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이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버는 1998년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다. 검색, 뉴스, 블로그, 카페, 웹툰,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0년대 초반부터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분야를 개척했다. 2010년대 이후 라인, 밴드, 네이버페이 등 모바일 서비스를 강화하며 일본 시장 진출과 철수를 겪었다. 검색 결과 조작, 폐쇄적인 정책,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 등 여러 논란과 비판을 받아왔으며,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폐지, 댓글 및 인물 연관 검색어 서비스 중단 등의 조치를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한국어 웹사이트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포털 사이트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포털 사이트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인터넷 검색 엔진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인터넷 검색 엔진 - 구글 검색
    구글 검색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검색 엔진으로,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검색 품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업데이트를 진행해 왔으나, 개인 정보 보호, 편향성 등의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네이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명네이버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Neibeo Jusikhoesa
설립일1999년
본사 위치성남시
모회사네이버 주식회사
자회사NAVER Mail
NAVER Map
NAVER News
웹사이트네이버
포털 사이트 정보
사이트 이름네이버
네이버 로고
로고
유형포털 사이트
등록선택 사항
사용 언어한국어
운영자네이버 (기업)
설립일1999년 6월 2일
현황운영 중
개요
한국어 명칭네이버
영어 명칭NAVER
상세 정보
회사 대표최수연
연간 방문자 수약 4억 4,067만 명 (2018년)
네이버 그린팩토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네이버 본사(그린 팩토리)

2. 역사

1999년 6월, 삼성그룹 계열사에서 개발된 검색 엔진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서비스로 출시되었다.[39] 2003년 야후! 코리아(Yahoo! Korea)를 제치고 한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39]

2000년 일본 법인 설립으로 해외 진출을 시작했으나, 2011년 모바일 메신저 앱인 "라인"(LINE)이 유행하기 전까지는 해외 진출은 실패로 여겨졌다.[40] 2010년에는 일본 포털 사이트라이브도어를 700억에 인수하여 한국 국내 및 일본 IT 업계에서 화제가 되었다.

"NAVER"라는 브랜드는 "LINE"이 히트하기 전까지 NHN Japan의 웹 서비스 사업 플래그십 브랜드 명칭이었다.[42]

과거 한국 국내에서 검색 횟수 점유율 77%(2012년 기준)를 차지했었으나,[33] 이후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현재는 점유율이 13%로 급격히 하락하였다(구글이 1위).[35]

점유율 유지를 위해 한국 특유의 인터넷 규제와 한국어 서비스에 특화된 점, 그리고 한국 최대 포털 사이트로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갈라파고스화'에 대한 우려와, 네이버를 '넷 재벌'로 보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36][37]

네이버는 한국에서 인기가 높은 포털 사이트인 만큼, 검색 순위 알고리즘 조작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38]

2. 1. 서비스 출시 및 성장 (1998년 ~ 2009년)

1998년 1월 네이버의 시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네이버는 '정보의 바다라고 일컫는 인터넷을 항해하는 사람'을 의미한다.[54]

1999년 6월 네이버컴(주)가 설립되었고, '네이버' 정식 서비스와 어린이 전용 포털인 '쥬니어네이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8월부터 접속 건수가 폭주하면서 하루 400만 건을 돌파하며 국내 2위권 검색 엔진으로 주목받았다.[55] 2000년 2월에는 처음으로 TV 광고를 선보였다.[56]

2000년 5월 '네이버 뉴스'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네이버 통합검색' 서비스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세계 최초로 다양한 유형의 검색 결과를 한 페이지에 제공하는 서비스였다.[2]

2001년 5월 '네이버 키워드 광고' 서비스와 '네이버 쇼핑'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2년 10월에는 '네이버 지식검색'(현 지식iN)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지식iN은 사용자가 질문을 올리고 다른 사용자가 답변하는 형식으로, 네이버는 이를 통해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분야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5]

2003년 10월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와 '네이버 지식쇼핑'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12월 '네이버 카페'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4년 5월 '네이버 지역정보검색'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4년 6월 '네이버 웹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7] 2004년 9월 '네이버 책'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5년 5월 '네이버 실시간 검색순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8] 2005년 8월 '네이버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5년 12월 '네이버 동영상 검색' 오픈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6년 6월 만화 UCC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네이버 툰'이 오픈되었다.

2008년 6월 자체 개발 '네이버 지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9년 6월 네이버 모바일 웹 전용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9년 7월 개인 별 웹 저장 공간 서비스인 'N드라이브'가 시작되었다.

2. 2. 서비스 확장 및 기술 혁신 (2010년 ~ 현재)

2009년 12월, '네이버폰' 서비스가 종료되었다.[54] 2010년 2월, 키자니아 서울 내 '대학' 체험관이 개장되었다.[54]

2010년 3월, 네이버 그린팩토리가 개장되었다.[54] 같은 해 9월, '네이버 거리뷰' 지도 서비스와 마켓형 서비스 '샵N'이 오픈되었고, 검색어 검증위원회 설립이 발표되었다.[54] 2011년 2월에는 대한민국 시장을 대상으로 라인(Line)이라는 메시징 앱을 출시했다.[9] 2012년 8월, 지인 초대 기반 모바일 SNS '밴드(BAND)'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캠프모바일로 서비스가 이관되었다.[54] 2013년 4월, 네이버 '자연어 검색' 서비스가 시작되었다.[54] 같은 해 6월, 강원도 춘천시데이터 센터 ''이 준공되었다.[57] 7월에는 관계형 콘텐츠 기반의 네이버 NCR Mash-up 검색 서비스가 시작되었다.[54]

