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희망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희망봉은 케이프 반도 남쪽 끝에 위치한 곶으로,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기원전 116년경, 인도 항해에서 돌아오던 그리스 항해사 에우독소스가 난파선을 발견하며 아프리카 일주 항해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488년, 포르투갈의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폭풍의 곶'으로 명명했지만, 이후 '희망봉'으로 개명되었다.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식민지화했으며, 아시아와 유럽 간의 원거리 항해의 중간 정박지 역할을 했다. 현재는 수에즈 운하 봉쇄 등의 이유로 희망봉을 통과하는 선박이 증가하고 있다. 희망봉은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프 플로리스틱 왕국의 일부로 1,100종 이상의 토착 식물이 서식한다. 또한 전설적인 유령선 '날으는 네덜란드인'의 본거지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곶 - 아굴라스곶
    아굴라스곶은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위치한 곶으로 대서양과 인도양의 경계 부근이며,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바늘의 곶'이라 명명한 것에서 유래했고, 아굴라스 해류와 뱅크의 영향과 잦은 난파 사고로 등대가 건설되어 현재는 박물관과 레스토랑으로 쓰인다.
  • 케이프타운의 지리 - 로벤섬
    로벤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근처에 위치한 섬으로,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다가 1997년부터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케이프타운의 지리 - 케이프타운시
    케이프타운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주에 위치하며 지방 자치 정부 수립 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를 거쳐 인종 차별의 유산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고, 시의회가 선출한 시장이 행정부 수반을 맡고 있으며, 현재 도시 폐기물 관리 입찰 관련 부패 혐의로 조사가 진행 중인 도시입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희망봉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희망봉
아프리칸스어 명칭카프 디 고이 호프
네덜란드어 명칭카프 더 호더 호프
포르투갈어 명칭카부 다 보아 이스페란사
위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반도 남쪽 끝
좌표북위 34° 21′ 29″ 서경 18° 28′ 19″
희망봉
희망봉과 케이프 포인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도
희망봉 위치 지도
희망봉 위치
지리
반도케이프 반도
거리케이프타운에서 남쪽으로 약 50km
역사
이전 명칭카부 다스 토르멘타스(폭풍의 곶)
명칭 변경 이유인도로 가는 항로 발견에 대한 희망을 반영
명칭 변경 시기주앙 2세 시대
최초 발견바르톨로뮤 디아스
기타 정보
관련 공원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
특징주변에는 해발 150미터 이상의 절벽이 있음
해안선은 1.2킬로미터 정도임
관할 기관남아프리카 국립공원
언어아프리칸스어: 카프 디 고이 호프
영어: 케이프 오브 굿 호프
포르투갈어: 카부 다 보아 이스페란사
네덜란드어: 카프 더 호더 호프
독일어: Kap der Guten Hoffnung
프랑스어: Cap de Bonne-Espérance

2. 역사

1488년 포르투갈의 탐험가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유럽인 최초로 희망봉에 도착하여 "폭풍의 곶"(Cabo das Tormentaspt)이라 명명했다.[12] 이후 포르투갈의 주앙 2세는 인도와 동방으로 가는 해상 루트 개척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담아 "희망봉"(Cabo da Boa Esperançapt)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2]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얀 반 리베크가 희망봉을 식민지로 만들었고, 이는 이후 케이프타운으로 발전했다.[55] 당시 이 지역에는 약 1,500년 전에 이주해 온 코이코이족이 살고 있었다.[13] 희망봉은 아시아와 유럽 사이를 항해하는 선원들에게 휴식과 보급을 위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다.[55] 1687년에는 위그노 공동체가 희망봉에 도착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숙련된 농부를 필요로 했고, 네덜란드 정부는 위그노를 희망봉에 정착시키는 기회를 얻었다. 이후 150년 동안 식민지는 북쪽과 북동쪽으로 수백 킬로미터까지 확장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1795년 네덜란드 공화국이 프랑스에 점령당하면서 케이프 식민지는 프랑스의 속국이 되어 영국과 적대 관계가 되었다. 같은 해 영국은 케이프 식민지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1803년 아미앵 조약으로 영국의 통제권이 잠시 해제되었으나, 1806년 블라우버그 전투 이후 영국이 다시 케이프 식민지를 점령했다.[20]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이 지역을 영국에 할양했다.[21] 케이프 식민지는 1910년 남아프리카 연합에 편입될 때까지 영국의 식민지로 유지되었다.[22]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선박 통과량이 감소했다.[54] 그러나 수에즈 운하 및 주변 지역에서 전쟁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일시적으로 희망봉을 통과하는 선박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희망봉 경유 항로는 수에즈 운하 경유보다 항해 기간이 1주일 정도 더 길다.[54] 2021년 수에즈 운하 봉쇄 사건과 2024년 홍해 위기 이후, 인도양에서 다른 항로를 필요로 하는 선박들의 희망봉 통과가 증가했다.[27][28][29][30]

