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글리 너 헤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글리 너 헤런(Óglaigh na hÉireann)은 '아일랜드 의용군'을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구절로, 젊은 전사를 뜻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 명칭은 1913년 아일랜드 자원군을 위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에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을 지칭하기도 했다.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군을 자칭하는 여러 준군사 조직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영어 환경에서 'Oglaigh na hÉireann'을 사용하기도 했다.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 후, 국민군은 이 명칭을 채택했고, 1924년부터는 아일랜드 방위군의 공식 아일랜드어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아일랜드 정부는 오글리 너 헤런을 아일랜드 공화국의 유일한 합법적인 군대로 인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군사 - 아일랜드 방위군
    아일랜드 방위군은 1924년 창설되어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내전을 거치고, 유엔 평화 유지군에 병력을 파견하며,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상비군과 예비군을 운용하는 아일랜드의 군대이다.
  • 아일랜드의 군사 - 국가안전보장위원회 (아일랜드)
    아일랜드 국가안전보장위원회는 국가 안보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 기구로, 법무부, 경찰청, 국방부 등 여러 부처 고위 관계자들이 참여하며, 테러 위협 수준을 평가하고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시민군
    1913년 더블린 락아웃 당시 노동자 보호를 위해 결성된 아일랜드 시민군은 노동자 민병대에서 아일랜드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하는 혁명 조직으로 발전하여 부활절 봉기에 참여하고 아일랜드 공화군을 지원했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의용군
    아일랜드 의용군은 아일랜드 자치 획득을 목표로 1913년 결성된 민족주의 군사 조직으로, 부활절 봉기를 주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문제로 분열되어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계승되었으며 현재 아일랜드 방위군 창군일의 기원이다.
  • 아일랜드 공화국군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 아일랜드 공화국군 - 아일랜드 공화국군 참모총장
    아일랜드 공화국군 참모총장은 1917년부터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여러 분파에서 배출된 최고 지휘관으로, 아일랜드 독립 전쟁,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등 격동의 시기에 IRA를 이끌었다.
오글리 너 헤런
명칭
명칭오글라이 너 헤런
로마자 표기Oglaigh na hEireann
영어 명칭Irish Volunteers (아일랜드 의용군), Irish Republican Army (아일랜드 공화국군), Irish National Army (아일랜드 국민군), Irish Defence Forces (아일랜드 방위군)
개요
의미아일랜드의 군인들 또는 아일랜드 의용군
사용
사용 조직아일랜드 방위군 및 다양한 아일랜드 공화주의 준군사 조직

2. 명칭의 유래와 의미

Ó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은 아일랜드어로 "아일랜드의 전사들(또는 의용군)"을 의미하며, 그 뿌리는 젊은 전사를 뜻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óclach'에 있다.[9] 이 명칭은 1913년 창설된 아일랜드 자원군의 이름으로 처음 채택되었으며,[10]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을 포함한 여러 아일랜드 공화주의 준군사 조직들이 이 이름을 사용하며 그 정통성을 주장해왔다.

2. 1. 아일랜드 의용군과 아일랜드 공화국군 (IRA)

'Óglach'는 'óglaigh'의 단수형으로, 젊은 남자를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óclach'에서 유래했으며, 비유적으로 젊은 전사를 뜻한다.[9] Ó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이라는 구절은 1913년 아일랜드 자원군의 아일랜드어 명칭으로 처음 만들어졌으며,[10] 아일랜드 자원군이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이어진 아일랜드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영어권에서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일랜드어 명칭은 계속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1920년 이후 스스로를 "아일랜드 공화국군"이라고 칭하는 여러 다른 준군사 조직에 의해서도 사용되었다. 이들 각 그룹은 자신들이 원래의 아일랜드 자원군과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유일한 정통 후계자라고 주장하며, 아일랜드 국방군,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공화국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각 그룹은 Ó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유일한 권리가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그룹에는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rovisional IRA),[11]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ontinuity IRA),[12]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eal IRA) 등이 포함된다.[13]

일부 IRA 분파는 영어 사용 환경에서도 '아일랜드 공화국군'이라는 명칭 대신 O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을 사용했다. 초기 사례로는 1956년, IRA에서 추방된 조 크리스틀(Joe Christle)을 따르던 더블린 여단 구성원들이 결성한 조직이 있다. 이들은 IRA 국경 캠페인이 본격화되기 직전에 Saor Uladh와 동맹을 맺었다.[14] 2000년대에 결성된 두 개의 반체제 공화주의자 그룹도 O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하나는 연속 IRA에서 갈라져 나온 분파로 2006년 독립 모니터링 위원회 보고서에 처음 언급되었고,[15] 다른 하나는 진짜 IRA에서 갈라져 나온 분파로 2009년부터 공격에 대한 책임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1939년 6월, 아일랜드 정부는 국가 범죄법 1939–1998에 따라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및 O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이라고 스스로 칭하는 조직"을 해당 법률의 맥락에서 불법 조직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의 탄압 명령을 내렸다.[16]

3. 아일랜드 자유국과 국민군 (National Army)

1922년, 영국-아일랜드 조약으로 아일랜드 자유국이 수립되었고, 자유국의 임시 정부는 국민군을 창설했다. 독립 이전 운동의 전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군대는 아일랜드어 명칭으로 Ó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le을 채택했고,[17] 아일랜드 의용군의 모자 배지와 단추를 사용했다. 배지 디자인에는 이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18]