2013년 8월, 네이버(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54] 2015년 2월, '폴라'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고,[54] 같은 해 9월, 'V LIVE' 서비스가 시작되었다.[54] 2016년 12월, '[http://whale.naver.com/ 웨일]'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54]

2019년 11월, 지식iN eXpert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이슈별 보기 등 맞춤형 실시간 검색이 개편되었다.[54] 2020년 2월, '[https://in.naver.com/ 인플루언서 검색]' 서비스가 정식 시작되었다.[54]

2023년 10월, 네이버는 AI 챗봇 서비스 '클로바X'(CLOVA X)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11]

2024년 9월 15일, 네이버 모바일 지도 애플리케이션은 자연재해 정보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2]

3. 주요 서비스

네이버는 검색, 사전, 커뮤니티, 뉴스, 생활, 문화, 쇼핑, 웹툰,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블로그, 카페, 그리고 사용자들이 질문과 답변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는 지식iN이 있다.

쥬니어네이버어도비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 예정[58]으로 인해 2019년 2월 게임랜드 서비스를 종료했고,[59] 2020년 9월 1일에는 유아세상, 공룡나라, 아바타랜드, 캠페인 서비스를, 2020년 12월 10일에는 뽀로로TV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5년 6월에는 모바일 및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자체 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출시했다.[27] 라인페이(Line Pay)에 이은 네이버의 두 번째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이다.[27]

이 외에도 네이버 웹툰, 네이버 나우 (구 네이버 TV), 네이버 메일, 네이버 쇼핑 라이브, PRISM Live Studio, 네이버 파파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1. 검색 서비스

네이버 검색은 네이버 내부 콘텐츠, 웹문서, 지역 정보, 지도, 교통, 인물 검색 등을 제공한다. 블로그나 카페, 사용자가 올린 질문이나 궁금한 내용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답을 달면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iN 등이 대표적인 서비스다. 1999년 6월, 삼성그룹 계열사에서 개발된 검색 엔진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서비스로 출시되었다. 다양한 범주의 검색 결과를 동시에 보여주는 "통합 검색"과 사용자 간 질의응답을 검색 결과에 표시하는 "지식 검색" 등 새로운 서비스를 잇달아 선보이며 한국 사용자들의 지지를 얻었다.[39] 이후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 2003년 야후! 코리아(Yahoo! Korea)를 제치고 한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현재는 한국을 대표하는 검색 서비스로서 안정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한국 국내에서 검색 횟수 점유율 77%(2012년 기준)[33]구글(Google)이나 야후!(Yahoo!) 현지 서비스, 특히 야후! 코리아(2012년 12월 31일 서비스 종료)를 압도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었다.[34] 2007년 12월 조사에서는 세계 시장 점유율 2.4%로 5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나, 이후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현재는 점유율이 13%로 급격히 하락하였다(구글이 1위).[35]

네이버는 한국에서 인기가 높은 포털 사이트인 만큼, 검색 순위 알고리즘 조작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38]

다음은 네이버 검색 서비스의 주요 연혁이다.

연도내용
1999년 6월정식 서비스 시작
2000년 8월통합 검색 시작
2001년 5월키워드 검색 광고 시작
2002년 10월Q&A 서비스 "지식iN" 시작
2006년 7월동영상 검색 시작


3. 2. 사전 서비스

네이버 사전은 1999년 네이버와 함께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했다.[13] 기준으로 67개 언어를 지원한다.[14] 이 사전은 국립국어원이 운영하는 우리말샘을 포함한 여러 사전의 결과를 종합한다.[15] 또한 옥스퍼드 영어 사전[16]과 콜린스 영어 사전[17]과 같은 영어 사전의 결과도 종합한다.[17] 네이버 사전은 오픈 소스 사전인 오픈 딕셔너리 프로(ODP)도 운영하고 있다.[15]

3. 3. 쥬니어네이버

'''쥬니어 네이버'''(Junior Naver)는 '''쥬니버'''(Juniver)라고도 불리며, 야후 주니어와 유사하게 어린이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이다.

쥬니어네이버는 아동들을 위한 포털 사이트이며, 아바타, 교육 콘텐츠, 퀴즈, 동영상, 질의응답, 숙제 도우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린이들의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전문가와 교육자들로 구성된 패널을 활용해 유해 콘텐츠를 걸러낸다.[58] 경쟁사인 다음 키즈와 야후 키즈가 문을 닫은 이후, 쥬니어 네이버는 한국에서 운영되는 유일한 어린이 포털 사이트이다.

2000년에 서비스를 시작했던 쥬니어네이버 게임랜드는 어도비플래시가 2020년에 서비스를 종료함[58]에 따라 2019년 2월에 서비스를 종료했다.[59] 2020년 9월 1일에는 쥬니어네이버 유아세상, 공룡나라, 아바타랜드, 캠페인도 서비스를 종료했고, 2020년 12월 10일에는 쥬니어네이버 뽀로로TV도 서비스를 종료했다.