2. 1. 고대 및 중세의 희망봉

키지쿠스의 에우독소스(Eudoxus of Cyzicus)(활동기: 기원전 130년경)는 이집트(Egypt)의 헬레니즘(Hellenistic civilization) 시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Ptolemaic dynasty)의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피스콘(Ptolemy VIII Physcon) 왕을 섬긴 그리스(Greek) 항해사였다. 기원전 116년경, 인도 항해에서 돌아오던 중 에우독소스는 당시 로마의 히스파니아 바에티카(Hispania Baetica)에 속해 있던 가데스(Gades)(후에 카디스)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난파선을 발견했는데, 당시 이러한 배가 인도양(Indian Ocean)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희망봉을 돌아서 항해하는 것이었다.[6]

두 번째 인도 항해에서 돌아오던 중 에우독소스는 바람에 밀려 아덴만(Gulf of Aden) 남쪽으로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상당한 거리를 항해했고, 동아프리카 해안 어딘가에서 난파선의 잔해를 발견했다. 잔해의 모습과 원주민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에우독소스는 그 배가 가데스에서 출발하여 아프리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 희망봉을 지나 인도양으로 진입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그에게 아프리카 대륙 일주 항해(circumnavigation)를 시도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그는 스스로 항해를 준비하여 가데스에서 출발하여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항해를 시작했지만, 너무나 큰 어려움에 직면하여 유럽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6]

실패 후 그는 다시 아프리카 일주 항해를 시도했다. 그의 최후는 알려지지 않았다. 플리니우스(Pliny) 등 일부는 에우독소스가 목표를 달성했다고 주장했지만, 가장 가능성 있는 결론은 그가 항해 중 사망했다는 것이다.[7]

1450년 프라 마우로 지도(Fra Mauro map)에는 인도양이 대서양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프라 마우로는 아프리카 남단에 "악마의 곶(Cape of Diab)"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1420년경 동쪽에서 출발한 배의 탐험에 대한 비문을 새겼다.[8][9]

프라 마우로 지도의 상세 부분: 인도양을 항해하는 정크선(junks)의 건조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프라 마우로는 그 정보를 "믿을 만한 출처"로부터 얻었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탐험대와 함께 여행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으며, 당시 탐험대가 출발했을 때 코지코드(Calicut), 인도(India)에 있었던 베네치아 탐험가 니콜로 데 콘티(Niccolò da Conti)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프라 마우로는 또한 그 탐험에 대한 기록과 고대(Classical antiquity) 시대 아라비아 반도(Arabian Peninsula)에서 지브롤터(Gibraltar)까지 남쪽 바다를 통해 여행한 키지쿠스의 에우독소스(Eudoxus of Cyzicus)의 여행에 대한 스트라보(Strabo)의 기록이 인도양(Indian Ocean)이 폐쇄된 바다가 아니며 아프리카(Africa)가 남쪽 끝을 통해 일주할 수 있다고 믿게 했다고 언급했다(프라 마우로 지도의 본문, 11, G2). 이러한 지식과 아프리카 대륙의 지도 묘사는 포르투갈인들이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항해하려는 노력을 강화하도록 부추겼을 가능성이 높다.

