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름포인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름포인트는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지역으로, 우즈호군에 속하는지 로소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관할권 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1896년 데이비드 마스턴 클라우 주지사의 포고문에서 비롯되었는데, 해당 포고문은 경계 설정의 오류로 인해 불명확한 지리적 경계를 제시했다. 이로 인해 인구조사국 지도, 주 교통부 지도, 재산세 부과, GIS 데이터 등에서 서로 다른 정보가 나타나면서 법적 분쟁과 행정적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네소타주의 지형 - 노스웨스트 앵글
    노스웨스트 앵글은 미국 미네소타주 북부 우즈호에 위치한 월경지로, 부정확한 지도 사용과 조약 수정으로 인해 미국 본토 최북단 지점이자 독특한 지리적, 역사적, 정치적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 미국의 곶 - 케이프 커내버럴
    케이프 커내버럴은 플로리다주 동부 해안에 위치한 곶으로, 한때 케이프 케네디로 불렸으며 지리적 이점으로 미국의 주요 우주 로켓 발사 장소인 케네디 우주 센터와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가 있다.
  • 미국의 곶 - 다이아몬드헤드산
    다이아몬드헤드산은 하와이어로 Lēʻahi라고 불리며, 약 40만 년에서 50만 년 전에 형성된 응회암 원뿔로, 와이키키 해변과 인접하여 관광 명소이며, 미국 국립 자연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미국-캐나다 국경 - 펀디만
    펀디 만은 캐나다 뉴브런즈윅주와 노바스코샤주 사이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조수 간만의 차가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 네트워크 및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지질학적 가치와 생태적 중요성을 인정받는다.
  • 미국-캐나다 국경 - 앰배서더 다리
    미국 디트로이트와 캐나다 윈저를 잇는 앰배서더 다리는 1929년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며, 현재 양국 간 무역의 중요한 통로이지만 잦은 사고와 노후화, 새 교량 건설 논란이 있다.
엘름포인트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지리케이프 및 월경지
위치레이크 오브 더 우즈 카운티, 미네소타주
면적
좌표49°16′00″N 95°03′00″W
행정 구역로소 카운티, 미네소타주
시간대중부 표준시 (UTC-6)
하계 시간대중부 하계시 (UTC-5)
기타
추가 정보무인도

2. 지리적 위치 및 특이성

엘름포인트가 우즈호군에 속하는지, 아니면 로소군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의 블록 지도[7]와 미네소타 교통부에서 발행한 다수의 지도[8]는 엘름포인트를 우즈호군으로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의 재산세는 로소군에서 부과하며,[1] 우즈호군의 GIS는 해당 지역의 토지 구획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는다.[9] 또한, 1916년에 만들어진 주 평면도에는 엘름포인트가 로소군의 일부로 표시되어 있다.[10]

이러한 혼란은 1896년 2월 10일, 당시 주지사였던 데이비드 마스턴 클라우가 발표한 포고문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포고문은 해당 지역을 로소군에 병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1] 병합될 지역의 경계는 캐나다-미국 국경을 따라 동쪽으로 우즈호까지 이어지고, "그 후 동쪽으로, 우즈호의 남쪽 굽이치는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다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캐나다-미국 국경이 우즈호와 만나는 지점에서 실제 호수 해안선은 엘름포인트를 따라 먼저 서쪽으로, 그 다음 남쪽으로, 마지막으로 동쪽으로 꺾이기 때문에 포고문의 경계 설명 문구가 지형과 맞지 않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고문은 병합된 지역이 타운십 164 North, Range 36 West (T164N R36W) 구역을 포함하며, 그 경계가 당시 법에 따라 "타운십의 미국 측량선을 따라 일치"한다고 명시했다.[11][12] 엘름포인트는 바로 이 T164N R36W 구역 내에 위치한다.

3. 역사적 배경

엘름포인트가 우즈호군에 속하는지, 아니면 로소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존재한다. 미국 인구조사국의 블록 지도[7]와 미네소타 교통부 발행 지도 다수[8]는 우즈호군으로 표시하지만, 해당 지역의 재산세는 로소군에서 부과하며,[1] 우즈호군 GIS는 관련 토지 구획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다.[9] 또한 1916년 주 평면도에는 로소군의 일부로 나타나 있다.[10]

이러한 혼란은 1896년 2월 10일 데이비드 마스턴 클라우 주지사가 발표한 포고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1] 이 포고문은 해당 지역을 로소군에 병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병합 지역의 경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우즈호까지" 캐나다 국경을 따라 동쪽으로, "그 후 동쪽으로, 우즈호의 남쪽 굽이치는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다는 표현이 실제 지형과 달라 모호함을 야기했다. 포고문은 병합 지역이 타운십 164 North, Range 36 West (T164N R36W) 구역을 포함한다고 명시했으며,[11][12] 엘름포인트는 실제로 이 구역 내에 위치한다.