3. 4. 지식iN

'''지식iN'''(지식인)은 네이버 사용자들이 서로 지식을 주고받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질문을 올리면 다른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답변을 달아준다. 2002년 10월에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2012년 9월 기준으로 1억 건이 넘는 질문이 올라왔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누적 답변 수는 325,225,759개이다. 최근에는 변호사, 의사 등 전문가 상담을 도입하여 답변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2012년 네이버 측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지식iN에 질문을 올린 이용자는 1300만 명, 답변을 올린 이용자는 700만 명에 달한다.[18] 네이버는 2002년 '지식iN'(네이버 지식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생성 콘텐츠 분야의 초기 개척자로 평가받고 있다. 야후! 답변(Yahoo! Answers)은 지식인을 본떠서 만들어졌다.[5]

하지만, 지식iN은 무분별한 게시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답변이 변경되지 않고 오래된 질문은 수정이 어려워 콘텐츠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네이버가 댓글을 통제하고 정치적으로 편향된 정보를 편집한다는 비판도 있다. 질문자의 70%, 답변자의 50%가 10대와 20대였다. 2024년 4월, 지식인 서비스가 개편되어 채택된 답변이 있어도 새로운 답변을 등록할 수 있게 되었고, 추가 질문 및 답변 수 제한이 없어졌다. 또한, 질문자나 답변자가 아니더라도 마음에 드는 답변에 지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19]

지식iN은 1999년 6월 삼성그룹에서 개발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39] 이후 "통합 검색", "지식 검색" 등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한국 사용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2003년에는 야후! 코리아(Yahoo! Korea)를 제치고 한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으며, 현재는 한국을 대표하는 검색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3. 5. 네이버 카페

2003년 12월에 서비스를 처음으로 개시했다.

다음 카페보다 출범이 늦었으나 네이버의 높은 점유율과 기술적 우위로 다음 카페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서게 되었다. 현재 네이버 카페는 한국의 인터넷 카페 서비스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한 사람당 최대 300개까지 블로그를 생성하거나 가입할 수 있다. 네이버 카페는 네이버 사용자가 자신만의 인터넷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2017년 5월 기준으로 1,050만 개의 카페가 활성화되었다.[20] 각 사용자는 최대 300개의 카페를 만들 수 있다.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네이버 카페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평균 3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21]

3. 6.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의 블로그 서비스이다. 2003년 10월 13일에 서비스를 처음으로 개시했다.

2003년 6월 '페이퍼'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같은 해 10월 '블로그'로 발전했다.[22] 2016년 4월 기준으로 23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2023년에는 126만 명의 신규 사용자가 생겼다.[23]

2021년 5월 1일부터 2주 동안 네이버는 매일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게시하는 사람들에게 최대 16000KRW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나 여러 개의 ID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관련된 여러 사건으로 인해 이 이벤트는 조기에 종료되었다. 이벤트 참가자들은 네이버의 대응에 대해 비판했다.[24]

3. 7. 네이버 웹툰

'''네이버 웹툰'''(Naver Webtoon)은 전문 작가들이 제작한 다양한 웹툰을 사용자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웹코믹 플랫폼으로, 이후 간단히 '''WEBTOON'''으로 불린다. 사용자는 출판사에 비용을 지불하고 온라인에서 만화책과 장르 소설 콘텐츠를 볼 수도 있다. 네이버는 아마추어들이 자신의 작품을 게시하고 홍보할 수 있는 '도전 만화'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7]

3. 8. 네이버 나우 (구 네이버 TV)

'''네이버 나우'''(이전 명칭: '''네이버 TV''')는 네이버가 주로 배포하는 웹 드라마를 제공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및 공유 플랫폼이다. 네이버 나우는 네이버 TV 모바일 앱을 대체했으며, 네이버 TV는 웹 포털로 계속해서 서비스되고 있다.

3. 9. 네이버페이

2015년 6월, 네이버는 모바일 및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자체 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출시했다.[27] 라인페이(Line Pay)에 이은 네이버의 두 번째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이다.[27]

3. 10. 네이버 메일

'''네이버 메일'''은 모든 네이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이메일 서비스이다. 각 사용자에게는 최대 5GB의 저장 공간이 제공된다.

3. 11. 네이버 쇼핑 라이브

네이버 쇼핑 라이브는 네이버(Naver)에서 운영하는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이다. 방송은 휴대전화나 캠코더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해상도는 1080*1920이고 유튜브 쇼츠와 유사한 세로형식이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많은 소비자를 보유한 플랫폼이며, 2023년 기준 한국 모바일 쇼핑 이용자의 73.6%가 네이버 쇼핑 라이브를 주된 플랫폼으로 이용하고 있다.[28]

3. 12. PRISM Live Studio

'''PRISM Live Studio'''(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는 모바일과 PC 사용자 모두 이용 가능한 라이브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다. 스트리머는 네트워크 사용량을 늘리지 않고 최대 1080p HD 해상도로 동시송출하는 방식으로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방송할 수 있다. 지원되는 플랫폼에는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치, Periscope, V LIVE, 네이버 TV, 아프리카TV, 카카오TV 및 RTMP 채널이 포함된다.[29] 이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 편집에도 사용할 수 있다.[29]

3. 13. 네이버 파파고

네이버 파파고는 2017년 7월 네이버가 출시한 AI 기반 번역 서비스이다. N2MT(네이버 신경망 기계 번역) 기술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 대신 문맥을 분석해 15개 언어의 텍스트와 구문을 번역할 수 있다.[30] 파파고 앱은 현재까지 1,600만 회 이상 다운로드되었다.[30]

4. 일본 시장 진출 및 철수

2000년 일본 법인 설립을 통해 일본 시장에 진출하였다.[40] 2001년 4월, NHN Japan은 일본 시장을 위한 검색 서비스를 시작하였다.[44] 그러나 2005년 8월 31일, 일본 시장 서비스를 종료하였다.[44]

