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이의배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예산 이의배 신도비(李義培 神道碑)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이의배(1576~1637)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입니다.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6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습니다.
이의배(李義培) 장군:
-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의백(宜伯), 시호는 충장(忠壯)입니다.
-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감찰 등을 역임했습니다.
- 1635년 공청병마절도사(公淸兵馬節度使)로 부임하여 병자호란을 맞았습니다.
- 죽산산성에서 청나라 군대에 맞서 싸우다 광주 쌍령 전투에서 순절하였습니다.
-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고향인 예산에 정문(旌門)이 세워졌습니다.
신도비의 건립 경위 및 형태:
- 1644년(인조 22)에 건립되었습니다.
- 비문은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이 짓고, 송설체(松雪體)로 유명한 조맹부(趙孟頫)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새겼습니다.
- 화강암으로 된 장방형 대좌 위에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방형의 화강암으로 된 쌍룡쟁주형(雙龍爭珠形) 문양의 이수를 올린 형태입니다.
- 비의 총 높이는 322cm, 비신의 크기는 폭 104cm, 두께 43cm, 높이 247cm입니다.
신도비의 내용:
- 비문에는 이의배의 풍채, 성품, 학문, 무예, 충절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평소 검소하고 글 읽기를 좋아하여 『논어』를 500번 읽었다고 합니다.
- 문무를 겸비한 무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병자호란 당시의 전투 상황과 이의배 장군의 순절, 시신 수습 과정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찾아가는 길:
-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 재동마을 야산의 남동향 경사면 구릉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예산 이의배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이의배신도비 (李義培神道碑) | |
![]()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 산5-1 |
지정 번호 | 문화재자료 186호 |
지정일 | 1984년 5월 17일 |
시대 | 조선시대 |
관리 | 예*** |
수량 | 1기 |
문화재청 | 31,01860000,3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