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T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합뉴스TV는 2011년 12월 1일 개국한 대한민국의 뉴스 전문 채널이다. 2009년 미디어법 개정안 통과 이후, 2010년 뉴스전문채널 사업자로 선정되어 설립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뉴스, 시사/교양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다양한 아나운서, 기자, 뉴스캐스터, 기상캐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최대 주주 변경 시도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으며, 2019년 방송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합뉴스 - 박창현 (아나운서)
박창현은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뉴스 Y 앵커를 거쳐 MBC 아나운서로 활동하며 다양한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드라마에 특별 출연하기도 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연합뉴스 - 뉴스통신진흥회
뉴스통신진흥회는 뉴스통신 발전과 연합뉴스사의 독립성 및 공적 책임 보장을 목적으로 뉴스통신진흥자금 운용, 연합뉴스사 경영 감독, 임원 추천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2015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만수대텔레비죤
만수대텔레비죤은 1983년 개국하여 주말 평양 지역 방송에서 전국 방송으로 확대되었으며, 조선중앙텔레비죤과 차별화된 오락, 서구권 콘텐츠, 해외 뉴스 등을 제공하는 북한의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 2015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매일경제TV
매일경제TV는 MBN미디어에서 운영하는 경제 전문 케이블 방송 채널로, 다양한 플랫폼과 OTT 서비스를 통해 증권, 경제, 부동산, 건강 등 여러 분야의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2015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만수대텔레비죤
만수대텔레비죤은 1983년 개국하여 주말 평양 지역 방송에서 전국 방송으로 확대되었으며, 조선중앙텔레비죤과 차별화된 오락, 서구권 콘텐츠, 해외 뉴스 등을 제공하는 북한의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 2015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EBS 2TV
EBS 2TV는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교육 채널로, 초·중등 교육 콘텐츠, 교양, 다큐멘터리, 어린이 프로그램을 상업광고 없이 제공하며 한국 교육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연합뉴스TV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연합뉴스TV |
영어 명칭 | Yonhap News TV |
설립일 | 2011년 3월 15일 |
개국일 | 2011년 12월 1일 (뉴스Y) 2015년 1월 5일 (연합뉴스TV) |
폐국일 | 2015년 1월 4일 (뉴스Y) |
회사 형태 | 민영 |
방송 종류 | 보도전문채널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2길 25 (수송동) |
대표 | 성기홍 |
주요 채널 번호 | B tv: 23 지니 TV: 23 U+ TV: 23 KT스카이라이프: 23 |
슬로건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
웹사이트 | 연합뉴스TV |
소유 정보 | |
주요 주주 | 연합뉴스 (28.01%) 을지병원 (9.92%) 화성개발 (8.26%) 예솔저축은행 (7.44%) 기타 (46.37%) |
경영 정보 | |
자본금 | 42,000,000,000원 (2023. 11.) |
자본 | 310,000,000,000원 (2014년) |
영업 수익 | 141,309,000,000원 (2017년) |
영업 비용 | 141,633,000,000원 (2017년) |
영업 이익 | -324,000,000원 (2017년) |
영업 외 수익 | 4,132,000,000원 (2017년) |
영업 외 비용 | 3,356,000,000원 (2017년) |
매출액 | 3,478억 6천 9백만 원 (2018년) |
인력 정보 | |
직원 수 | 544명 (2019년 1월 31일) |
주요 인물 | |
사장 | 성기홍 |
보도국장 | 추승호 |
보도본부장 | 맹찬형 |
2. 역사
2009년 7월 22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미디어 시장 규제 완화를 위한 미디어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12월 31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주)연합뉴스TV 컨소시엄을 보도전문채널사용사업자로 단독 선정하였다.