1511년 알폰소 데 알브케르크(Afonso de Albuquerque)가 말라카(Malacca)를 정복한 후, 포르투갈(Portuguese people)인들은 자바(Javanese people)인 항해사로부터 해도를 얻었는데, 알브케르크에 따르면 그 해도에는 이미 희망봉이 포함되어 있었다.[10][11]

기원전 600년경, 헤로도토스가 『역사』에서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 네코 2세의 명으로 페니키아인들이 아프리카 주항[50]을 수행했다. 페니키아인들은 3년에 걸쳐 이를 완수하고, 남아프리카에서 천정의 북쪽에 정오의 태양을 보았다고 보고했다. 헤로도토스 시대의 (북반구) 세계관에서는 태양이 이렇게 운행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었기에, 이 이야기는 믿을 수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51] 그러나 현재는 이 이야기가 오히려 해양 항로 탐험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페니키아인의 아프리카 대륙 주항).

2. 2. 포르투갈의 희망봉 발견과 대항해시대

엔히크 왕자 (1394~1460)


서유럽의 변방 국가인 포르투갈은 좁은 국토와 부족한 자원으로 인해 매우 가난했다. 오랜 전쟁으로 국토가 황폐화되어 농업생산량은 부족했고 지중해와 북해무역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사방이 막혀있는 지정학적인 이유로 인해 세력과 영토 확장, 대외진출, 무역 등에 있어서 매우 불리했다. 이런 한계의 극복이 절실했던[59] 주앙 1세는 대서양 탐사와 북아프리카 개척을 그 돌파구로 삼았다. 이런 해양탐사 사업을 실질적으로 주도한 이는 그의 아들 엔히크 왕자였다.

엔히크는 1415년에 세우타를 정복한 후, 1419년에 사그레스 곶에 항해 연구소를 설립했다. 연구소에서는 항해사와 지도 제작자, 천문학자, 조선업자 등 항해 전문가들을 모집하여 해양 탐사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했다. 1419년, 마데이라 제도를 탐사하여[60][61] 식민지화 하였고[62][63] 이후 해양 탐험사적으로 볼 때 큰 성과들도 거두었다.[64] 그러나 해양탐사 사업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 것에 비해 경제적 실익이 적어 반대가 심했다.[59] 결국 1460년에 엔히크가 사망하면서 사업이 중단되고 말았다.[65]

중단되었던 해양탐사는 주앙 2세에 의해 재개되었다. 그의 지원하에 아프리카 서해안 탐사 사업은 큰 진전을 이루었고, 원양항해에 필요한 정보와 경험이 축적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1487년 8월에 바르톨로메우 디아스(1451~1500)가 왕명을 받아 3척의 배를 이끌고 리스본항을 출발하였다.[66] 인도를 향한 신항로 개척과 전설상에 존재하는 프레스터 존이 다스리는 나라를 찾아 동맹을 맺는 것이 목표였다. 5개월가량 남하하던 선단은 1488년 1월 6일에 아프리카 남서부 해양에서 엄청난 폭풍을 만난다.[66] 폭풍으로 인해 2주가 넘는 시간동안 표류하며 떠밀리던 배는 간신히 폭풍우를 피해 항해를 이어갔으나 30일 넘게 육지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항해하고 있음을 뒤늦게 알게 된 디아스는 동북방향으로 기수를 잡아 아프리카 남동해안을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 3월 12일에 보에스만강 하구에 정박을 하여 휴식을 취한 뒤에 디아스는 계속 항해하여 인도로 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폭풍에 지치고 시달린 선원들과 지휘관들이 극렬히 반대하며 귀국을 종용했고 폭동을 일으킬 기세였다. 욕심을 접고 귀국길에 오른 선단은 5월경에 '폭풍의 곶'을 발견하였는데[67] 디아스는 이 지역 근해에서 거친 폭풍우를 만나 고생을 심하게 했기 때문에 '폭풍의 곶(Cabo das Tormentas)'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어진 긴 항해 끝에 1488년 12월에 리스본에 귀항하였다. 총 항해 일수는 16개월 17일이였으며 디아스가 발견 후 이름 지은 '폭풍의 곶'은 주앙 2세에 의해 '희망봉'이라 재명명되었다.[68]

기존의 무역로와 개척한 신항로


희망봉 발견으로 인도로 가는 신항로는 곧 열릴 듯했다. 그러나 1491년 7월 아폰소 왕세자가 낙마사하자, 후계자 문제[69]로 정국이 어수선해졌다. 또한 1492년에 경쟁국인 스페인에 지원을 받은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후 발생한 영토분쟁으로[70] 해양탐사 사업은 정체되었다. 1494년 6월에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분쟁은 해결되었으나 이듬해 1495년 10월에 국왕 주앙 2세(1455~1495)가 사망함으로 다시 추진력을 잃고 말았다.