2007년 11월, 일본에서의 검색 사업 재개를 발표,[45] 2009년 7월 1일 오픈 베타 버전을 공개하며 서비스를 재개하였다.[45] 2010년 9월 1일에는 라이브도어의 검색 엔진으로 제공[48]되기도 하였다. 2011년 6월 23일에는 라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49]

그러나 2013년 12월 18일, 검색 서비스를 다시 종료[50][51]하고, NAVER 마토메 서비스에 집중한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2020년 9월 30일, NAVER 마토메 서비스마저 종료되었다.[52]

2020년 11월, 네이버는 라인과 야후 재팬과의 연계를 통해 일본 검색 시장 재진출 계획을 발표하였다.[44] 2021년 10월에는 EC 플랫폼 '마이스마트스토어' 일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53]

5. 논란 및 비판

네이버는 대한민국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진 포털 사이트이기에, 검색 순위 알고리즘 조작 의혹이 끊이지 않고 제기되어 왔다.[38] 과거에는 대한민국 내 검색 횟수 점유율 77%(2012년 기준)를 기록하기도 했으나,[33] 스마트폰 보급 등의 영향으로 현재는 점유율이 13%로 하락하였다.[35] 점유율 유지를 위해 한국 특유의 인터넷 규제와 한국어 서비스에 특화된 점을 활용한다는 비판과 함께, '넷 재벌'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36][37]

이외 주요 논란 및 비판은 다음과 같다.


  • 검색 결과 조작 및 알고리즘 문제: 네이버는 검색어 순위 조작, 특히 정치 관련 검색어 조작 의혹을 받아왔다.[38] 현영희, 정우택 관련 검색어 조작 논란이 있었으며, 진성호 의원의 '네이버 평정' 발언은 네이버가 정권에 굴복했다는 비판을 낳았다.[64] 또한, 게임 순위 조작 의혹, 블로그 및 카페 검색 결과의 정확성 문제, 웹 문서 검색 기능 제한, 네이버 지식iN의 최신순 정렬 삭제 등 검색 서비스 전반에 걸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 뉴스 편집의 불공정성: 네이버는 뉴스 편집 과정에서 외부 청탁 및 자사 이익을 위해 기사를 임의로 편집·재배치한다는 의혹을 받아왔다.[79]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기사 재배열 요청을 일부 받아들인 사실을 인정했으나,[80] 추가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기업 불공정 거래: 네이버는 쇼핑, 동영상 검색 알고리즘 조작으로 자사 서비스를 우선 노출시킨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670억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81] 또한, 네이버 부동산 정보 업체에 부당한 계약을 강요하여 10.32억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 폐쇄적인 검색 정책: 네이버는 자사 서비스(지식iN, 블로그 등)를 다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되지 않도록 제한하여 광고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6] 이는 '가두리'식 운영이라는 지적과 함께 인터넷 개방 추세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저작권 위반 방관: 네이버는 지식iN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무단 복제 행위를 방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7]
  •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 논란: 네이버는 높은 검색 점유율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터넷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중소 인터넷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69][70]
  • 기타 문제점: 연예 뉴스 댓글 서비스와 인물 연관 검색어 서비스는 악성 댓글 및 인권 침해 문제로 폐지되었다. 또한, 유력 인사 자녀 특혜 제공, 실사지도 서비스(거리뷰)의 부적절한 콘텐츠 노출, XSS 해킹 취약성, 일부 신문사 기사 노출 차단, 여론 조작 가능성, 서버 보안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82][84][85][86][89]

5. 1. 검색 결과 조작 및 알고리즘 문제

네이버는 인기 검색어 순위를 비롯한 각종 검색 결과를 조작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히 정치인과 관련된 검색 조작 의혹이 끊이지 않았으며, 실제로 검색 조작 청탁을 받은 사실도 드러났다.[38] 일각에서는 네이버가 정치적으로 악용될 것을 우려하여 검색 통계와 검색 로직 공개를 요구하고 있으나, 네이버 측은 검색 순위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며 이를 거절하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네이버가 검색 점유율 80%를 점유하는 현실에서 특정 정치 세력이 네이버의 검색 통계를 일방적으로 이용할 경우 정치적으로 무기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현영희 새누리당 의원의 공천 헌금 의혹 사건과 관련하여 네이버가 검색어를 조작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정우택 성 상납 의혹과 관련한 검색 조작도 논란을 일으켰다. 2012년 7월 3일 나는 꼼수다 폭로 이후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정우택 관련 검색 순위가 급등했지만, 네이버에서는 관련 검색어를 찾을 수 없어 검색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네이버는 정우택 의원 측의 삭제 요청이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체 원칙을 검토하여 삭제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정우택 성 상납 의혹이 무혐의 처분되어 삭제했다는 네이버 측 주장[60]과는 달리 해당 사건이 여전히 검찰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61]

2011년에는 네이버의 검색어 순위 조작 여부에 대한 의혹 기사가 큰 파장을 일으켰다. 한 언론이 보도한 '이명박 탄핵은 왜 10000등도 못 되나'라는 제목의 기사에 따르면 "2008년 촛불 집회 당시 '촛불집회'는 네이버 트렌드 통계에서 1723위에 그쳤고, '이명박 탄핵'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100만 명에 육박했는데도 이 단어는 검색어 10000등에도 들지 못했다"라고 보도했다. 이 기사가 나가자 '이명박 탄핵'이라는 검색어가 하루 내내 1위를 차지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62]

