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월란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월란아족은 수상란속, 오월란속을 포함하는 라엘리아 아족에 속하는 여러 난초 속들을 포괄하는 분류군이다. 이 아족에는 아크로르키스, 아다만티니아, 알라마니아, 아모아나, 아르포필룸, 아르토리마, 바르케리아, 브라사볼라, 브로톤니아, 카틀레야 등 다양한 속이 포함되며, 속간 교배를 통해 브라소카틀레야, 라엘리오카틀레야 등과 같은 교배 속도 만들어진다. 각 속은 다양한 동의어를 가지며, 재배 및 보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상란족 - 풍선난초아족
    풍선난초아족은 난초과에 속하는 아족으로 칼립소속, 창그니에니아속, 산호란속, 약난초속 등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잎, 꽃, 생육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이고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수상란족 - 옥토메리아 크래시폴리아
    옥토메리아 크래시폴리아는 난초과에 속하는 식물 종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특징적인 외형과 생태적 특징을 지닌다.
  • 1881년 기재된 식물 - 잔디족
    잔디족은 나도바랭이아과에 속하는 족으로, 나도바랭이아과 내에서 가장 늦게 분기되었으며 잔디아족과 쥐꼬리새풀아족으로 나뉘고 잔디속, 쥐꼬리새풀속 등을 포함한다.
  • 1881년 기재된 식물 - 무시르
    무시르는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남아시아에 분포하는 부추속 식물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관상용으로도 재배되고, 특히 이란 요리에서 널리 활용된다.
오월란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학계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군외떡잎식물군
비짜루목
난초과
아과석곡아과
수상란족
아족오월란아족
라틴어 학명Laeliinae
명명자Benth.
발표 년도1881년
모식 속오월란속(Laelia Lindl.)
하위 분류
본문 참조
이미지
브라사볼라 플라겔라리스
브라사볼라 플라겔라리스(Brassavola flagellaris), 오월란아족의 한 종

2. 분류

오월란아족(Laeliinae)은 난초과에 속하는 아족으로, 형태와 생태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으로 분류된다. 이 아족에는 수상란속(Epidendrum), 오월란속(Laelia), 카틀레야(Cattleya), 브라사볼라(Brassavola) 등을 포함하여 수십 개의 속이 속해 있으며, 각 속은 다시 여러 으로 나뉜다. 특히 수상란속은 약 1,500종을 포함하는 매우 큰 규모의 속이다.

또한, 오월란아족 내에서는 속 간의 교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원예학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인공 교배 속들이 만들어졌다. 자세한 속 목록과 교배 속에 대한 정보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주요 속