신항로 개척사업은 마누엘 1세에 의해 재추진되었다. 왕명을 받은 바스쿠 다 가마는 170명의 선원과 4척의 함선을 이끌고 1497년 7월 8일에 리스본의 벨렝항을 출발하였다.[71] 희망봉을 발견했던 바르톨로메우 디아스의 조언에 따라 항해한 다가마는 리스본을 떠난 지 316일(10개월 12일)만인 1498년 5월 20일 인도 캘리컷에 도착하여[72] 신항로 개척사업을 완수했다. 이후 포르투갈은 인도와 향신료 무역을 통해 큰 부를 축적하였고 식민지 사업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유럽인들은 대서양 개척과 해상을 통한 동방무역에 점차 관심을 가지게 되는 등 대항해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희망봉에 있는 바르톨로뮤 디아스의 십자가.


근세 초기, 이 곶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은 1488년 3월 12일 포르투갈 탐험가 바르톨로메우 디아스였으며, 그는 이곳을 "폭풍의 곶"(Cabo das Tormentaspt)이라고 명명했다.[12] 이후 포르투갈의 주앙 2세에 의해 인도와 동방으로 가는 해상 루트 개척으로 인한 큰 낙관론 때문에 "희망봉"(Cabo da Boa Esperançapt)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2]

2. 3.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과 남아프리카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얀 반 리베크가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였고, 이는 후에 케이프타운이 되었다.[55] 희망봉은 아시아와 유럽 간 원거리 항해 중 선원들이 휴식을 취하고 보급품을 충전하는 중간 정박지로서 좋은 여건을 가진 지역이었기 때문에 유럽인들의 식민지로 변모했다.[55]

1806년 나폴레옹 전쟁 중에 영국이 희망봉을 접수하였고, 1814년 영국-네덜란드 협정에 따라 영국령이 되었다.[55]

1652년 네덜란드인들이 최초로 정착했을 때, 코이코이족은 케이프 지역에 살고 있었다. 코이코이족은 약 1,500년 전에 이 지역에 도착했다.[13] 같은 해, 얀 판 리베크는 테이블 만에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를 위한 보급 기지를 설립했으며,[15] 이곳은 케이프타운으로 발전했다. 케이프타운은 "바다의 여관"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6]

1687년에는 위그노 공동체가 희망봉에 도착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희망봉에 숙련된 농부가 필요했고, 네덜란드 정부는 위그노를 희망봉에 정착시킬 기회를 보았다. 이후 150년 동안 식민지는 점차 성장하여 북쪽과 북동쪽으로 수백 킬로미터까지 확장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네덜란드 공화국은 1795년 프랑스에 점령당했다. 그 결과 케이프 식민지는 프랑스의 속국이 되어 영국과 적대 관계에 놓였다. 같은 해 영국군이 케이프 식민지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영국은 1803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했지만, 블라우버그 전투 이후인 1806년 1월 19일에 다시 케이프 식민지를 점령했다.[20] 네덜란드는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공식적으로 영국에 이 지역을 할양했다.[21] 케이프 식민지는 1910년 남아프리카 연합에 편입될 때까지 별개의 영국 식민지로 남았다.[22]

2. 4. 수에즈 운하와 희망봉

2021년 수에즈 운하 봉쇄 사건과 2024년 홍해 위기 이후, 인도양에서 다른 항로를 필요로 하는 선박들의 희망봉 통과가 증가했다.[27][28][29][30] 희망봉 항로는 운송 시간 증가, 운반선 가용성 감소, 운송비 및 컨테이너 임대료 급등을 초래하여 해상 화물 운송업계에 큰 타격을 입혔다.[31] 후티 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운송업체들이 홍해 항로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여러 운반선 침몰 등 선박과 선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32][33] 이케아(IKEA), 아마존, 자동차 회사, 머스크(Maersk) 등 많은 대형 해운 회사와 산업체들이 이러한 상황에 영향을 받았다.[34][35][36]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선박 통과량이 감소했다. 그러나 수에즈 운하 및 주변에서 전쟁이나 사고 등이 발생하면 일시적으로 희망봉을 통과하는 선박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희망봉 경유 항로는 수에즈 운하 경유보다 항해 기간이 1주일 정도 더 길다.[54]

3. 지리

희망봉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 주 남서안에 있는 곶으로 케이프타운 남쪽 48km에 위치해 있다.[56] 일반적으로 희망봉이 아프리카의 최남단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최남서단(最南西端)이다.[57] 최남단 지역은 희망봉에서 동남쪽으로 150km 떨어진 곳에 있는 아굴라스 곶이다.

