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퍼스산 (워싱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푸스산은 미국 워싱턴주에 위치한 산으로, 호 강과 글레이셔 크릭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8.8km 떨어진 곳에 2,100m 이상 솟아 있다. 워싱턴 주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며, 겨울철 폭설로 인해 비교적 낮은 고도와 위도에도 불구하고 블루, 호, 흄스 등 여러 빙하를 품고 있다. 1774년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1788년 영국 탐험가가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 1909년 올림픽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193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76년 국제 생물권 보전 지역, 1981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상은 툰드라 기후를 보이며, 10월부터 4월까지 극심한 강수량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올림퍼스산 (워싱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높이 | 7,980 ft (2,427 m) |
봉우리 돌출 | 7,838 ft |
산맥 | 올림픽 산맥 |
위치 | 올림픽 국립공원, 제퍼슨 카운티, 워싱턴주, 미국 |
좌표 | 47°48′04.7″N 123°42′39.0″W |
지형도 | USGS 올림푸스 산 |
유형 | 셰일 및 사암 |
시대 | 에오세 |
최초 등반 | 1907년 L.A. 넬슨과 일행 |
가장 쉬운 경로 | 빙하 등반 |
목록 | 북아메리카의 두드러진 봉우리 45위 북아메리카의 고립된 봉우리 117위 |
2. 지리
올림푸스산은 뛰어난 지역적 고도 차이를 보인다. 호 강과 글레이셔 크릭이 만나는 해발 293m 지점으로부터 불과 8.8km 떨어진 곳에서 2100m 이상 솟아 있다. 2386m의 지형 돌출도를 가지며, 이는 워싱턴 주에서 5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겨울철 폭설로 인해 많은 빙하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두워미시족은 올림픽 산맥을 "Sunh-a-do"라고 불렀다고 전해지나, 그 기원은 불분명하다.[6][7][8] 일부 자료에서는 이 명칭을 산의 아메리카 원주민 이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9] 1774년 스페인 탐험가 후안 페레즈는 이 산을 "세로 네바도 데 산타 로살리아(Cerro Nevado de Santa Rosalía)", 즉 '성 로살리아의 눈 덮인 봉우리'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현재 워싱턴주 지형에 대한 최초의 유럽식 명명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이름인 올림푸스산은 1788년 7월 4일 영국 탐험가 존 메어스가 붙인 것이다.[10]
1890년에는 조셉 P. 오닐 미국 육군 장교가 이끄는 탐험대가 현재의 남쪽 봉우리로 추정되는 곳의 정상에 도달했다.[11]
올림푸스산과 주변 지역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여러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09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에 의해 올림픽 국립 기념물로 선포되었고, 1938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 의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76년 국제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1981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88년에는 미국 의회가 공원 면적의 95%를 올림픽 야생 지역(Olympic Wilderness)으로 지정하여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보존하도록 했다.
산 정상 부근은 10월부터 4월까지 강수량이 매우 많고 5월부터 9월까지도 강수량이 많은 툰드라 기후(ET)를 나타낸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눈으로 내리며, 특히 서쪽 봉우리는 미국 본토에서 가장 습한 곳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2][13]
2. 1. 빙하
올림푸스산은 겨울철 폭설로 인해, 그다지 높지 않은 고도와 비교적 낮은 위도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빙하를 품고 있다. 주요 빙하로는 블루 빙하, 호 빙하, 흄스 빙하, 제퍼스 빙하, 허버트 빙하, 블랙 빙하, 화이트 빙하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긴 빙하는 호 빙하로 길이는 4.93km에 달하며, 가장 큰 빙하는 블루 빙하로 부피는 0.57km3이고 면적은 5.31km2이다. 대부분의 온대 위도 빙하와 마찬가지로,[5] 이 빙하들 또한 최근 수십 년 동안 면적과 부피가 감소하고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3. 역사
에드먼드 S. 미니(Edmond S. Meany, 1923)에 따르면, 조셉 A. 코스텔로(Joseph A. Costello, 1895)의 저서 "시와시, 그들의 삶, 전설, 이야기(The Siwash, their life, legends and tales)"를 인용하여, 두워미시족은 올림피아 산맥(코스텔로 1895에서는 해안 산맥(Coast Range)으로 언급됨)을 "Sunh-a-do"라고 불렀다고 한다.[6][7] 이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8] 일부 자료에서는 이 명칭을 산의 아메리카 원주민 이름으로 잘못 사용하기도 한다.[9]
스페인 탐험가 후안 페레즈는 1774년에 이 산을 "세로 네바도 데 산타 로살리아(Cerro Nevado de Santa Rosalía)", 즉 '성 로살리아의 눈 덮인 봉우리'라고 명명했다. 이는 현재 워싱턴주에 있는 지형지물을 유럽인이 처음으로 이름 붙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후 1788년 7월 4일, 영국 탐험가 존 메어스가 이 산에 현재의 이름인 올림퍼스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0]
1890년에는 미국 육군 장교 조셉 P. 오닐이 이끄는 탐험대가 오늘날 남쪽 봉우리로 추정되는 곳의 정상에 도달했다.[11]
1909년 3월 2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곳을 올림픽 국립 기념물로 선포했다. 이후 1938년 6월 28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 의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76년, 올림픽 국립공원은 국제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8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988년에는 미국 의회가 공원 면적의 95%를 올림픽 야생 지역(Olympic Wilderness)으로 지정하여 자연 보호를 강화했다.
4. 기후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4. 1. 기상 데이터
올림퍼스산 정상은 툰드라 기후(ET)를 띈다.[12] 10월부터 4월까지는 강수량이 매우 많고, 5월부터 9월까지도 강수량이 많은 편이다.[12] 이러한 강수량의 대부분은 눈으로 내린다. 서쪽 봉우리는 미국 본토에서 가장 습한 곳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4][13]
참조
[1]
간행물
2009-01-11
[2]
간행물
Mount Olympus
2023-04-19
[3]
간행물
2009-01-01
[4]
서적
Climber's Guide to the Olympic Mountains
Mountaineers Books
[5]
웹사이트
Glaciers and Climate Chang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6]
간행물
Origin of Washington geographic names
https://archive.org/[...]
1923
[7]
간행물
The Siwash, their life, legends and tales: Puget Sound and Pacific Northwest
https://archive.org/[...]
1895
[8]
웹사이트
The Original Name for Mt. Olympus
https://adaburrows.c[...]
2021-04-07
[9]
웹사이트
Mount Olympus: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summitpos[...]
2015-05-20
[10]
서적
Washington State Place Nam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1]
뉴스
Members of the Olympic Exploring Expedition make first recorded ascent of Mount Olympus on September 22, 1890.
http://www.historyli[...]
2019-01-26
[12]
웹사이트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http://prism.oregons[...]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2023-09-28
[13]
웹사이트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
https://prism.oregon[...]
[14]
웹인용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
https://prism.oreg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