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싱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싱턴역은 캐나다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 선의 역이다. 오싱턴 애비뉴와 블루어 스트리트 교차로에 위치하며, 2016년 리모델링을 통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높였다. 역에는 공공 미술 작품인 스콧 언슨의 '오싱턴 입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63, 94, 161번 버스는 역 안에서, 300번과 363번 심야 버스는 역 밖에서 환승 가능하다. 인접한 역으로는 더퍼린역과 크리스티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오싱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 |
| 노선 정보 | |
| 노선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 이전 역 | 더퍼린 |
| 다음 역 | 크리스티 |
| 버스 연결 정보 | |
| 버스 | TTC 버스 |
2. 역 구조
오싱턴역의 정문은 오싱턴 애비뉴 서쪽과 블루어 스트리트 북쪽에 있으며, 2016년 리모델링 공사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교통약자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델라웨어 애비뉴에 있는 무인 자동 출입구는 프레스토 카드나 메트로패스로 출입할 수 있다.[2]
2014년 여름부터 모든 승객이 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설치, 자동 슬라이딩 도어 설치,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시설, 보안 및 표지판 개선 등의 공사가 진행되었다.[6]
2. 1. 공공 미술
2016년 리모델링 공사 당시 역에는 스콧 언슨의 공공 미술 작품인 '오싱턴 입자' (Ossington Particles)가 설치되었다.[7] 언슨은 승강장과 메자닌 층 계단 사이에 800개의 다채로운 접착식 아크릴 타일을 설치하였다. 작품 옆에 설치된 명판에는 "오싱턴역 타일에 담겨있는 입자들은 이곳의 자연과 인간사를 다루며 인근의 개리슨 하천 유역을 담고 있으며 이 동네의 고대 풍경과 지질을 상기시키는 목적을 담고 있다."라는 작가의 메시지가 적혀있다.
3. 연결편
오싱턴역에서는 토론토 교통국의 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