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포항 (강화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포항은 강화군에 위치한 항구로, 어항구역은 육역과 공유수면을 포함한다. 육역은 외포리 일대의 지번과 면적으로 구성되며, 공유수면은 0.452km²의 면적과 특정 좌표로 경계가 설정되어 있다. 외포항에서는 볼음도, 아차도, 주문도를 오가는 여객선이 1일 2회 운항하며, 과거에는 석모도 석포항을 오가는 차도선이 1시간 간격으로 운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어항 - 어유정항
어유정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인근 어선의 피난항 기능과 해양 교통, 관광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어종이 잡히는 어항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강화군의 어항 - 선두4리항
선두4리항은 강화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물양장, 선착장, 어판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민물장어, 새우, 숭어, 망둥어 등을 어획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어사항
어사항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어항으로, 수역과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외포항 (강화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외포항 |
![]() | |
그림 크기 | 250 |
유형 | 지방어항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547지선 |
시설 관리자 | 강화군수 |
위도 | 37.7010096 |
경도 | 126.3789734 |
2. 어항구역
외포항의 어항구역은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유수면과 어항 관련 사업으로 조성된 육역으로 구성된다.[1][2] 상세한 구역 범위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공유수면
외포항 어항구역 내 공유수면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1][2]어항구역은 아래의 네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안의 해역으로, 총 면적은 165000m2이다.[2]
지점 | 좌표(X, Y) | 위도 (N) | 경도 (E) |
---|---|---|---|
㉮ | 466,920.22, 145,446.63 | 37˚42′01.24″ | 126˚22′53.06″ |
㉯ | 466,620.22, 145,446.63 | 37˚41′51.51″ | 126˚22′53.14″ |
㉰ | 466,768.20, 144,804.54 | 37˚41′56.17″ | 126˚22′26.89″ |
㉱ | 466,918.08, 144,804.54 | 37˚42′01.03″ | 126˚22′26.85″ |
이는 기존 선착장 기점에서 남동쪽(S74°E)으로 210m 지점(㉮)에서 시작하여, 정남 방향으로 300m 이동한 지점(㉯), 이 지점에서 북서쪽(N77°W) 방향으로 660m 이동한 지점(㉰), 그리고 이 지점에서 정북 방향으로 150m 이동한 지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공유수면과 같다.[1][2]
2. 2. 육역
어항 관련 사업으로 조성된 육역(선착장 등)은 다음과 같다.[1]- 지번: 547-16제, 547-34잡, 547-35제, 547-36제, 547-37잡, 547-40대, 763-60잡, 763-61잡, 547-62잡, 547-68잡, 547-69잡, 547-73잡, 547-74잡, 547-77잡, 547-78잡, 547-79잡, 547-80잡, 547-81잡
- 면적: 국유지 11746m2, 시유지 10197m2
3. 교통 정보
외포항에서는 인근 섬으로 가는 배편을 이용할 수 있다. 석모도 방면으로는 차도선이, 볼음도, 아차도, 주문도 방면으로는 여객선이 운항한다.[1]
3. 1. 석모도 항로
외포항과 석모도의 석포항 사이에는 차도선이 매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3. 2. 볼음도, 아차도, 주문도 항로
외포항에서 볼음도, 아차도, 주문도를 오가는 여객선은 하루에 2번 운항한다.참조
[1]
고시
외포항(지방어항) 명칭 변경 고시
http://announce.inch[...]
인천광역시장
2018-07-09
[2]
고시
지방어항 구역 변경 고시
인천광역시
2010-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