최근 네이버가 게임 순위를 심각하게 조작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 다른 분야에서도 조작 의혹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게임 순위 조작이 심각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회사 게임 포털인 한게임의 게임 순위는 올리고, 경쟁 회사 게임 순위는 낮춘다는 의혹이 있다. 검색어 순위 조작 업체가 특정인에게 돈을 받고 악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검색어 광고를 유도하는데도 네이버는 이에 대한 명확한 대응을 하지 않아 검색어 순위 조작 행위가 자주 벌어지고 있다.[63]

이와 관련해 2007년 진성호 의원은 사석에서 '네이버를 평정했다'고 발언했고 이후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이 발언을 시인하였다. 이로 인해 네이버는 정권에 굴복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네이버는 이와 같은 일은 사실이 아니라고 네이버 포털 의견 게시판에 설명한 뒤, 2008년 7월 24일 진성호 의원을 상대로 10억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이러한 행태로 인해 네티즌들 사이에서 네이버에 대한 조롱이 공공연할 정도이다.[64] 진성호는 2009년 7월 이 발언에 대해서 공식 사과했지만 의혹과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65]

2018년 9월 13일에 모바일 검색 기능을 리뉴얼하였으며 2020년 10월 29일에 PC 버전 검색 기능을 리뉴얼하였다.

블로그 검색과 카페 검색을 'VIEW'라는 카테고리에 합쳤다. 블로그와 카페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검색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 둘을 합쳐버리면 정확성과 편의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미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 상당수가 업체들의 광고 글로 가득 찬 상태이기 때문에 기존 방식으로도 제대로 된 검색 결과를 찾아보기 어려웠는데, 이를 악화시킨 것이다. 적용 당시에는 최신순 정렬까지 없애버렸는데, 불만이 가득했는지 옵션으로 블로그, 카페 분류와 최신순 정렬을 추가했다. 사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런 옵션이 있다는 것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 기존의 번호식 페이지에서 더 보기 버튼으로 바뀌었는데, 게시물을 봤다가 다시 검색 결과로 돌아오면 더 보기가 풀려서 처음으로 돌아가지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PC 버전의 블로그, 카페에서 멀쩡히 검색되는 게시물이 VIEW 카테고리에서는 아예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77]

통합 검색 기능에 웹 문서 검색 기능을 합쳐버려 웹 문서만 따로 검색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게다가 변경 이후로 네이버에서만 검색이 안 되는 웹 문서들도 늘어났다.[78]

네이버 지식iN 역시 최신순 정렬이 삭제되었으며, 리뉴얼 이후로 10년 넘은 게시물이 상위권을 차지하는 현상이 심해졌다. 그래서 현시대에 맞지 않는 정보를 접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동영상 검색 기능을 이용할 때, 주로 유튜브트위치 등의 외부 동영상과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에 올라온 동영상에 비해 네이버 TV 영상이 많이 노출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선되지 않았다.

네이버는 뉴스 편집과 관련해 공정성과 투명성에서 많은 의혹을 받아왔다. 외부 청탁과 자사 이익을 위해 언론사 기사를 임의로 편집·재배치한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네이버는 뉴스 편집 공정성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투명하고, 공정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주장했다. 외부 청탁을 받고 기사 편집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네이버 고위층이 직접 기사 재배치 청탁을 받고,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79] 네이버 한성숙은 "감사 결과, 네이버 스포츠 담당자가 외부의 기사 재배열 요청을 일부 받아들인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건에 대해서만 조사를 진행하고 서둘러 봉합했다.[80]

기업 불공정 거래를 적발하는 공정위 시장 감시국에 근무하는 이들은 공부하고 공부한 끝에 네이버 검색 결과가 소비자를 기만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네이버 쇼핑 검색 알고리즘 조작 사건이다. 공정위는 네이버가 쇼핑, 동영상 분야에서 검색 알고리즘을 조작하여 자사 서비스를 우선 노출시킨 혐의를 포착하고 과징금 2670억 (쇼핑 부분 2650억, 동영상 부분 20억)을 부과받았다. 네이버는 검색 공정성을 공조하였지만, 자사 이익을 위하여 검색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을 가해 온 실체가 확인되면서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다. 추가로, 네이버 부동산 정보 업체가 계약하자며 자사에 제공한 부동산 매물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행위에도 공정위는 과징금 10.32억을 부과하였다. 공정위는 "시장 점유율이 높은 네이버 부동산이 이를 악용하여 CP로 하여금 경쟁사에 부당산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경쟁사 시장 진입을 방해하였다"고 설명하였다.[81]

5. 2. 폐쇄적인 검색 정책

네이버는 자사의 지식iN과 블로그 등을 다른 검색 사이트(구글, 다음 등)에서 검색되지 않도록 제한하여 광고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가두리'식 사이트 운영이라는 지적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을 개방하는 추세와 반대된다는 비판이 많다.[66] 2011년 4월, 대한민국 포털사이트 2, 3위인 다음, 네이트카페/블로그/요즘 등 서로의 서비스 검색을 개방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네이버는 참여하지 않았다.

뉴스 공유 서비스의 경우, 다음은 경쟁업체의 서비스인 미투데이, 싸이월드,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공유가 가능하지만, 네이버는 2012년 2월 16일까지 자사의 서비스인 미투데이만 허용했다.[66] 미투데이 서비스가 종료된 이후에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외부 서비스 공유가 가능해졌다.

