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필 성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필 성운은 1835년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된 천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희망봉에서 관측되었다. 허셜은 이 성운을 "극도로 희미한 빛의 이상하게 길고 좁은 광선"으로 묘사했으며, NGC 2736 내부에 밝은 별이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연필 성운은 돛자리 초신성 잔해의 일부분으로, 약 11,000년 전에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신성잔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초신성잔해 - 케플러 초신성
    케플러 초신성은 1604년에 관측된 밝은 초신성으로, 여러 문명에서 기록되었으며, Ia형 초신성으로 추정되고 천문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돛자리 - PSR B1257+12
    PSR B1257+12는 지구에서 약 2,30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의 6.22밀리초마다 자전하는 밀리초 펄서로, 3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어 태양계 밖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계이며, 2015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리치'라는 고유 이름과 행성들에 '드라우그르', '폴터가이스트', '포베토르'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
  • 돛자리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행성상성운 - 아령 성운
    아령 성운은 여우자리 방향으로 약 1,360 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약 3,000~4,000년 전에 팽창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행성상성운 - 고리 성운
    고리 성운은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2,300광년 떨어진 행성상성운으로, 1779년에 발견되었으며, 중심에 백색 왜성이 있고 팽창하며 다양한 색상의 방출선을 보인다.
연필 성운
기본 정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연필 성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연필 성운
명칭NGC 2736, 연필 성운
유형초신성 잔해
별자리돛자리
위치
적경 (J2000)9h 0m 17s
적위 (J2000)-45° 54' 57''
거리815 광년
반지름~5.0 광년
물리적 특징
겉보기 등급 (V)+12.0?
크기 (V)30'x7'

2. 발견 역사

1835년 3월 1일, 존 허셜희망봉에서 연필 성운을 발견했다.[3] 허셜은 이 성운을 "극도로 희미한 빛의 이상하게 길고 좁은 광선"으로 묘사했으며, 성운 내부에 밝은 별이 있다고 기록했다. 이 관측 기록은 이후 천문학자들이 성운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2. 1. 추가 발견 및 연구

존 허셜희망봉에서 1835년 3월 1일에 이 천체를 발견하고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eeF, L, vvmE; 극도로 희미한 빛의 이상하게 길고 좁은 광선; 위치 19 ±. 최소 20' 길이로, 시야의 경계를 훨씬 넘어 확장...".[3] 이는 ESO-Uppsala 목록 N2736 = E260-N14와 정확히 일치하며, 크기는 30'x7', 위치각은 20이고 "빛나는 필라멘트"라는 메모가 있는 성운이다.[3] 해럴드 코윈은 ESO IIIa-F 필름을 통해 이 성운이 시야를 덮는 거대한 초신성 잔해(검 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임을 확인했다.[3]

NGC 2736은 약 11,000년 전에 일어난 초신성 폭발 후 남은 거대한 Vela 초신성 잔해의 작은 부분이다.

3. 명칭

공식 명칭은 NGC 2736이지만, 가늘고 긴 연필 모양을 닮아 '연필 성운'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촛불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촛불 성운'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촛불 집회가 자주 열렸던 한국의 특수한 사회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7-04-03
[2] 웹사이트 Hubble Heritage Site http://heritage.stsc[...] 2007-04-03
[3] 웹사이트 CORRECTIONS TO THE RNGC:5 http://www.ngcic.org[...] 2018-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