희망봉의 위치를 보여주는 케이프 반도 지도. 테이블 마운틴을 포함한 주요 산맥과 봉우리, 그리고 케이프타운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희망봉과 아프리카 최남단인 아굴라스 곶의 지도.


희망봉은 케이프 반도의 남쪽 끝에 위치하며, 남동쪽 모서리에 있는 케이프 포인트에서 서쪽으로 약 2.3km, 약간 남쪽에 있다. 케이프타운은 반도의 북쪽 끝에 있는 테이블 만에 위치하며, 희망봉에서 북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 케이프 반도는 폴스 만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지질학적으로, 두 곶에서 발견되는 암석과 실제로 반도의 대부분은 케이프 초그룹(Cape Supergroup)의 일부이며, 테이블 마운틴 자체와 같은 유형의 사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희망봉과 케이프 포인트는 모두 장관을 이루는 경치를 제공한다. 케이프 반도 최남단 지역 전체는 야생적이고 험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대체로 손길이 닿지 않은 국립공원이다.

희망봉은 케이프타운에서 남쪽으로 50km 뻗어나간 케이프 반도의 끝에 있다. 케이프타운 남쪽의 테이블 마운틴과 같은 규질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도의 동쪽은 폴스 만(False Bay)이다. 종종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으로 오해되지만, 실제로는 동남동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아굴라스 곶이 최남단이다.

4. 생태

희망봉은 세계 6대 식물계 중 가장 작지만 가장 풍부한 케이프 플로리스틱 왕국의 중요한 부분으로, 1,100종의 토착 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수가 고유종(지구상 다른 곳에서는 자생하지 않음)이다.

희망봉은 다양한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바위산 정상에서 해변, 공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으며, 최소 250종의 조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6월부터 11월까지는 남방긴수염고래를 비롯한 다양한 고래들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장소이다.

희망봉의 주요 식생은 핀보스(fynbos)라고 불리는 독특한 관목 식생이다. 핀보스는 "미세 관목"을 의미하며, 페닌슐라 사암 핀보스는 케이프반도에 고유한 멸종 위기에 처한 식생 유형이다. 대표적인 핀보스 식물로는 프로테아, 에리카(헤더), 레스티오(갈대) 등이 있으며, 프로테아과에 속하는 킹 프로테아, 슈가부시, 트리 핀쿠션, 금색 콘 부시 등은 희망봉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꽃들이다. 또한, 펠라르고늄, 프리지아, 데이지, 백합, 붓꽃 등 우리에게 친숙한 많은 원예 식물들도 핀보스가 원산지이다.

4. 1. 동물



희망봉은 바위산 정상에서 해변과 공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펭귄 두 개의 본토 서식지 중 하나를 포함하여 최소 250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핀보스 식물의 거칠고 관목이 많은 특성 때문에 "덤불새"는 상당히 드물지만, 꽃이 피는 시기에는 프로테아와 에리카가 꿀을 찾는 태양조, 슈거버드 등 다른 종들을 유인한다.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핀보스보다 해안 관목에 작은 새들이 더 많다.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의 희망봉 지역에는 여러 종의 영양이 서식하고 있다. 본테복과 엘런드는 쉽게 볼 수 있으며, 붉은하테비스트는 스미츠윙켈 평원의 목초지에서 볼 수 있다. 회색리복은 흔치 않고 드물지만 올리펀츠보스의 해변 언덕에서 관찰될 수 있다. 대부분의 방문객들은 케이프그리스복이나 클립스프링어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희망봉 지역에는 네 마리의 케이프산얼룩말이 서식하고 있으며, 주의 깊거나 운이 좋은 방문객은 보통 스미츠윙켈 평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마뱀, , 거북이, 곤충과 같은 다양한 작은 동물들이 있다. 작은 포유류에는 케이프다시, 네줄쥐, 물몽구스, 케이프발톱없는수달, 노루가 포함된다.