이후 (주)연합뉴스TV는 2011년 3월 창립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같은 해 4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방송채널사용사업 승인을 받았다. 같은 해 6월에는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과 MOU를 체결하고, 알자지라, 러시아 투데이, KBFD-TV, TVBS 등 해외 방송사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2011년 10월 17일, 채널명 '뉴스Y'의 BI(Brand Identity)를 공개하고, 12월 1일 개국하였다. 2012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및 수화 방송을 시작하고, 대한공공의학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공익적 활동을 강화했다. 2013년에는 사옥을 서울특별시 중구 수하동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으로 이전하고, 2014년에는 프로그램 개편을 단행했다. 2015년 1월 5일, 채널명을 '뉴스Y'에서 '연합뉴스TV'로 변경하였다.[12]
2. 1. 연혁
- 2010년 12월 31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연합뉴스TV 컨소시엄을 보도전문채널사용사업자로 단독 선정하였다.[12]
- 2011년 3월 15일: (주)연합뉴스TV가 창립 주주총회를 개최하였다.[12]
- 2011년 4월 4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연합뉴스TV의 방송채널사용사업을 승인하였다.[12]
- 2011년 6월 3일: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과 MOU를 체결하였다.[12]
- 2011년 6월 9일: 아랍권 보도 채널인 알자지라와 영상 협약을 체결하였다.[12]
- 2011년 8월 10일: 러시아 보도 채널인 러시아 투데이와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12]
- 2011년 9월 5일: 하와이 한인 방송국 KBFD-TV와 방송 협약을 체결하였다.[12]
- 2011년 9월 26일: 대만 뉴스전문채널인 TVBS와 교류협력 MOU를 체결하였다.[12]
- 2011년 10월 17일: 채널명 뉴스Y BI(Brand Identity)를 공개하였다.[12]
- 2011년 12월 1일: 뉴스Y가 개국하였다.[12]
- 2012년 1월 16일: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방송을 하루 3시간(오후 5~8시) 실시하고,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화방송을 오전, 낮에 수시로 실시하였다.[12]
- 2012년 3월 7일: 대한공공의학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12]
- 2013년 10월 21일: 사옥을 이전하였다.(서울특별시 중구 수하동 을지로2가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연합뉴스 신사옥)[12]
- 2014년 1월 6일: 뉴스Y 프로그램 개편이 있었다.[12]
- 2015년 1월 5일: 채널명을 뉴스Y에서 연합뉴스TV로 변경하였다.[12]
3. 지배구조
2011년 1월, 연합뉴스TV는 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 출범했다. 당시 학교법인 을지학원(상표 '을지재단')의 특수관계자가 2대 주주로서 지분에 출자했다. (학교법인 을지학원 9.9%, 의료법인 을지병원 4.959% 등)[11] 2023년, 의료법인 을지병원이 학교법인 을지학원에 보유 주식 기증계약을 체결하고, 학교법인 을지학원 이사장 박준영이 추가로 지분 0.826%를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연합뉴스TV에 대한 을지재단 특수관계자의 지분 비율이 30.082%로 최다액출자자 지위에 있게 되었다.[11]
과거에는 YTN이 연합뉴스의 자회사였으나, 1997년 한국전력공사(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에 모든 주식을 매각하여 경영을 분리했다. 2011년 12월, 연합뉴스가 다시 이 채널을 개국하면서 YTN과 경쟁하게 되었다.
2023년 11월 13일, 2대 주주인 학교법인 을지학원이 최대 주주였던 연합뉴스(29.86%)를 넘는 30.08%까지 주식을 매입하여 최대 주주 변경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신청했다.[7] 이에 대해 연합뉴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TV지부, 야당 더불어민주당 등은, 동시에 최대 주주 변경을 신청 중인 YTN과 함께 공적인 성격을 가진 보도 전문 채널을 민간 기업에 매각하려는 정부의 언론 장악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7] 같은 달 29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심사위원회에서 부결 의견이 많았다는 이유로 사실상의 부결을 전제로 한 보류를 발표했다.[8]
4. 프로그램
연합뉴스TV는 뉴스, 시사, 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제공한다.
뉴스 프로그램은 평일, 주말, 공휴일 등 요일에 따라 다양한 시간대에 방송되며, 정치, 북한, 스포츠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뉴스도 있다. 하위 섹션에 상세한 뉴스 프로그램 목록이 제시되어 있다.
시사/교양 프로그램으로는 미니다큐 아름다운 사람들, 바로보는TV 옴부즈맨, 연중기획 하모니, 명품리포트 맥, 맛있는 우리말,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풍경여지도, 연합뉴스TV 스페셜, 인사이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문제 토크 찬', '박산홍 김민정의 정정당당', '이슈&토크' 등 다양한 시사/교양 프로그램이 요일별로 다르게 방송된다.
종영된 프로그램으로는 뉴스센터 12, 뉴스센터 13, 북한은 오늘 등이 있다.