3. 1. 1896년 클라우 주지사 포고문

엘름포인트의 소속에 대한 혼란, 즉 우즈호군에 속하는지 로소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1896년 2월 10일 데이비드 마스턴 클라우 당시 미네소타 주지사가 발표한 포고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11] 이 포고문은 해당 지역을 로소군에 병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포고문은 병합 지역의 경계를 설명하면서, 캐나다 국경을 따라 동쪽으로 "우즈호까지" 간 다음, "그 후 동쪽으로, 우즈호의 남쪽 굽이치는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캐나다 국경이 우즈호와 만나는 지점에서 실제 호수 해안선은 엘름포인트를 끼고 서쪽으로 먼저 향한 뒤 남쪽, 그리고 다시 동쪽으로 꺾이기 때문에, 포고문의 문구는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포고문은 병합된 지역이 타운십 164 North, Range 36 West (T164N R36W)의 영역을 포함하며, 그 경계는 당시 법률에 따라 "타운십의 미국 측량선을 따라 일치"한다고 부연했다.[11][12] 실제로 엘름포인트는 이 T164N R36W 구역 안에 위치한다. 이처럼 포고문의 경계 묘사와 실제 지형 및 측량 구역 간의 불일치가 현재 엘름포인트 행정 구역 귀속 혼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4. 관할권 혼란 및 행정 문제

엘름포인트의 행정 구역 소속이 우즈호군인지 로소군인지 명확하지 않아 관할권에 대한 혼란이 있다.[7][8][1] 이러한 불분명한 소속 문제는 재산세 부과 등 실제 행정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1][9] 이 혼란의 근원은 과거 지역 경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의 모호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1][12]

4. 1. 로소군 vs. 우즈호군

엘름포인트가 우즈호군에 속하는지, 아니면 로소군에 속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의 블록 지도는 엘름포인트를 우즈호군으로 표시하며,[7] 미네소타 교통부에서 발행한 많은 지도 역시 마찬가지이다.[8] 하지만 이 지역의 재산세는 로소군에서 부과하고 있으며,[1] 우즈호군의 GIS는 해당 지역의 토지 구획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는다.[9] 또한, 1916년 주 평면도에는 엘름포인트가 로소군의 일부로 표시되어 있다.[10]

이러한 혼란은 1896년 2월 10일 데이비드 마스턴 클라우 당시 미네소타 주지사의 포고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포고문은 해당 지역을 로소군에 병합한다고 발표했다.[11] 포고문에 따르면 병합될 지역의 경계는 캐나다 국경을 따라 동쪽으로 "우즈호까지" 이어지고, "그 후 동쪽으로, 우즈호의 남쪽 굽이치는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캐나다 국경이 우즈호와 만나는 지점에서 실제 호수 해안선은 엘름포인트를 따라 먼저 서쪽으로 향하다가 남쪽으로, 다시 동쪽으로 꺾이기 때문에 포고문의 문구는 실제 지형과 맞지 않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고문은 병합된 지역이 타운십 164 North, Range 36 West(T164N R36W)의 영역을 포함하며, 그 경계는 당시 법에 따라 "타운십의 미국 측량선을 따라 일치"한다고 명시했다.[11][12] 엘름포인트는 이 T164N R36W 구역 내에 위치한다.

5. 한국에 주는 시사점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검토하거나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Roseau County GIS Public Map Service http://gis.co.roseau[...] Roseau County, Minnesota
[2] 웹사이트 Border WMA https://www.dnr.stat[...] Minnesot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3] 간행물 Elm Point, Minnesota
[4]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5] 웹사이트 Sheet E-58 https://internationa[...] International Boundary Commission
[6] 웹사이트 516 – Northwest Angles: One Exclave May Hide Another https://bigthink.com[...] 2011-05-31
[7] 웹사이트 Lake of the Woods County, Sheet 7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8] 웹사이트 2021 - 2022 Official Highway Map, Minnesota http://www.dot.state[...]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9] 웹사이트 Assessor's GIS Parcel Viewer https://beacon.schne[...] Lake of the Woods County, Minnesota
[10] 웹사이트 Roseau County http://geo.lib.umn.e[...] University of Minnesota John R. Borchert Map Library
[11] 논문 Proclamation https://www.mnhs.org[...] 1896-02-21
[12] 웹사이트 An act providing for the enlargement of organized counties by attaching thereto and incorporating therein territory from an adjoining unorganized county or counties https://www.revisor.[...] Office of the Revisor of Statutes
[13] 간행물 Elm Point, Minneso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