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속 살인은 냉각 기간 없이 한 명 이상이 저지른 두 건 이상의 살인을 의미하며, 연쇄 살인, 대량 살인과 구분된다. 연속 살인에 대한 정의는 학문적, 법적, 수사기관에서 일관되지 않게 사용되며, 살인 사이의 시간적 간격, 살해 장소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미국 법무통계국은 살인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거의 없는 경우로 정의하며, 일부 연구자들은 30일 이내에 세 명 이상을 살해하는 행위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의의 모호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시리얼 킬러'라는 용어로 통일하려는 경향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2년 우범곤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고, 해외에서는 쓰야마 사건, 캄포 엘리아스 델가도 사건, 건국문 사건 등이 주요 사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속살인자 - 쓰야마 사건
1938년 일본 쓰야마시 가모초쿠라미에서 토이 무츠오가 엽총과 일본도 등으로 마을 주민 30명을 살해하고 5명에게 중상을 입힌 후 자살한 쓰야마 사건은 사회 공동체의 붕괴와 개인의 고립 심화가 극단적인 범죄로 이어진 사례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 방지 및 사회 안전망 강화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연속살인자 -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는 2011년 노르웨이 연쇄 테러 사건의 극우 테러범으로, 오슬로 정부청사 폭탄 테러와 우퇴위아섬 총기 난사로 총 77명을 살해한 후 징역 21년형을 선고받았으며, 자신의 범행을 이슬람으로부터 유럽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속살인 | |
---|---|
정의 | |
유형 | 연쇄 살인 대량 살인 |
정의 | 짧은 시간 동안 여러 장소에서 살인을 저지르는 행위 |
범죄 유형 | |
관련 범죄 | 연쇄 살인 대량 살인 가족 살해 살인-자살 자동차 이용 공격 군중 속 칼부림 |
특징 | |
장소 및 시간 | 짧은 시간 안에 여러 장소에서 발생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살인 대량 살인 연쇄 살인 테러 |
사회적 영향 | |
영향 | 사회적 불안감 조성 |
범죄 심리학 | |
동기 | 분노 복수 좌절감 정신 질환 사회적 고립 |
법적 측면 | |
처벌 | 법률에 따라 사형, 징역 등 |
기타 | |
관련 영화 | Killing Spree |
2. 정의
연속 살인은 냉각 기간 없이 한 명(또는 여러 명)이 두 건 이상의 살인을 저지르는 것을 의미하며, 살인 사이에 시간이 있는 연쇄 살인과는 다르다.[1] 그러나 연속 살인, 대량 살인, 연쇄 살인을 구별하는 방법은 학계에서도 논쟁의 대상이며, 용어 사용도 일관되지 않다.
미국 법무통계국은 연속 살인을 "살인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거의 없이 두 곳 이상의 장소에서 저지른 살인"으로 정의한다.[2][3]
''범죄학의 논쟁적인 문제''는 "살인 행위 사이의 시간적 요소가 연쇄, 대량, 연속 살인범을 구별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한다.[9] ''연쇄 살인''은 연속 살인을 "30일 이내에 세 명 이상의 사람을 살해하는 행위"로 정의한다.[10]
일본 과학경찰연구소는 묻지마 범죄 사건의 범행 형태를 피해자 수, 발생 장소, 발생 시간 모두 단일인 경우 "단발범", 피해자 수와 발생 장소가 복수이며 발생 시간이 일련의 경우 "스프리범", 피해자 수와 발생 장소가 복수이며 다른 시간에 범행을 반복하는 경우 "연속범"으로 분류한다.[17] 도야마현 경찰 본부 형사부 과학수사연구소는 '범행에 냉각 기간이 없고, 짧은 시간에 복수의 방화를 저지르는 것'을 스프리 방화로 칭한다.[18]
2. 1. 대량 살인, 연쇄 살인과의 차이점
대량 살인은 한 장소에서 다수의 사람을 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쇄 살인은 살인과 살인 사이에 냉각 기간이 존재하며, 피해자나 살해 방법에 공통점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대량 살인과 구별된다.[1] 반면, 연속 살인(Spree killing)은 살인 간 냉각 기간이 짧고, 여러 장소에서 발생하며, 피해자나 살해 방법에 뚜렷한 공통점이 없을 수 있다.연속 살인, 대량 살인, 연쇄 살인을 구별하는 방법은 학계에서도 논쟁의 대상이며, 용어 사용도 일관되지 않다. 미국 법무통계국은 연속 살인을 "살인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거의 없이 두 곳 이상의 장소에서 저지른 살인"으로 정의한다.[2][3]
''범죄학의 논쟁적인 문제''에서는 "살인 행위 사이의 시간적 요소가 연쇄, 대량, 연속 살인범을 구별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연속 살인범은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살인 행위에 참여할 것"이며 "살해 방법과 피해자 유형은 다양하다"고 덧붙인다.[9]
''연쇄 살인''에서 로널드 M. 홈즈와 스티븐 T. 홈즈는 연속 살인을 "30일 이내에 세 명 이상의 사람을 살해하는 행위"로 정의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중범죄를 수반한다"고 설명한다.[10]
일본의 과학경찰연구소는 묻지마 범죄 사건의 범행 형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7]
분류 | 피해자 수 및 발생 장소 | 발생 시간 |
---|---|---|
단발범 | 단일 | 단일 |
스프리범 | 복수 | 일련 |
연속범 | 복수 | 다른 시간에 반복 |
