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안 오아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안 오아속은 1061년에 태어나 1113년에 사망한 여진 완안부의 추장이다. 그는 숙부인 영가의 뒤를 이어 완안부의 수장이 되었으며, 동생 아골타와 함께 세력 확장에 힘썼다. 고려와 7년간 전쟁을 벌였으며, 헬란뎬을 복속시키는 등 영토를 확장하여 발해국에 필적하는 영역을 지배했다. 사후 금나라 희종으로부터 헌민공간황제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1년 출생 - 서하 혜종
    서하 혜종은 서하의 제3대 황제이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량씨의 섭정을 받았고, 16세에 친정을 시작했으나 26세에 사망했다.
  • 1061년 출생 - 예국공주
    북송 시대 귀비 동씨의 셋째 딸인 예국공주는 생전에는 공주로 봉해지지 못했으나 요절 후 초국공주로 추증되었고, 여러 차례 작위가 더해졌으며, 그녀에 대한 기록은 여러 역사 문헌에 남아있다.
  • 1113년 사망 - 스뱌토폴크 2세
    스뱌토폴크 2세는 이자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1093년부터 1113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지낸 인물로, 킵차크족에 맞서 싸우고 성 미하일 황금 돔 수도원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며 루스 공국 간의 내전에 개입하고 여러 자녀를 두었다.
  • 1113년 사망 - 소회황후
    북송 철종의 후궁 소회황후 유씨는 아름다움과 지혜로 철종의 사랑을 받았으나, 황후 맹씨를 모함하여 폐위시키고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의 요절과 철종의 죽음, 그리고 휘종 즉위 후의 권력욕과 부적절한 처신으로 자결에 이르렀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핵리발
    완안 핵리발은 금나라 황족으로, 금나라 건국에 기여한 아들들을 두었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수가
    완안 수가는 983년부터 1005년까지 여진족 추장으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금나라 건국 토대를 마련하고 요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완안 오아속
기본 정보
이름우야슈
한자烏雅束
아버지헬리보
어머니날란 부인
출생일기원후 1061년경
사망일1113년 (향년 52세)
묘호강종(康宗)
시호헌민공간황제(獻敏恭簡皇帝)

2. 생애

우야수(完顔 烏雅束)는 1061년 헬리보(紇里鉢)의 아들로 태어나, 1104년 숙부 잉거(盈歌)의 뒤를 이어 완안 부족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두만강 유역과 헬란뎬(曷懶甸, 현재의 함경북도) 지역을 평정하고, 수분하 유역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고려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우호적이었으나, 고려로 도망간 여진족 송환 문제와 헬란뎬 지역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악화되었다. 1107년 고려는 우야수의 즉위를 축하하는 사절을 보냈지만, 이후 고려가 우야수의 사절을 살해하고 헬란뎬을 공격하면서 양측은 전쟁에 돌입했다. 이 전쟁은 "윤관의 북정"으로 불리며, 7년간 지속된 끝에 양측의 화친으로 마무리되었다.

우야수는 1113년 5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동생 아구다가 뒤를 이어 완안 부족을 이끌고 금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요사』와 『금사』에 따르면, 건통 3년(1103년)에 숙부인 목종 영가(잉코, 오고내의 다섯째 아들)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수장이 되었다.

『금사』에는 여진 완안부의 선조는 조선 북부에서 이주해 온 흑수말갈의 일부 족장이었던 함보 (묘호는 시조)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케우치 히로시의 연구에 따르면, 시조 이하 소조(完颜石魯|완안석로중국어)에 이르는 5대의 사적은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한다.[3] 사서에는 시조 이하, 덕제(烏魯|우루중국어), 안제(跋海|발해중국어), 헌조(綏可|수이커중국어}), 소조 석로, 경조 오고내까지 부자 상속이 이루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고내의 사적도 역사적 사실로 보기에는 의문이 있지만, 이 시대에 생여진의 완안씨가 안출호(알추흐) 수 지역에서 비로소 지도적 입장에 섰다고 여겨진다.[3] 그 후, 수장권은 아버지 해리발(오고내의 둘째 아들), 숙부인 完颜頗剌淑|완안파랄숙중국어(포라셰, 묘호는 숙종, 오고내의 넷째 아들), 영가(잉코)에게 계승되었고, 오아속(우야스)이 이를 이어받았다.