4. 1. 뉴스
프로그램명 | 시간 | 비고 |
---|---|---|
뉴스 01~04 | 매일 01:00 ~ 04:00 | |
뉴스오늘 | 매일 | |
출발 600 | 매일 06:00 | |
라이브 투데이 | 매일 | |
뉴스포커스 | 매일 | |
뉴스센터 | 매일 | |
뉴스현장 | 매일 | |
뉴스1번지 | 매일 | |
뉴스워치 | 매일 | |
뉴스잇 | 매일 | |
뉴스프라임 | 매일 | |
뉴스리뷰 | 매일 | |
뉴스투나잇 | 매일 | |
뉴스 24 | 매일 | |
토요와이드 / 일요와이드 | 매주 토요일, 일요일 | |
뉴스 17 | 매일 17:00 | |
뉴스 20 | 매일 20:00 | |
연합뉴스TV 뉴스특보 | 특집 편성 | |
뉴스 13~15 | 주휴일, 공휴일 13:00 ~ 15:00 | 낮 시간대 |
뉴스 21~23 | 주휴일, 공휴일 21:00 ~ 23:00 | 밤 시간대 |
미니다큐 아름다운 사람들 | 매일 | |
바로보는TV 옴부즈맨 | 매일 | |
연중기획 하모니 | 매일 | |
명품리포트 맥 | 매일 | |
맛있는 우리말 | 매일 | |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 매일 | |
풍경여지도 | 매일 | |
연합뉴스TV 스페셜 | 매일 | |
인사이드 | 매일 | |
모닝 Y 1, 2부 | 04:30~06:35 | 새벽 뉴스 |
출발 640 | 06:30~08:00 | 아침 뉴스 |
뉴스 브랜치/뉴스 Y10 | 평일 09:00~10:40 | 평일 오전 뉴스 |
멘·찬현의 시사 터치 | 평일 10:40~11:40 | 평일 오전 종합 뉴스 |
뉴스 Y12 | 평일 11:40~12:40 | 평일 정오 뉴스 |
뉴스의 현장 13/뉴스 현장 14 | 평일 12:40~15:00 | 평일 오후 뉴스 |
뉴스 1번지 | 평일 15:30~17:00 | 정치 전문 뉴스 |
뉴스 워치 | 월~목 17:00~18:30, 금 17:00~18:15 | 저녁 종합 뉴스 |
연합뉴스 20 | 평일 19:50~20:50 | 평일 밤 종합 뉴스 |
뉴스 리뷰 | 평일 20:50~22:50 | 평일 밤 종합 뉴스 |
투나이트 23 | 22:50~24:30/22:55~24:10 | 심야 메인 뉴스 |
뉴스 Y 정시 뉴스 | 07:00부터 다음날 03:00까지 매 정시 | 종합 뉴스를 제외한 시간 |
오늘의 북한 | 평일 19:40, 밤 24:40 | 북한 뉴스 전문 프로그램 |
지방의 시대 | 월~목 18:30, 금 18:15 | 지방 종합 뉴스 프로그램 |
지방의 시대 플러스 | 주말 12:35 | 일주일 지방 종합 뉴스 프로그램 |
뉴스 다이제스트 | 평일 08:00, 월~목 19:00, 평일 22:00 | |
스포츠 와이드 | 화~토 25:40 |
4. 2. 시사/교양
- 미니다큐 아름다운 사람들
- 바로보는TV 옴부즈맨
- 연중기획 하모니
- 명품리포트 맥
- 맛있는 우리말
-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 풍경여지도
- 연합뉴스TV 스페셜
- 인사이드
- 문제 토크 찬 - 금요일 18:50
- 박산홍 김민정의 정정당당 - 일요일 21:30
- 이슈&토크 - 화~토요일 03:40
- 휴먼 다큐멘터리 「사람들」 다문화 가정의 한국 정착 이야기 - 토요일 08:30/17:30, 일요일 10:30
- 아웃도어 네비게이션 야외 활동을 위한 정보 프로그램 - 금요일 24:45, 일요일 04:45/14:30
- 월드 클립 「세계는 지금」 세계 각지에서 일주일 동안 일어난 뉴스를 소개 - 토요일 10:30/18:30, 일요일 17:30
- 옴부즈맨 Y 뉴스 Y의 일주일 프로그램 평가 - 일요일 06:30/19:30
- 클릭해서 베스트 컷 연합뉴스가 다룬 하루 사진을 엄선하여 일주일 주요 뉴스를 되돌아보기 - 토요일 12:40, 일요일 01:40
4. 3. 종영 프로그램
5. 구성원
연합뉴스TV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종 |
---|
아나운서 |
뉴스캐스터 |
기상캐스터 |
기자 |
역대 보도본부장 |
5. 1. 아나운서
입사 연도 | 기수 | 성별 | 이름 |
---|---|---|---|
2011년 | 1기 | 남자 | 김승재 |
2012년 | 2기 | 여자 | 성유미 (2021년 퇴사 후 2022년 재입사) |
2014년 | 6기 | 여자 | 조서연, 이승희 |
2015년 | 7기 | 남자 | 이남규 |
2016년 | 9기 | 남자 | 서태왕 (2017년 퇴사 후 2018년 재입사) |
2017년 | 11기 | 남자 | 김민광(특채) |
2018년 | 12기 | 여자 | 이윤지 (2023년 퇴사 후 2024년 재입사) |
