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국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국공주는 1061년에 태어난 북송의 공주로, 귀인 동씨의 셋째 딸이다. 태어난 해에 요절했으며, 사망 당일 초국공주로 추증되었다. 이후 한국장공주, 예국대장공주, 장엄대장제희로 작위가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송 인종의 황녀 - 복강공주 (북송 인종의 장녀)
복강공주는 북송 인종의 장녀로, 효성이 지극하고 불행한 결혼 생활을 겪었으며 33세에 사망했다. - 북송의 공주 - 복강공주 (북송 인종의 장녀)
복강공주는 북송 인종의 장녀로, 효성이 지극하고 불행한 결혼 생활을 겪었으며 33세에 사망했다. - 1061년 출생 - 서하 혜종
서하 혜종은 서하의 제3대 황제이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량씨의 섭정을 받았고, 16세에 친정을 시작했으나 26세에 사망했다. - 1061년 출생 - 완안 오아속
완안 오아속은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 완안부의 수장으로서 잉거의 뒤를 이어 지도자가 되었고 동생 아골타와 함께 여진 부족을 통합하고 고려와의 전쟁을 통해 완안부의 위상을 높였으며 수분하 유역을 평정하여 금나라 건국에 기틀을 다진 인물로 희종으로부터 황제로 추존되었다.
예국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엄제희 |
다른 이름 | 예국공주 |
로마자 표기 | Yeguk gongju/Jang'eom jehui |
한자 표기 | 豫国公主/莊儼帝姬 |
상세 정보 | |
작위 | 북송의 공주 |
별호 | 초국공주(楚國公主)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 예국대장공주(豫国大長公主) 장엄대장제희(莊儼大長帝姬) |
출생일 | 1061년 |
사망일 | 1061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북송 인종 |
어머니 | 숙비 동씨 |
동복 자매 | 진국공주 연국공주 |
작위 추증 | |
추증 작위 | 장엄대장제희(莊儼大長帝姬)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양력) | 1061년 8월 17일 |
출생일 (음력) | 가우(嘉祐) 6년 7월 23일 |
사망일 (양력) | 1061년 10월 18일 |
사망일 (음력) | 가우 6년 8월 26일 |
기타 정보 | |
칭호 | (추증: 장엄대장제희) |
아버지 | 인종 |
어머니 | 귀인 동씨 |
2. 생애
귀인 동씨(후에 귀비로 추증)의 셋째 딸로 가우 6년 7월 23일(1061년 8월 17일)에 태어났다. 그러나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같은 해 윤 8월 26일(1061년 10월 18일)에 요절했다. 공주로 정식 책봉되기 전에 사망하였으나, 사망 당일에 초국공주(楚國公主)로 추증되었다.
사망 당일 초국공주의 작위가 추증되었다.
치평 원년(1064년) 6월에는 재종형인 영종에 의해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로 다시 추증되었다. 이후 원부 3년(1100년) 3월에는 휘종에 의해 예국대장공주(豫國大長公主)로 추증되었고, 정화 4년(1114년) 12월에는 다시 '''장엄대장제희'''(莊儼大長帝姬)로 추증되었다.
3. 사후 추증
치평 원년(1064년) 6월, 재종형인 영종으로부터 한국장공주의 작위가 추증되었다. 원부 3년(1100년) 3월, 휘종으로부터 예국대장공주의 작위가 다시 추증되었다. 정화 4년(1114년) 12월, '''장엄대장제희'''의 작위가 다시 추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