장점이다.
4. 12. 모양 편집기
엔트리는 모양 편집기에서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지만, 스크래치에 비해 벡터 형식의 기능이 부족하다. 그러나 모양 편집기의 '텍스트 넣기' 기능에서는 엔트리가 더 많은 글씨체를 지원한다.
4. 13. 최적화
엔트리는 최적화 면에서는 스크래치보다 부족한 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