4. 아일랜드 방위군 (Defence Forces)

1924년부터 Óglaigh na hÉireann|오글리 너 헤런ga방위군의 공식적인 아일랜드어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19] 아일랜드 정부는 이를 아일랜드 공화국의 유일한 합법적인 군대로 인정하고 있다.[20]

5. 명칭 사용을 둘러싼 논쟁

''óglach''은 ''óglaigh''의 단수형으로, 젊은 남자를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óclach''에서 유래했으며, 비유적으로는 젊은 전사를 의미한다.[9] ''Óglaigh na hÉireann''이라는 구절은 1913년 아일랜드 자원군을 위한 아일랜드어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졌다.[10] 이 명칭은 자원군이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이어진 아일랜드 독립 전쟁 동안 영어로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알려지게 된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1920년 이후 자신들을 "아일랜드 공화국군"이라고 칭하는 여러 다른 준군사 조직에 의해서도 사용되었다. 이들 각 그룹은 자신들이 원래의 아일랜드 자원군과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유일한 현대적 정통 후계자라고 주장하며, 아일랜드 국방군,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공화국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각 그룹은 ''Óglaigh na hÉireann''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유일한 권리가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그룹에는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rovisional IRA),[11]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ontinuity IRA),[12]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eal IRA) 등이 포함된다.[13]

일부 IRA 분파는 영어 사용 환경에서도 ''아일랜드 공화국군''이라는 명칭 대신 ''Oglaigh na hÉireann''을 사용하기도 했다. 초기 사례로는 1956년, IRA에서 추방된 조 크리스틀을 따르던 더블린 여단 구성원들이 결성한 조직이 있다. 이들은 IRA 국경 캠페인이 시작되기 직전에 Saor Uladh와 동맹을 맺었다.[14] 2000년대에 결성된 두 개의 반체제 공화주의자 그룹도 ''Oglaigh na hÉireann''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하나는 연속 IRA 분파로, 2006년 독립 모니터링 위원회 보고서에 처음 언급되었고,[15] 다른 하나는 진짜 IRA 분파로, 2009년부터 공격에 대한 책임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1939년 6월, 아일랜드 정부는 국가 범죄법 1939–1998에 따라 탄압 명령을 발령했다. 이 명령은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및 ''Oglaigh'' [sic] ''na hÉireann'')이라고 스스로 칭하는 조직"을 해당 법률의 맥락에서 불법 조직으로 간주한다고 명시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Easter Parade 2016 - Defence Forces 2016 - Info Centre - Defence Forces http://www.military.[...]
[2] 간행물 A Pictorial History of Óglaigh na hÉireann, the Defence Forces of Ireland http://www.military.[...] Irish Defence Forces 2007-11-18
[3] 서적 Provisional Irish republicans: an oral and interpretive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3
[4] 서적 Scorched Earth: Studies in the Archaeology of Conflict BRILL 2007
[5] 서적 Terror, insurgency, and the state: ending protracted conflic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7
[6] 서적 Armed struggle: the history of the IRA Pan Macmillan 2004
[7] 서적 Irish Volunteer soldier 1913–23 Osprey Publishing 2003
[8] 서적 The IRA Palgrave Macmillan 2002
[9] 간행물 óclach http://edil.qub.ac.u[...] Royal Irish Academy 1913-1976
[10] 서적 Armed struggle: the history of the IRA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 서적 Dissident Irish Republican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1
[12] 웹사이트 Continuity Irish Republican Army (CIRA) http://www.globalsec[...]
[13] 간행물 http://www.tribune.i[...] 2009-04-15
[14] 웹사이트 Christle, Joseph Patrick https://dib.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5-29
[15] 웹사이트 Eighth Report of the Independent Monitoring Commission http://www.irishtime[...] The Irish Times 2006-01
[16] 웹사이트 S.I. No. 162/1939 – Unlawful Organisation (Suppression) Order, 1939 http://www.irishstat[...] 2007-06-30
[17] 서적 The Handbook of European Defence Policies and Armed Forc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7-11
[18] 웹사이트 Defence Forces Headquarters – History: Defence Forces Cap Badge http://www.military.[...]
[19] 웹사이트 Arm – Óglaigh na hÉireann http://www.military.[...] 2006-11-29
[20] 문서 From 1922 to 1937, this state was the [[Irish Free State]], and since 1937 was Ireland or {{lang|ga|[[Éire]]}}. The Irish Government passed an act in 1948 under which the name ''[[Republic of Ireland]]'' can also be used in English-language legal documents as a description of the state.
[21] 간행물 A Pictorial History of Óglaigh na hÉireann, the Defence Forces of Ireland http://www.military.[...] Irish Defence Forces 2007-11-18
[22] 서적 Provisional Irish republicans: an oral and interpretive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3
[23] 서적 Scorched Earth: Studies in the Archaeology of Conflict BRILL 2007
[24] 서적 Terror, insurgency, and the state: ending protracted conflic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7
[25] 서적 Armed struggle: the history of the IRA Pan Macmillan 2004
[26] 서적 Irish Volunteer soldier 1913–23 Osprey Publishing 2003
[27] 서적 The IRA Palgrave Macmillan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