2019년 | 13기 | 남자 | 오세혁(특채) |
2021년 | 15기 | 남자 | 김빅토리아노 |
2021년 | 15기 | 여자 | 한보선 |
2022년 | 16기 | 남자 | 이영택, 왕준호 |
2022년 | 16기 | 여자 | 이유진, 이보현 |
2023년 | 17기 | 여자 | 장혜린 |
2024년 | 18기 | 남자 | 이상철, 박정준, 노경철 |
2024년 | 18기 | 여자 | 조해린, 허재연, 유미라, 최아영, 전세희, 이주혜, 백시연, 황지윤 |
남자 | 한규영, 윤길환 (현 MBN 기자), 김선근 (전 KBS 아나운서), 박창현 (전 MBC 아나운서), 박준수, 이재훈 (현 JRB 대표), 이태연, 이민재, 박현식, 김도헌 (현 블랙스완 대표), 최창은 (현 광주방송 아나운서), 안치용, 박영식, 이교욱 (현 MBN 기자), 이승준, 윤도현, 이정섭 (현 YTN 앵커), 황인성, 고강용 (현 MBC 아나운서) | ||
여자 | 김수민, 박연경 (현 MBC 아나운서), 조승연, 배경은, 서쥬리 (현 KTV 한국정책방송 앵커), 신수민, 은예솔 (현 롯데홈쇼핑 쇼호스트), 김정, 옥자영, 허승하, 박지민 (현 MBC 아나운서), 이윤정(현 KBS 46기 아나운서), 박송이, 변정연 (현 원주MBC 아나운서), 정보윤, 김민형 (전 SBS 아나운서), 박인애, 송서미, 김난영(현 현대홈쇼핑 인턴 쇼호스트), 이경희, 강설이, 박서현, 석지연(현 SK스토아 쇼호스트), 조영빈, 류미정, 정예지, 이가은, 엄지민 (현 YTN 앵커), 박가영, 안애경, 허유원 (현 KBS 50기 아나운서), 김나연, 이나연, 유채림, 신재은, 강다은 (현 MBC 아나운서) |
5. 2. 뉴스캐스터
입사 연도 | 이름 |
---|---|
2024년 | 함현지 |
2024년 | 김기은 |
2024년 | 강수지 |
5. 3. 기상캐스터
이름 |
---|
조민주 |
양윤진 |
전세영 |
김수진 |
강지수 |
김민지 |
박서정 |
진연지 |
김하윤 |
한가현 |
5. 4. 기자
입사 연도 | 이름 | 부서 |
---|---|---|
2015년 | 박현우 | 정치부 |
2016년 | 박수주 | 스포츠문화부 |
서형석 | 스포츠문화부 | |
정주희 | 스포츠문화부 | |
장보경 | 정치부 | |
한지이 | 경제부 | |
2017년 | 곽준영 | 경제부 |
구하림 | 뉴스총괄부 | |
김수강 | 경제부 | |
소재형 | 사회부 | |
이동훈 | 사회부 | |
임혜준 | 경제부 | |
조성흠 | 사회부 | |
최덕재 | 경제부 | |
최지숙 | 정치부 | |
2019년 | 나경렬 | 사회부 |
방준혁 | 사회부 | |
신현정 | 스포츠문화부 | |
윤솔 | 정치부 | |
이상현 | 사회부 | |
이호진 | 사회부 | |
정다예 | 정치부 | |
2021년 | 김예림 | 사회부 |
김유아 | 사회부 | |
장효인 | 정치부 | |
차승은 | 사회부 | |
홍석준 | 정치부 | |
2022년 | 박지운 | 경제부 |
신선재 | 디지털뉴스부 | |
이은정 | 국방부 | |
이화영 | 사회부 | |
정다미 | 경제부 | |
한채희 | 디지털뉴스부 | |
2023년 | 김영민 | 사회부 |
김예린 | 사회부 | |
김주영 | 경제부 | |
문승욱 | 정치부 | |
문형민 | 경제부 | |
송승현 | 방송사업부 | |
안채린 | 사회부 | |
오주현 | 경제부 | |
이다현 | 정치부 | |
이채연 | 사회부 | |
임하경 | 과학기상부 | |
정래원 | 국제부 | |
최지원 | 국방부 | |
최진경 | 사회부 | |
한웅희 | 사회부 | |
홍서현 | 정치부 | |
2024년 | 강재은 | 국제부 |
김선홍 | 사회부 | |
김수빈 | 경제부 | |
김준하 | 경제부 | |
배규빈 | 사회부 | |
서승택 | 사회부 | |
엄승현 | 사회부 | |
장한별 | 경제부 | |
진기훈 | 사회부 | |
천재상 | 글로컬뉴스부 |
5. 5. 역대 보도본부장
이름 | 재임 기간 |
---|---|
김석진 | 2011년 ~ 2012년 |
이래운 | 2013년 ~ 2015년 |
김홍태 | 2015년 ~ 2018년 |
이성섭 | 2018년 ~ 2019년 4월 |
성기홍 | 2019년 4월 ~ 2021년 9월 |
맹찬형 | 2021년 9월 ~ 2022년 |
신지홍 | 2022년 ~ |
6. 논란 및 사건사고
YTN은 과거 연합뉴스의 자회사였으나, 1997년 한국전력공사에 모든 주식을 매각하여 경영 분리가 되었다. 2011년 12월, 연합뉴스가 다시 이 채널을 개국하면서 YTN과 경쟁하게 되었다. 1995년부터 보도 채널을 운영해 온 MBN(매일경제TV)는 2011년 12월 1일부로 종합편성 채널이 되었다.