이 지역은 고래 관찰에 좋은 전망대를 제공한다. 남방긴수염고래는 6월부터 11월까지 폴스베이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다. 다른 종으로는 혹등고래브라이드고래가 있다. 물개, 검은돌고래, 범고래도 목격되었다.

두 개의 주요 해류 사이에 위치한 희망봉의 전략적 위치는 풍부한 해양 생물 다양성을 보장한다. 케이프 포인트 서쪽과 동쪽의 해양 생물은 현저하게 다른 해수 온도로 인해 차이가 있다. 남아프리카 해양 생물 자원법은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 전역, 특히 해양보호구역에서 엄격하게 시행된다. 슈스터스베이와 호크 반 밥베잔 사이에서는 해양 생물의 방해 또는 제거가 엄격히 금지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관련 허가를 받으면 허용된다.

개코원숭이는 희망봉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포유류이다. 공원 희망봉 지역 내 개코원숭이는 주요 관광 명소이다. 전체 케이프 반도에 걸쳐 약 375마리의 개체로 구성된 11개의 무리가 있다. 이 11개 무리 중 6개는 공원 희망봉 지역 내에 완전히 서식하거나 이 지역을 서식 범위의 일부로 사용한다. 케이프 포인트, 카논콥, 클라인 올리펀츠보스, 버펄스베이 무리는 공원 희망봉 지역 내에 완전히 서식한다. 그로트 올리펀츠보스와 플래토 로드 무리는 공원으로 이동한다. 케이프 개코원숭이는 남아프리카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IUCN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원부는 출판물인 "바다의 산"에서 케이프의 개코원숭이 개체수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서식지 감소, 유전적 격리, 인간과의 갈등 때문이다. 케이프 개코원숭이는 케이프 반도 전역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라졌으며,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의 희망봉 지역은 경계 내에 서식하는 무리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한다. 이곳은 사람들이 음식을 찾아 집을 습격한 후 많은 개코원숭이를 죽인 인근 마을로부터 상대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개코원숭이는 공원 외부에서 자동차와 송전선에 감전되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공원 내부에서는 개코원숭이 서식지에서 바비큐와 피크닉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일부 관리 정책이 무리에게 해를 끼치는 원인이 되는데, 이는 공원 방문객과의 갈등에 휘말리기 때문이다. 특히 희망봉에서는 개코원숭이가 조개류와 다른 해양 무척추동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1842년 찰스 해밀턴 스미스는 케이프산 검은 갈기 사자를 ''Felis (Leo) melanochaita''로 기술했다.[40] 더 이상 독립된 아종으로 간주되지 않지만,[41] 케이프 라이온은 개체군으로서 현재 야생에서 멸종되었지만,[42] 후손이 사육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43][44][45]

4. 2. 식물

케이프반도의 핀보스


희망봉은 세계 6대 식물계 중 가장 작지만 가장 풍부한 케이프 플로리스틱 왕국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곳은 1,100종의 토착 식물이 서식하는 보고이며, 그중 많은 수가 고유종(지구상 다른 곳에서는 자생하지 않음)이다. 희망봉의 주요 핀보스("미세 관목") 식생 유형은 케이프반도에 고유한 멸종 위기에 처한 식생 유형인 페닌슐라 사암 핀보스이다. 해안 행클립 모래 핀보스는 저지대 알칼리성 모래에서 자라며, 바로 바닷가에는 작은 케이프 플랫츠 사구 스트란드펠트가 발견된다.[46][47]

대표적인 핀보스 식물에는 프로테아, 에리카(헤더), 레스티오(갈대)가 있다. 가장 눈에 띄고 잘 알려진 종 중 일부는 최대 24종이 서식하는 프로테아과에 속한다. 여기에는 킹 프로테아, 슈가부시, 트리 핀쿠션, 그리고 금색 콘 부시 (''류카덴드론 라우레올룸'')가 포함된다.

펠라르고늄, 프리지아, 데이지, 백합, 붓꽃과 같은 많은 인기 원예 식물들도 핀보스가 원산지이다.

