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장 (청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장은 1735년 건륭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청나라 황족이다. 그는 폐병으로 인해 승마에 능숙하지 못했고, 효현순황후의 장례 기간 중의 행동으로 형제 영황과 함께 황위 계승 후보에서 제외되었다. 1759년 순혜황귀비를 간호했으며, 이듬해 사망하여 순군왕으로 추증되었다. 정실 부인은 코르친 보르지긴 씨이며, 측실 부인으로는 완안 씨, 불명의 씨족, 구왈지야 씨가 있었다. 영장은 아들을 두지 못해 영성의 아들 면의가 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종실 군왕 - 목군왕
    목군왕은 청나라 가경제의 아들이자 건륭제의 손자로, 화유황귀비에게서 태어났지만 생후 1년 2개월 만에 요절한 인물이다.
  • 청나라의 종실 군왕 - 혁지
    이혁지는 청나라 황족으로 서민군왕에 봉해졌으나 요절하여 도라예민군왕으로 추존되었고, 후사가 없어 돈근친왕의 아들 재의가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의화단 운동 연루로 작위를 박탈당한 후 순친왕 혁현의 아들 재순이 다시 양자로 입적되었다.
  • 건륭제의 황자 - 영황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지만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 건륭제의 황자 - 영선
    영선은 건륭제의 아들로, 의친왕에 봉해져 가경제와 도광제 치세 동안 존경을 받았으며, 술과 여색을 즐기다 86세로 사망하여 청나라 황족 중 가장 장수했다.
  • 만주 양홍기인 - 면흔
    가경제의 아들인 면흔은 1등 숭선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관료 생활 중 홍수 피해 구호 활동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자금성 인쇄소 관리 부실로 징계를 받았으며, 사망 후 숭선휘친왕으로 추봉되어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만주 양홍기인 - 혁지
    이혁지는 청나라 황족으로 서민군왕에 봉해졌으나 요절하여 도라예민군왕으로 추존되었고, 후사가 없어 돈근친왕의 아들 재의가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의화단 운동 연루로 작위를 박탈당한 후 순친왕 혁현의 아들 재순이 다시 양자로 입적되었다.
영장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영장
작위군왕(郡王)
시호순(循)
봉호순(循)
로마자 표기Yeongjang
출생1735년 7월 15일
사망1760년 8월 16일
사망 장소베이징
사인병사
가족 관계
아버지건륭제
어머니순혜황귀비
배우자박이제길특씨
자녀1남
형제자매정안친왕(이복 형), 질장친왕(동복 아우), 화석화가공주(동복 누이동생), 가경제(이복 남동생)
친척옹정제(할아버지), 복의(이복 숙부), 목군왕(이복 조카), 도광제(이복 조카), 서회친왕(이복 조카), 혜단친왕(이복 조카)
기타
종교불교

2. 생애

영장은 건륭제군왕 작위에 책봉되었고 황족 종실 관료를 지냈으나, 병약하여 25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薨逝)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영장(永璋)은 1735년 7월 15일 건륭제(당시 보친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수씨(蘇氏) 부인으로, 첩복진(庶福晋)의 작위를 받았다.[1]

영장은 폐병 때문에 승마에 능숙하지 못했는데, 이는 그의 누이와 어머니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각혈을 겪었다고 한다.[2]

2. 2. 건강 문제와 황위 계승

영장은 폐병을 앓아 승마에 능숙하지 못했는데, 이는 그의 누이와 어머니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어머니가 각혈을 겪었다고도 한다.[2] 영장이 15세에 위독해지자 건륭제는 라마승에게 그의 쾌유를 빌게 했다.[3] 1748년, 영장은 효현순황후의 장례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장례 기간 중의 행동으로 인해 형제인 영황과 함께 황위 계승 후보에서 제외되었다.[4][5]

2. 3. 순혜황귀비 간호와 사망

1759년, 순혜황귀비가 승덕 산장에서 병에 걸리자, 영장은 어머니를 베이징으로 모셔왔다.[6] 1년 후 영장은 사망했으며, 사후 순군왕(循郡王)의 작위가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영장은 보르지긴 씨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화석공주 서신과 관음보의 딸이었다.[7] 슬하에 외아들을 두었으나 요절하였고, 딸은 결혼하여 작위를 상속받을 수 없었다.[8]

부인출신 부족비고
정실 부인코르친 보르지긴[10]
측실 부인완안
측실 부인불명의 씨족1759년 사망
측실 부인구왈지야 씨


3. 1. 정실 부인

코르친 보르지긴 씨이다.[10]

3. 2. 측실 부인


  • 측실 부인: 완안
  • * 장남 (1756년 1월 19일 – 1756년 2월 14일)
  • 측실 부인: 불명의 씨족 (사망 1759년)
  • 측실 부인: 구왈지야 씨
  • * 장녀: 현군 (1755년 7월 29일 – 1777년 3월 24일), 하르친 울랑하이기모트 씨족 단바 도르지와 결혼

3. 3. 가계 계승

영성의 아들 면의가 영장의 뒤를 이었다.[9] 영장은 보르지긴 씨와 결혼했는데, 외아들이 요절하고 딸은 결혼하여 작위를 상속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8]

4. 가계도

순친왕 가계도

참조

[1] 서적 北京市區主要街道景觀導覽/"Important and famous tourist attractions of Beijing" 崧博出版事業有限公司
[2] 서적 《清宫医案研究》
[3] 서적 《清代宫廷社会史》/"Stories of the palaces of Qing descendants "
[4] 서적 《孝賢皇后輓詩》/"Empress Xiaoxian in memoriam"
[5] 서적 Thirteen beauties of Great Qing Beijing Book Co. Inc.
[6] 서적 《清宫医案研究》
[7] 서적 《清皇室四譜》/"Genealogy of imperial princes of Qing dynasty"
[8] 서적 Most popular and famous tourist attractions of Beijing 崧博出版事業有限公司
[9] 서적 愛新覺羅宗譜/"Genealogy of the Aisin-Gioro clan"
[10] 서적 《为循郡王福晋初大上坟应用桌张刷套照例备办事致内务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