한국어 속명학명종 수동의어
아크로르키스Acrorchis Dressler1
아다만티니아Adamantinia Van den Berg & C.N.Gonç.1
알라마니아Alamania Lex.1
AmoanaAmoana Leopardi & Carnevali
아르포필룸Arpophyllum Lex5
아르토리마Artorima Dressler & G.E.Pollard1
바르케리아Barkeria Knowles & Westc.17도틸로피스 (Dothilophis Raf.)
브라사볼라Brassavola R.Br.17
× 브라소카틀레야× Brassocattleya Rolfe
브로톤니아Broughtonia R.Br.6카틀레이옵시스 (Cattleyopsis Lem.), 라엘리옵시스 (Laeliopsis Lindl.)
카틀레야Cattleya Lindl.118마엘레니아 (Maelenia Dum.), 소프로니티스 (Sophronitis Lindl.), 소프로니아 (Sophronia Lindl.), 로포글로티스 (Lophoglottis Raf.), 호프만세게겔라 (Hoffmannseggella H.G.Jones), 하드로라엘리아 (Hadrolaelia (Schltr.) Chiron & V.P.Castro), 둥시아 (Dungsia Chiron & V.P.Castro), 마이크로라엘리아 (Microlaelia (Schltr.) Chiron & V.P.Castro), 키로니엘라 (Chironiella Braem), 브라질라엘리아 (Brasilaelia Campacci), 카틀레옐라 (Cattleyella Van den Berg & M.W.Chase), 슐루케비에리아 (Schluckebieria Braem)
× Catyclia× Catyclia J.M.H.Shaw
카울라르스론Caularthron Raf.3디아크리움 (Diacrium (Lindl.)Benth.), 도틸로피스 (Dothilophis Raf.)
콘스탄티아Constantia Barb.Rodr.5
디메란드라Dimerandra Schltr.1
디네마Dinema Lindl.1
도밍고아Domingoa Schltr.5하트웨기아 (Hartwegia Lindl.), 나젤리엘라 (Nageliella L.O.Williams)
엔시클리아Encyclia Hook.120
에피덴드룸Epidendrum L.1500암블로스토마 (Amblostoma Scheidw.), 암블리소토마 (Amblystoma Kuntze), 암피글로티스 (Amphiglottis Salisb.), 암피글로티움 (Amphiglottium (Salisb.) Lindl. ex Stein), 아울리자 (Auliza Salisb.), 아울리자 (Auliza Salisb. ex Small), 아울리제움 (Aulizeum Lindl. ex Stein), 코일로스틸리스 (Coilostylis Raf.), 디도티온 (Didothion Raf.), 디오토네아 (Diothonea Lindl.), 에피덴단투스 (Epidanthus L.O.Williams), 에피덴드롭시스 (Epidendropsis Garay & Dunst.), 가스트로포디움 (Gastropodium Lindl.), 헤미스클레리아 (Hemiscleria Lindl.), 칼롭테르닉스 (Kalopternix Garay & Dunst.), 라니움 (Lanium (Lindl.) Benth.), 라르난드라 (Larnandra Raf.), 미니콜루나 (Minicolumna Brieger), 나노데스 (Nanodes Lindl.), 네오렘니아 (Neohlemannia Kraenzl.), 네오윌리암시아 (Neowilliamsia Garay), 닉토스마 (Nyctosma Raf.), 에르스테델라 (Oerstedella Rchb.f.), 피신가 (Physinga Lindl.), 플레우란티움 (Pleuranthium (Rchb.f.) Benth.), 가짜에피덴드룸 (Pseudepidendrum Rchb.f.), 프실란테뭄 (Psilanthemum Klotszch ex Stein), 세라피타 (Seraphyta Fisch. & C.A.Mey.), 스파티게르 (Spathiger Small), 스파티움 (Spathium Lindl. ex Stein), 스테노글로섬 (Stenoglossum Kunth), 트리텔란드라 (Tritelandra Raf.)
구아리안테Guarianthe Dressler & W.E.Higgins4
하가스테라Hagsatera R.González2
호말로페탈룸Homalopetalum Rolfe7피넬리아 (Pinelia Lindl.), 피넬리안테 (Pinelianthe Rauschert)
이사벨리아Isabelia Barb.Rodr.3네올라우체아 (Neolauchea Kraenzl.), 소프로니텔라 (Sophronitella Schltr.)
자퀴니엘라Jacquiniella Schltr.11드레스레리엘라 (Dressleriella Brieger), 브리에기에리아 (Briegeria Senghas)
라엘리아Laelia Lindl.25아말리아 (Amalia Lindl.), 아말리아스 (Amalias Hofmsgg.), 솜부르크키아 (Schomburgkia Lindl.)
× 라엘리오카틀레야× Laeliocattleya Rolfe
렙토테스Leptotes Lindl.5
뢰프그레니안투스Loefgrenianthus Hoehne1
메이라실리움Meiracyllium Rchb.f.2
마이크로에피덴드룸Microepidendrum Brieger ex W.E.Higgins1
× Myrmecolaelia× Myrmecolaelia F.Hanb. ex Rolfe
미르메코필라Myrmecophila Rolfe10
니데마Nidema Britton & Millsp.2
오에스틀룬디아Oestlundia W.E.Higgins4
오를레아네시아Orleanesia Barb.Rodr.11
프로스테케아Prosthechea Knowles & Westc.100에피테키움 (Epithecium Knowles & Westc.), 호르미디움 (Hormidium Heynh.), 아나케이리움 (Anacheilium Hoffmgg.), 에우킬레 (Euchile (Dressler & G.E.Pollard) Withner), 가짜엔시클리아 (Pseudencyclia Chiron & V.P.Castro.), 파나리카 (Panarica Withner & P.A.Harding), 폴라르디아 (Pollardia Withner & P.A.Harding)
가짜라엘리아Pseudolaelia Porto & Brade10레나타 (Renata Ruschi)
프시킬리스Psychilis Raf.15
× Psytonia× Psytonia J.M.H.Shaw
피그마이오르키스Pygmaeorchis Brade2
키스케야Quisqueya Dod4
린콜라엘리아Rhyncholaelia Schltr2
스카피글로티스Scaphyglottis Poepp. & Endl.60헥시세아 (Hexisea Lindl.), 클라돕비움 (Cladobium Lindl.), 헥사데스미아 (Hexadesmia Brongn.), 테트라가메스투스 (Tetragamestus Rchb.f.), 라이헨바키안투스 (Reichenbachanthus Barb.Rodr.), 프락티웅기스 (Fractiungis Schltr.), 레아오아 (Leaoa Schltr. & Porto), 파키스텔레 (Pachystele Schltr.), 코스타리카에아 (Costaricaea Schltr.), 라모니아 (Ramonia Schltr.), 플라티글로티스 (Platyglottis L.O.Williams)
테트라미크라Tetramicra Lindl.13


2. 2. 교배 속

오월란아족 내에서는 간 교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교배 속(nothogenera)이 만들어졌다.

  • × ''브라소카틀레야''
  • × ''Catyclia''
  • × ''라엘리오카틀레야''
  • × ''Myrmecolaelia''
  • × ''Psytonia''
  • × ''브라소에피덴드럼''
  • × ''브라솔라엘리오카틀레야''
  • × ''카틀레이토니아''
  • × ''카틀리안테''
  • × ''에피카틀레야''
  • × ''에피라엘리오카틀레야''
  • × ''호킨사라''
  • × ''라엘리오카타르트론''
  • × ''라엘리오카토니아''
  • × ''오타라''
  • × ''포티나라''
  • × ''린코라엘리오카틀레야''
  • × ''숌보카틀레야''
  • × ''소프로카틀레야''
  • × ''소프라엘리아''
  • × ''소프라엘리오카틀레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