우야스는 후세에 황통 4년(1144년)에 아쿠다의 손자이자 금나라 제3대 황제인 희종으로부터 '''헌민공간황제'''라는 시호를 받았다. 황통 5년(1145년)에는 교릉에 후하게 장사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부족장 즉위

1061년 헬리보(紇里鉢)의 아들로 태어났다. 1104년 숙부 잉거(盈歌)로부터 완안 부족의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았다.[3] 잉거는 두만강 유역을 평정한 후 헬란뎬(曷懶甸; 현재의 함경북도) 정복 중에 사망했다. 이듬해 우야수는 그 사업을 재개했다. 그의 명령에 따라 시스환(石適歡)은 두만강 유역에서 완안 군대를 이끌고 헬란뎬의 경쟁 여진 부족들을 정복하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한국의 고려로 도망간 잔여 세력 약 1,800명을 추격했다. 고려는 그들을 인도하지 않고 임간(林幹)을 보내 완안 군대를 가로막았다. 그러나 시스환은 정평성 북쪽에서 임간을 격파하고 고려의 북동 변경을 침략했다. 고려는 윤관을 파견하여 여진족에 저항했지만 다시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 결과 우야수는 헬란뎬의 여진족을 복속시켰다.

1107년 고려는 사절을 보내 우야수의 완안 부족 추장 즉위를 축하하고, 고려로 도망간 헬란뎬 여진족을 돌려보낼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우야수의 사절이 고려에 도착했을 때, 고려인들은 그들을 살해하고 윤관이 이끄는 5개의 대군을 파견하여 헬란뎬을 공격했다. 고려군은 수백 개의 여진 마을을 파괴하고 그곳에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우야수는 헬란뎬을 포기하려 했지만, 그의 동생 아구다가 그에게 또 다른 형제 오사이(斡賽)를 파견하여 고려와 싸우도록 설득했다. 오사이 또한 고려의 9개 요새에 맞서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1년 간의 전투 끝에 완안 군대는 2개의 요새를 점령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나머지 7개의 요새는 여전히 고려군이 점령하고 있었다. 여진족은 고려에 휴전을 제안했고 고려와 여진족은 합의를 이루었다. 그 결과 여진족은 고려를 침략하지 않겠다고 맹세했고 고려는 9개의 요새에서 철수했다.[7]

우야수는 수분하 유역을 평정했다. 1113년 사망했을 때 그의 동생 아구다가 뒤를 이었다.[3]

2. 2. 영역 확장과 고려와의 갈등

우야수(完顔 烏雅束)는 숙부 잉거(盈歌)의 뒤를 이어 완안 부족의 지도자가 된 후, 두만강 유역과 헬란뎬(曷懶甸; 현재의 함경북도) 지역을 평정하는 사업을 계속했다. 1104년, 시스환(石適歡)을 파견하여 헬란뎬의 여진 부족들을 정복하고, 고려로 도망간 잔여 세력을 추격하도록 했다. 고려는 임간(林幹)을 보내 이들을 막았으나, 시스환은 정평성 북쪽에서 임간을 격파하고 고려의 북동 변경을 침략했다. 고려는 윤관을 파견하여 여진족에 저항했지만, 또다시 패배했다.

1107년, 고려는 사절을 보내 우야수의 즉위를 축하하고, 고려로 도망간 헬란뎬 여진족을 돌려보낼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우야수의 사절이 고려에 도착했을 때, 고려는 그들을 살해하고 윤관이 이끄는 대군을 파견하여 헬란뎬을 공격했다. 고려군은 수백 개의 여진 마을을 파괴하고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우야수는 헬란뎬을 포기하려 했지만, 동생 아구다의 설득으로 오사이(斡賽)를 파견하여 고려와 싸우게 했다. 오사이 역시 고려의 9개 요새에 맞서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1년 간의 전투 끝에 완안 군대는 2개의 요새를 점령했지만 큰 피해를 입었고, 나머지 7개 요새는 여전히 고려군이 점령하고 있었다. 결국 여진족은 고려에 휴전을 제안했고, 양측은 합의를 통해 여진족은 고려를 침략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고려는 9개 요새에서 철수했다.[7]

우야수는 수분하 유역도 평정했다. 그는 1113년에 사망했고, 동생 아구다가 그 뒤를 이었다.