또한, 기업 이미지에 불리한 검색어를 차단하고 이미지 메이킹을 한다는 비판도 있으며, 심지어 중국의 qq처럼 AI 검색 시스템으로 네이버에 반하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검출해 네이버 서비스 일부에서 불이익을 준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5. 3. 저작권 위반 방관

네이버는 지식iN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무단 퍼오기를 방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지식iN 서비스에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한 글자도 바뀌지 않고 그대로 올라오거나, 이전 질문이 다른 네티즌에 의해 글자만 약간 바뀌어 올라오는 등의 일들이 방치되고 있다. 이는 지식iN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67]

하지만 최근, 원본반영이라는 서비스가 생겨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게 되었다.

5. 4.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 논란

2013년 초부터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조중동)을 필두로 네이버의 문어발식 확장에 대해 비판하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네이버는 70%가 넘는 국내 검색 점유율을 바탕으로 가격 비교, 컴퓨터 백신, 부동산 매물 정보, 오픈 마켓, 앱스토어, 만화 등 인터넷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69] 이로 인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존 중소 인터넷 업체들은 문을 닫거나 사업 규모가 축소되었고, 네이버가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해 인터넷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70]

네이버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사실을 인정하고[71] 윙스푼, 네이버 키친, 워너비 등의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72] 이후 소상공인진흥원과 소상공인 및 나들가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73]

그러나 이러한 논란 자체에 대해 "보수 언론의 발악이며 기득권 남용"이라며 그 순수성을 의심하는 견해도 있었다.[74][75][76]

5. 5. 기타 문제점


  • '''연예 뉴스 댓글 서비스'''는 2020년 3월 5일에 폐지되었다. 건전한 의견 소통의 통로가 되어야 할 댓글창이 특정 인물에 대한 인신공격, 성희롱, 악성 루머 등의 비방 도구로 악용되어왔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댓글 폐지 이전에 다음(DAUM)은 이미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한 뒤여서 네이버의 대응이 너무 늦었다는 비판의 의견이 적지 않았다.[82]
  • '''인물 연관 검색어 서비스'''가 2020년 3월 5일에 중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서비스는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면 그 검색어를 찾은 사람들이 함께 찾았던 검색어를 나열해서 보여주는 기능이다. 이 과정에서 비방·혐오·희롱적인 단어뿐만 아니라 제3자의 인물 이름도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결국 해당 인물에 대한 악성 루머 생성을 주도하며 인권을 침해할 수 있는 키워드가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당 인물의 인권을 존중하고 사생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비스를 종료한 것이다. 다만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은 유지된다.
  • 선거 기간에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 실제로 2020년 4월 15일 총선을 앞두고 급상승 서비스를 4월 2일~15일까지 일시 중단하였다.
  • 네이버가 유력 인사 자녀들에게 특별 과외와 인턴십 등의 특혜를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다.[82] 네이버는 회사 인력을 동원해 미국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진경준 전 검사장 자녀에게 과외수업을 제공하고 허위 인턴경력을 만들어 줬다. 미국 유학중이던 유모 부장판사의 자녀는 여름 방학중 귀국해 네이버 경영지원실 소속 인턴으로 배정됐지만 실제 경영지원실 근무는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김상헌 전 대표가 개인적으로 부탁을 들어준 것이며 이해진 총수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턴 채용을 위해 인사팀이 동원된 점을 고려하면 김 전 대표가 개인적으로 한 것이란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83]
  • 2010년 실사지도 서비스인 거리뷰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서비스 초기 집창촌을 여과없이 보여주는데다, 일부는 폭력사건으로 인해 피를 흘리는 장면까지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되었다.[84] 이후 작업을 통해 여과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거의 대부분 지역을 서비스하고 있다.
  • 네이버 카페와 네이버 블로그 외 일부 컨텐츠의 XSS 기법의 해킹이 우려되어 한때 논란이 되었다.[85]
  • 네이버는 2012년 3월 10일부터 사흘간 이용자 보호를 목적으로 악성코드 유포가 확인되었던 경향신문한겨레, 오마이뉴스, 중앙데일리, 코리아헤럴드, 스포츠서울, 아이뉴스24, 데일리안의 8개 신문사 기사 노출을 차단하였다. 이는 네이버가 과거 악성코드 발견 신문사의 기사를 몇 시간 차단한 사례와 대응 수위가 다른 행동이다. 이에 따라 각 신문사들은 "인터넷 기사 독자의 70 ~ 80%가 포털을 통해 접근하는데 악성코드를 이유로 기사를 차단하는 것은 횡포"라고 반발하며 네이버에 이의 제기를 모색하고있다. 또 총선이 한 달 정도 앞둔 시점에서의 진보적 평가를 받는 언론사의 기사노출 차단 등은 정치적인 배경의 의도가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86]
  • 여론조작이 가능한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매크로를 통한 네이버 댓글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네이버 서버의 보안이 뚫린 적이 있다.[89]