2023년 11월 13일, 2대 주주인 학교법인 을지학원이 최대 주주였던 연합뉴스(29.86%)를 넘는 30.08%까지 주식을 매입하여 최대 주주 변경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신청했다. 이에 대해 연합뉴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TV지부, 야당 더불어민주당 등은, 동시에 최대 주주 변경을 신청 중인 YTN과 함께 공적인 성격을 가진 보도 전문 채널을 민간 기업에 매각하려는 정부의 언론 장악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7] 같은 달 29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심사위원회에서 부결 의견이 많았다는 이유로 사실상의 부결을 전제로 한 보류를 발표했다.[8]
6. 1. 방송 사고
2019년 4월 10일 오후 뉴스에서 방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화면에 나오는 순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가 표시되는 방송 사고가 발생했다.[9][10]6. 2. 시보 제공
7. 마케팅
연합뉴스TV는 2011년 12월 1일 CI와 슬로건을 공개했다. CI는 무지개 색상을 본떠 만들어, 특정 색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과 다양성을 상징한다.[13] 영문 사명은 기존 '뉴스Y' 대신 '연합뉴스TV'를 쓴다고 밝혔다.[13]
7. 1. CI

2011년 12월 1일, 연합뉴스TV는 슬로건과 함께 새로운 CI를 공개했다. 이 CI는 무지개의 다채로운 색상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특정한 색이나 편협한 시각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과 다양성을 상징한다.[13] 연합뉴스TV는 영문 사명을 기존의 '뉴스Y' 대신 모두 대문자인 '연합뉴스TV'로 사용한다고 밝혔으나,[13] 로고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cable channels go on air
http://nwww.koreaher[...]
2011-11-30
[2]
웹사이트
What else can new channels do to boost ratings?
https://www.koreatim[...]
2011-12-12
[3]
웹사이트
Four new TV channels face uncertain futures
https://www.koreatim[...]
2012-01-04
[4]
웹사이트
Low ratings weigh on new channels
https://www.koreatim[...]
2012-01-20
[5]
웹사이트
New channels remain 'anonymous'
https://www.koreatim[...]
2012-06-06
[6]
웹사이트
'New TV channels are niche, not gold mine'
http://nwww.koreaher[...]
2012-11-29
[7]
웹사이트
聯合ニュースTVを「強奪」 韓国野党などが筆頭株主の変更批判
https://jp.yna.co.kr[...]
2023-11-20
[8]
웹사이트
聯合ニュースTVの筆頭株主変更を認めず 否決前提の「保留」に=韓国放送通信委
https://jp.yna.co.kr[...]
2023-11-29
[9]
웹사이트
'인공기 방송사고' 연합뉴스TV가 책임자들을 보직해임했다
https://www.huffingt[...]
2019-04-11
[10]
웹사이트
문재인 대통령 사진에 인공기? 연합뉴스TV ‘대형 방송사고’
http://www.hani.co.k[...]
2019-04-11
[11]
보고서
2023년도 제 8차 이사회 회의록
http://eulji.ac.kr/w[...]
을지대학교
2023-11-16
[12]
뉴스
'아시아넘버원 뉴스'뉴스Y 힘차게 출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11-29
[13]
뉴스
연합뉴스 보도 연합뉴스TV, CI 공개
https://news.naver.c[...]
기자협회보
2011-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