2. 3. 수분하 유역 평정 및 사망

잉거(盈歌)가 두만강 유역을 평정한 후 헬란뎬(曷懶甸; 현재의 함경북도) 정복 중에 사망하자, 우야수는 이듬해 그 사업을 재개했다. 그의 명령에 따라 시스환(石適歡)은 두만강 유역에서 완안 군대를 이끌고 헬란뎬의 경쟁 여진 부족들을 정복하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한국의 고려로 도망간 잔여 세력 약 1,800명을 추격했다. 고려는 그들을 인도하지 않고 임간(林幹)을 보내 완안 군대를 가로막았다. 그러나 시스환은 정평성 북쪽에서 임간을 격파하고 고려의 북동 변경을 침략했다. 고려는 윤관을 파견하여 여진족에 저항했지만 다시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 결과 우야수는 헬란뎬의 여진족을 복속시켰다.[7]

1107년 고려는 사절 하이환팡스(黑歡方石)를 보내 우야수의 완안 부족 추장 즉위를 축하하고, 고려로 도망간 헬란뎬 여진족을 돌려보낼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우야수의 사절 아구오(阿聒)와 울린다성쿤(烏林答勝昆)이 고려에 도착했을 때, 고려인들은 그들을 살해하고 윤관이 이끄는 5개의 대군을 파견하여 헬란뎬을 공격했다. 고려군은 수백 개의 여진 마을을 파괴하고 그곳에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우야수는 헬란뎬을 포기하려 했지만, 그의 동생 아구다가 그에게 또 다른 형제 오사이(斡賽)를 파견하여 고려와 싸우도록 설득했다. 오사이 또한 고려의 9개 요새에 맞서 9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1년 간의 전투 끝에 완안 군대는 2개의 요새를 점령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나머지 7개의 요새는 여전히 고려군이 점령하고 있었다. 여진족은 고려에 휴전을 제안했고 고려와 여진족은 합의를 이루었다. 그 결과 여진족은 고려를 침략하지 않겠다고 맹세했고 고려는 9개의 요새에서 철수했다.[7]

우야수는 수분하 유역 또한 평정했다. 그는 1113년 53세의 나이로 병사하였고,[3] 그의 동생 아구다가 뒤를 이었다.

3. 가족 관계

부왕금나라 추존 황제 세조 완안 핵리발(1039 - 1092, 재위 1074 - 1092)
모후익간황후 나라씨(翼簡皇后 拿懶氏, ? - 1085)
동복동생금나라 초대 황제 태조 완안 아골타(1068 - 1123, 재위 1115 - 1123)
동복동생금나라 제2대 황제 태종 완안 오걸매(1075 - 1135, 재위 1123 - 1135)


4. 후대의 평가 및 계승

요사금사에 따르면, 오아속(우야스)은 숙부인 영가(잉코)에게서 절도사의 직을 이어받아 완안부의 수장이 되었고, 생여진 여러 부를 통합했다.[5][6] 또한, 배하의 석적환을 파견하여 갈란전 지역(오늘날의 함경도 함흥 평야 일대)을 제압했다.[3] 고려와 7년에 걸쳐 전쟁을 벌였으며(한국에서는 윤관의 북정으로 알려짐), 결과적으로 여진과 고려의 화친으로 끝났다.[7] 오아속 대에 완안부가 지배하는 영역은 과거의 발해국에 필적할 정도가 되었다.[3]

오아속은 동생인 아골타(아쿠다)와 함께 여진 완안부의 세력 확장에 힘썼다. 1113년에 오아속이 53세의 나이로 병사하자, 동생 아쿠다가 뒤를 이었다. 아쿠다는 금을 건국하고 요나라로부터 자립했다.[5][6]

후세에 황통 4년(1144년), 아쿠다의 손자이자 금나라 제3대 황제인 희종은 오아속에게 '''헌민공간황제'''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황통 5년(1145년)에는 교릉에 후하게 장사되었다.

5. 관련 계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해리발(헤린보)금 세조
영가(인코)금 목종
본인아골타(아쿠다)
완안 민
금 태조, 오아속은 형제 항렬
아우오걸매(우키마이)
완안 성
금 태종
조카알본(오벤)
완안 종간
금 덕종
조카승과(젠가)
완안 종준
금 휘종
조카와리타(오리도)
완안 종보
금 예종
조카합랄(호라)
완안 단
금 희종
조카적고내(테크나이)
완안 량
해릉왕
조카오록(울)
완안 옹
금 세종


참조

[1] 서적 China Under Jurchen Rule: Essays on Chin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11-25
[3] 문서 河内(1970)pp.41-44
[4] 문서 河内(1970)pp.44-48
[5] 문서 佐伯(1975)pp.254-256
[6] 문서 河内(1989)pp.228-230
[7] 문서 内藤(2015)p.1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