참조

[1] 웹사이트 NAVER Company https://www.navercor[...] 2023-07-19
[2] 웹사이트 Naver - What Is It? Definition - Delante SEO/SEM Glossary https://web.archive.[...] 2024-11-18
[3] 웹사이트 Brand Resources https://www.navercor[...] 2024-10-23
[4] 뉴스 Yahoo! Answers has app babby and calls it Answers Now https://www.irishtim[...] 2017-12-13
[5] 웹사이트 Take Naver Global Today! http://www.koreaitti[...] 2011-07-18
[6] 웹사이트 네이버 블로그 21주년, 1030 비중 64%까지 확대 https://v.daum.net/v[...] 2024-11-15
[7] 웹사이트 Naver's Webtoon Entertainment shares close nearly 10% higher on Nasdaq debut https://www.koreatim[...] 2024-10-12
[8] 웹사이트 네이버, 검색분야 점유율 70% 육박 https://v.daum.net/v[...] 2024-11-14
[9] 웹사이트 LINE|라인은 언제나 사용자와 함께 합니다. https://line.me/ko/ 2024-11-02
[10] 웹사이트 Naver Mobile's old version ends in August...'User Complaints' Continuous http://www.newsprime[...] 2021-06-06
[11] 웹사이트 "투자제안서 대신 써줄래"…네이버, 대화형AI `클로바X` 베타 출시 https://v.daum.net/v[...] 2024-11-15
[12] 웹사이트 Naver Map starts providing natural disaster information https://en.yna.co.kr[...] 2024
[13] 웹사이트 네이버, 어학사전 발전 위해 100억원 투입...'옛 사전 개정 新 사전 구축나서' https://it.chosun.co[...] 2016-10-17
[14]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https://apps.apple.c[...] 2024-07-31
[15] 웹사이트 "고대 히브리어도 찾아준다"...네이버, 소수어 5종 사전 오픈 https://it.chosun.co[...] 2018-12-05
[16] 웹사이트 Pwag, zoobs? Naver's English dictionary contains nonsense, questionable definitions https://www.koreaher[...] 2018-03-22
[17] 웹사이트 네이버 국어·영어 사전 서비스 강화 https://www.jjan.kr/[...] 2010-06-29
[1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iN http://kin.naver.com[...] 2017-05-31
[1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인' 서비스 개편…"지식 커뮤니티로 성장" https://v.daum.net/v[...] 2024-11-29
[20] 웹사이트 make up to https://help.naver.c[...] 2024-04-08
[21] 웹사이트 네이버, 카페 서비스 ‘오류'... "긴급 점검 중" https://v.daum.net/v[...] 2024-11-29
[22] 웹사이트 Naver service history in Naver public website null
[23] 웹사이트 New user in 202 https://www.sedaily.[...]
[24] 뉴스 "작심삼일 노노"라던 네이버, 사흘만에 '오늘일기챌린지' 조기종료 https://www.seoul.co[...] 2021-05-04
[25] 뉴스 '작심삼일 논란' 네이버 오늘일기 24일 재개…기존 참여자만 가능 https://www.hani.co.[...] 2021-05-18
[26] 뉴스 "댓글달면 사진뜬다"..네이버 발표에 네티즌들 시끌시끌 –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 2021-05-04
[27] 웹사이트 Service Introduction https://pay.naver.co[...]
[28] 웹사이트 Naver Shopping Live: Live Commerce and Marketing in Korea https://en.growthmk.[...] 2024-11-28
[29] 웹사이트 PRISM Live Studio. Official https://medium.com/@[...] 2019-11-14
[30] 뉴스 네이버 파파고, 이미지 '바로번역' 기능 출시 https://www.yna.co.k[...] 2020-11-04
[31] 웹사이트 네이버, 16년 만에 '급상승 검색어' 폐지 https://v.daum.net/v[...] 2024-11-15
[32] 웹사이트 네이버의 의미:ネイバー、NAVER _ 韓国語辞典ケイペディア https://www.kpedia.j[...]
[33] 뉴스 主戦場がスマホに移った韓国でヤフー撤退の必然 https://xtech.nikkei[...] 2012-10-26
[34] 웹사이트 NHN Corporation is Most Visited Web Property and Host to the Most Searches in South Korea http://www.comscore.[...] 2009-06-08
[35] 웹사이트 検索エンジンの国別シェア【2021年版】 SEOイディオム テクニカルSEO BLOG https://technical-se[...] 2022-10-04
[36] 뉴스 [寄稿]「ポケモンGO」で見えた韓国IT鎖国化への警告 http://japan.hani.co[...] 2016-07-18
[37] 뉴스 【社説】NAVER・カカオ、もう一度革新の精神に返れ https://web.archive.[...] 2021-09-10
[38] 뉴스 방통위,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조작' 의혹 조사 착수 https://www.chosun.c[...] 2023-09-26
[39] 웹사이트 【レポート】韓国ポータルサイト事情 - 韓国ユーザの心をつかむべく進化中 (1) まずはおなじみのNAVER https://news.mynavi.[...] 2005-05-25
[40] 웹사이트 ネイバーが日本進出15年 モバイルで成功つかむ https://jp.yna.co.kr[...] 2015-11-06
[41] 웹사이트 [[ウィルス対策ソフト]]が組み込まれた[[ツールバー]]や[[フォトビューアー]]など、各種ツール[[ソフトウェア]]の無料ダウンロードは提供されていた。
[42] 웹사이트 NHN Japan Corporation | 事業紹介 | ウェブサービス事業 http://www.nhncorp.j[...] 2012-07-22
[43] 뉴스 NHN Japan、ネイバージャパン、ライブドアの3社が経営統合 https://japan.cnet.c[...] 2011-11-07
[44] 웹사이트 韓国ネイバー、日本の検索サービス市場3度目の進出…「今度は必ず成功」 https://web.archive.[...] 2021-07-13
[45] 뉴스 ネイバー日本成功なるか、15日から検索サービス http://japanese.yonh[...] 2009-06-07