5. 전설

희망봉은 전설적인 유령선 날으는 네덜란드인의 본거지이다. 전설에 따르면, 고통받고 저주받은 유령 선원들이 탑승한 이 배는 끊임없이 인근 해역을 항해하지만 희망봉을 돌파하는 데는 영원히 실패한다고 한다.[48]

아다마스토르는 포르투갈 시인 루이스 바스 데 카몽이스가 그의 서사시 루지아다스(1572년 초판)에서 창조한 그리스 신화적 인물로,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탐험 중 극복해야 했던 자연의 힘, 특히 폭풍의 곶을 돌파하려 할 때 직면했던 위험을 상징한다.

6. 한국어 명칭

한자로는 '希望峯'이 아닌 '喜望峯'이라고 쓴다. 일본에서 처음 이 지명을 번역할 당시 Good Hope를 흔히 사용하는 희망(希望)이 아니라 喜望(기쁜 희망)으로 번역했다는 설이 있으나 자세한 이유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희망봉은 지형상 봉우리가 아니라 곶이지만 봉으로 잘못 번역되어 있다. 중국어로는 '好望角'(좋은 희망 곶)이라고 표기하고 있다.[49]

영어 이름은 "Cape of Good Hope"이며, 일본어로 직역하면 "'''희망곶'''"이 된다. Cape가 "봉(峰)"으로 번역된 것은 오역으로 생각되며, Good Hope가 "'''희망'''"으로 번역된 이유는 불명확하다.[49]