최근에는 이러한 분류가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시리얼 킬러"로 통일되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로 연방수사국(FBI) 등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2. 2. 용어 사용의 혼란
'연속 살인'이라는 용어는 학술적으로나 법 집행 기관에서 일관되게 사용되지 않아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여러 학자와 기관에서 연속 살인, 대량 살인, 연쇄 살인을 구분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1]예를 들어, 미국 법무통계국은 연속 살인을 "살인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거의 없이 두 곳 이상의 장소에서 저지른 살인"으로 정의한다.[2][3] 반면, ''범죄와 처벌 백과사전''은 연속 살인범을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고, 마크 O. 바튼을 그 예로 들었다.[4]
존 E. 더글러스는 ''동기의 해부''에서 찰스 스타크웨더와 앤드루 쿠난을 연속 살인범으로 보았지만,[6] 잭 레빈은 스타크웨더를 대량 살인범, 쿠난을 연쇄 살인범으로 분류했다.[7][8]
이처럼 용어 사용이 혼란스럽기 때문에, 최근에는 연방수사국(FBI) 등 일부 기관에서는 이러한 구분을 없애고 '시리얼 킬러'로 통일하는 경향도 있다. FBI는 "냉각 기간"을 정량화하는 것이 임의적이어서 법 집행에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판단했다.[1]
3. 주요 사건
대한민국에서는 우범곤 연쇄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2] 해외 주요 사건으로는 쓰야마 사건[1], 캄포 엘리아스 델가도 사건[3], 건국문 사건[4], 몬트리올 대학교 총기 난사 사건[5], 포트 아서 사건[6],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7] 등이 있다.
3. 1. 대한민국
우범곤 연쇄 살인 사건[2]3. 2. 해외
- 쓰야마 사건[1]
- 캄포 엘리아스 델가도 사건[3]
- 건국문 사건[4]
- 몬트리올 대학교 총기 난사 사건[5]
- 포트 아서 사건[6]
-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7]
참조
[1]
웹사이트
Serial Murder: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for Investigators
https://www.fbi.gov/[...]
National Center for the Analysis of Violent Crim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08
[2]
서적
Report to the Nation on Crime and Justice
https://bjs.ojp.gov/[...]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1988
[3]
뉴스
No evidence of spree killer yet, police say
http://www.andersoni[...]
2006-12-17
[4]
서적
Encyclopedia of Crime and Punishment, Vol. 4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02
[5]
문서
Levinson, p. 1038.
[6]
서적
The Anatomy of Motiv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9
[7]
서적
Mass Murder: America's Growing Menace
https://books.google[...]
Berkley Books
1991
[8]
서적
Serial Killers and Sadistic Murderers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2008
[9]
서적
Controversial Issues in Criminology
https://books.google[...]
Allyn and Bacon
1999
[10]
서적
Serial Murder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0
[11]
서적
Serial Murder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0
[12]
서적
Serial Murder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0
[13]
서적
Sexual Homicide: Patterns and Motives
Free Press
1988
[14]
문서
Douglas, p. 192.
[15]
웹사이트
Motive Mystery / Debate Over What Kind of Killer is at Work
https://www.sfgate.c[...]
1997-07-18
[16]
서적
School Shootings: International Research, Case Studies, and Concepts for Prevention
Springer
2012
[17]
웹사이트
新たな行動計画策定に関する有識者ヒアリング(第2回)概要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08-08-08
[18]
간행물
社会的自立性と犯罪深度を基にした連続放火犯の分類と分類別にみた放火形態について
日本法科学技術学会
[19]
뉴스
No evidence of spree killer yet, police say
http://www.andersoni[...]
The Anderson Independent-Mail
2006-12-17
[20]
웹사이트
Serial Murder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for Investigators
http://www.fbi.gov/p[...]
National Center for the Analysis of Violent Crime, 미국 연방수사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