[46] 뉴스 ネイバージャパン、再投稿機能を核としたマイクロブログ「pick」 https://www.itmedia.[...] 2010-03-09
[47] 뉴스 ネイバージャパン、「いま・最新の話題」が探せる「NAVERトピック検索」を提供開始 https://ascii.jp/ele[...] 2010-03-31
[48] 웹사이트 ライブドア×NAVER 連携本格化 http://corp.livedoor[...] 2010-09-01
[49] 뉴스 NAVERに不正アクセス 169万件のメアドとハッシュ化されたパスワード流出か https://www.itmedia.[...] 2013-07-19
[50] 웹사이트 【NAVER】NAVER、日本国内での検索サービスの提供を終了、経営資源を再配置 http://linecorp.com/[...]
[51] 웹사이트 【NAVER】NAVER、国内の検索・辞書関連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http://naverland.nav[...]
[52] 웹사이트 NAVERまとめ 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https://navermatome-[...] 2020-07-01
[53] 웹사이트 ネイバー、「MySmartStore」と日本のヤフーの統合目指す-報道 https://www.bloomber[...] 2022-04-27
[54] 웹인용 NAVER 로고 프로젝트 https://logoproject.[...] 2018-12-20
[55] 뉴스 [네이버] 하루 400만건 접속 돌풍 https://www.hankooki[...] 2024-02-22
[56] 뉴스 네이버, TV CF차별화 https://www.hankooki[...] 2024-02-22
[57] 뉴스 NHN 데이터센터가 춘천으로 간 까닭은 https://news.naver.c[...] 2013-06-21
[58] 웹인용 Saying goodbye to Flash in Chrome https://www.blog.goo[...] 2019-08-21
[59] 웹인용 18년 간 수많은 추억 만들어준 ‘쥬니어네이버’ 게임랜드, 오늘 서비스 완전 종료된다 http://www.insight.c[...] 2019-03-19
[60] 뉴스 '정우택 성상납' 검색어, 네이버에서 실종? 알고보니.. http://www.newdaily.[...] 2012-07-24
[61] 뉴스 정우택 의원 명예훼손 수사결과 초미관심 http://www.anewsa.co[...] 2012-08-10
[62] 뉴스 이명박 탄핵, 실시간 검색어 1위...'검색조작? 진실공방' https://news.naver.c[...] 2011-06
[63] 뉴스 네이버 실시간검색어 순위조작하고 돈챙겨 https://news.naver.c[...] 2010-01-17
[64] 뉴스 '네이버 공화국'은 열린사회인가? http://media.daum.ne[...]
[65] 뉴스 진성호 의원 '네이버 평정 발언' 공개 사과 https://news.naver.c[...] 2010-01-16
[66] 뉴스 닫힌' 네이버, '열린' 反네이버 동맹에 흔들? https://news.naver.c[...] 2011-04-15
[67] 뉴스 네티즌, ‘反·脫 네이버’ 거세지고 있다 http://www.itdaily.k[...] 2007-12-16
[68] 뉴스 http://news.chosun.c[...] 2007-12-05
[69] 뉴스 '인터넷 골목 상권' 집어삼킨 네이버, 이번엔… https://news.naver.c[...] 2013-01-16
[70] 뉴스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로 비판 쏟아지는데… 네이버 사장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한 미래部 https://news.naver.c[...] 2013-08-13
[71] 뉴스 네이버,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 공식 인정..1천억 조성키로 https://news.naver.c[...] 조선비즈 2013-07-29
[72] 뉴스 네이버, '골목상권 논란' 콘텐츠 대거 철수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3-09-26
[73] 뉴스 네이버-소상공인진흥원, 골목상권 살리기 위한 MOU 체결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3-10-02
[74] 뉴스 "네이버 때리기, 보수 언론의 기득권 남용"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13-09-05
[75] 뉴스 "조중동(매), 왜 네이버에 전쟁 선포했나?"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3-07-16
[76] 뉴스 조중동 ‘네이버’ 때리기 이어 새누리 규제 착수 http://www.pdjournal[...] PD저널 2013-08-09
[77] 블로그 [하반기 검색 개편 3]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중심의 ‘VIEW검색 (뷰검색)’으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https://blog.naver.c[...]
[78] 블로그 [하반기 검색 개편 4]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쾌적하게 찾을 수 있도록, 네이버 웹검색이 업그레이드됩니다. https://blog.naver.c[...]
[79] 뉴스인용 네이버, 축구연맹 ‘청탁 문자’ 받고 기사 숨긴 정황 포착 MBC 스포츠 PLUS 2017-10-20
[80] 뉴스인용 2시간40분 만에 청탁 수용한 네이버 재발방지 대책 요구엔 4개월째 '모르쇠' 오마이뉴스 2018-02-21
[81] 웹사이트 http://economychosun[...]
[82] 뉴스인용 네이버 ‘황제 과외·특혜 인턴’ 더 있나 https://www.hani.co.[...] 한겨레 2017-09-14
[83] 뉴스인용 진경준 딸 '특별과외' 네이버, 부장판사 아들도 특혜 https://www.news1.kr[...] 뉴스1 2017-09-12
[84] 뉴스 집창촌까지 보여주나" 네이버 '거리뷰' 논란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0-09-25
[85] 뉴스인용 포털 게시판 통한 악성코드 유포 확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6-18
[86] 뉴스 네이버, 경향·한겨레 기사 차단...악성코드 발견 http://www.ytn.co.kr[...] YTN 2012-03-12
[87] 웹인용 美는 중국산 제품 보안 우려하는데...화웨이 장비 수천대 도입한 네이버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18-04-25
[88] 뉴스인용 정보유출 우려에도 화웨이 장비 수천대 구매한 네이버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8-04-24
[89] 웹인용 EBS 과학 다큐 비욘드 http://www.ebs.co.kr[...] EBS 2017-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