참조

[1] 웹사이트 Cape of Good Hope, South Africa – 360° Aerial Panoramas http://www.airpano.c[...] 2017-02-03
[2] 웹사이트 The first circumnavigation of Africa https://web.archive.[...] 2015-10-16
[3] 서적 Englishwoman In America https://archive.org/[...]
[4] 서적 Along the Clipper Way Hodder & Stoughton
[5] 웹사이트 Map of the Park, showing the Cape of Good Hope section (retrieved 27 March 2010). http://www.sanparks.[...] 2010-03-28
[6] 서적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7] 서적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8] 논문
[9] 논문
[10] 간행물 Cartas de Affonso de Albuquerque, Seguidas de Documentos que as Elucidam tomo I https://archive.org/[...] Typographia da Academia Real das Sciencas
[11] 학술지 A sixteenth century Portuguese report concerning an early Javanese world map https://www.scielo.b[...] 1996-00-00
[12] 웹사이트 Bartolomeu Dias {{!}} Biography, Voyage, Significance, Accomplishments, Areas Explored, Death,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5
[13] 서적 An African Classical Ag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1
[14] 웹사이트 Hottentot https://www.oxfordre[...]
[15] 웹사이트 Jan van Riebeeck: Dutch colonial administrator https://www.britanni[...]
[16] 학술지 "Tavern of the Seas"? The Cape of Good Hope as an oceanic crossroads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webdoc.sub.g[...]
[17] 웹사이트 Huguenot History https://huguenotmuse[...]
[18] 웹사이트 La Motte's French heritage firmly rooted https://la-motte.com[...] 2017-05-29
[19] 학술지 From Viticulture to Commemoration: French Huguenot Memory in the Cape Colony (1688–1824) https://quod.lib.umi[...] 2021-00-00
[20] 웹사이트 Growth of the colonial economy https://www.britanni[...] 2024-06-28
[21] 학술지 Convention Between Great Britain And The Netherlands https://hansard.parl[...]
[22] 웹사이트 Cape Colony: British colony, South Africa https://www.britanni[...]
[23] 웹사이트 Cross erected by Bartholomew Dias https://www.sahistor[...]
[24] 웹사이트 Bartolomeu Dias – Life, Legacy & Expeditions https://www.history.[...] 2023-06-06
[25] 웹사이트 Da Gama Cross https://artefacts.co[...]
[26] 웹사이트 THE SEARCH FOR BRENTON'S BEACON https://simonstown.o[...] 2021-06-15
[27] 뉴스 Suez canal: Japanese owner of stricken ship talks of plan to refloat it https://www.theguard[...] 2021-03-26
[28] 뉴스 Ships Divert From Canal; More Tugs Coming: Suez Update https://www.msn.com/[...] MSN 2001-03-27
[29] 뉴스 Container ships turn to Cape of Good Hope as Suez issues continue: cFlow https://www.bunkerwo[...]
[30] 웹사이트 Red Sea crisis spurs maritime traffic to Cape of Good Hope, boosting South Africa's ports https://www.africane[...] 2024-01-27
[31] 뉴스 As the Red Sea crisis continues, pressure on consumer prices follows in its wake https://www.theguard[...]
[32] 뉴스 The shipping industry is sounding the alarm as another vessel sinks in the Red Sea https://edition.cnn.[...]
[33] 뉴스 Ship attacked by Yemen's Houthi rebels in fatal assault sinks in Red Sea in their second sinking https://apnews.com/a[...]
[34] 뉴스 Maersk suspends shipping through key Red Sea maritime trade route 'until further notice' https://edition.cnn.[...]
[35] 뉴스 Maersk Operations through Red Sea / Gulf of Aden https://www.maersk.c[...]
[36] 웹사이트 Top 8 Industries Affected by The Red Sea Crisis in January 2024 https://www.resilinc[...] 2024-01-15
[37] 웹사이트 Cape Town the Segregated city https://www.sahistor[...]
[38] 웹사이트 South African in Government and Society https://www.britanni[...]
[39] 논문 Ecology of baboons (Papio ursinus) at Cape Point
[40] 서적 The Naturalist's Library. Vol. 15 Mammalia Chatto and Windus
[41]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9-08-18
[42] 뉴스 The Barbary lion and the Cape lion: their phylogenetic places and conservation http://www.tigertouc[...] 2019-08-18
[43] 뉴스 'Extinct' lions (Cape lion) surface in Siberia http://news.bbc.co.u[...] 2000-00-00
[44] 웹사이트 Лев http://sibzoo.narod.[...] Sibzoo.narod.ru 2010-01-28
[45] 웹사이트 South Africa: Lion Cubs Thought to Be Cape Lions http://www.aparchive[...] AP Archive, Associated Press 2000-00-00
[46] 웹사이트 Peninsula Sandstone Fynbos. Cape Town Biodiversity Factsheets http://www.capetown.[...]
[47] 웹사이트 Cape Flats Dune Strandveld. Cape Town Biodiversity Factsheets http://www.capetown.[...]
[48] 웹사이트 Flying Dutchman {{!}} Captain, Myth, and Origin https://www.britanni[...]
[49] 웹사이트 喜望岬はどうして喜望峰なのか http://open-universi[...]
[50] 문서 푸토와의 무역을 위한 나일강에서 홍해로의 운하 건설 시도 실패와 천연 해상 항로 탐험
[51] 서적 역사 岩波文庫
[52] 서적 잡학 재미있는 사전 日東書院
[53] 문서 현재 이 명칭은 경멸적인 명칭이 됨
[54] 뉴스 フーシ派の商船攻撃でスエズ運河の通過船舶が激減 パナマ運河も…日本の海運大手に影響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24-11-25
[55] 뉴스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1] 희망봉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10-06-04
[56] 백과사전 희망봉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09-03-25
[57] 백과사전 희망봉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58] 서적 Along the Clipper Way Hodder & Stoughton
[59]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60] 백과사전 포르투산투섬 네이버 지식백과
[61] 백과사전 마데이라제도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62] 서적 스페인, 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63] 서적 삐딱하고 재미있는 세계탐험 이야기 푸른숲
[64] 문서 삼각돛을 이용한 역풍 항해와 캐러밸 선 개발을 통한 보자도르 곶 항해 성공 (1434년)
[65] 백과사전 엔리케의 최후 해상탐험 다음백과
[66] 서적 한 권으로 보는 탐험사 100장면 가람기획
[67] 서적 한 권으로 보는 탐험사 100장면 가람기획
[68] 백과사전 희망봉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13-10-31
[69] 문서 아폰수 왕자의 낙마 사고와 후계자를 둘러싼 귀족들의 권력 다툼 (1491년)
[70] 문서 토르데시야스 조약과 알카소바스 조약 (1493년) 및 스페인과 포르투갈 간의 영토 분쟁과 신항로 개척 사업의 차질
[71] 서적 한 권으로 보는 탐험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7-01-06
[72] 서적 콜럼버스와 그 아들들의 세계 이론과실천 2006-02-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